전체기사

“비용·투자 감안 수도권 vs 환경 때문에 바닷가”…데이터센터 입지 논란 가열

생성형 인공지능(AI) 확산 등에 따라 데이터센터 수요가 급증하는 가운데, 어디에 짓느냐는 입지 조건을 두고 논란이 가열되고 있다. 냉각 효율과 환경 영향을 고려해 심층수를 활용할 수 있는 동해안 등 해안가가 적합하다는 주장이 나오는 반면, 부동산 가치와 통신 효율성을 이유로 수도권 인근 입지를 고수해야 한다는 입장도 만만치 않다. 9일 업계에 따르면, 국내 상업용 데이터센터의 약 70%가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문제는 기후 변화로 수도권 물 자원이 줄어들 경우 냉각을 위해 많은 물이 필요한 데이터센터들을 유지할 수가 없다는 것이다. 한국은 강수량이 여름에 집중되는 데다, 수자원 대비 물 수요가 높은 '물 스트레스 국가'라서다. 현재 대부분의 데이터센터는 냉각수를 활용해 물을 증발시켜 서버의 열을 낮추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여러 냉각 방법을 개발하고 있으나, 아직은 대규모 사용이 어려워 센터 내부의 열을 식히는 냉각수가 필수적이라는 게 전문가의 의견이다. 데이터센터가 사용하는 냉각수의 양은 상상을 뛰어넘는다. 데이터센터 시스템의 물 사용량과 IT 장비의 에너지 소비량을 비교하는 지표인 물 사용 효율(WUE, Water Usage Effectiveness)에 따르면, 1KWh당 평균 1.8L의 물이 소비될 정도이다. 2023년 기준 국내 데이터센터 한 곳이 연간 소비한 평균 전력량인 57.2GWh를 물 사용 효율(WUE) 지표 평균에 따라 단순 환산할 경우, 연간 약 1억296만L의 냉각수가 증발한 셈이다. 오픈AI의 생성형 AI 챗GPT-3 버전에서도 단 10~50개의 질문에 응답하는 데 약 500㎖의 물이 사용됐다. 전력 사용량은 앞으로도 급증할 전망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전 세계 데이터센터 전력 수요가 2026년 최대 1050TWh까지 늘어날 것으로 내다봤다. 데이터센터에너지효율협회(KDCEA)에 따르면, 국내 상업용 데이터센터 전력량도 2023년 540㎽에서 2026년 1850㎽로 242%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일부 전문가들은 냉각수 공급이 쉽고 환경 오염 우려가 적은 동해안, 서해안 등에 데이터센터를 지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조원철 연세대학교 토목공학과 교수는 “환경 영향을 생각했을 때,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을 벗어나 심층수를 활용할 수 있는 동해안 등 바닷가에 집중적으로 지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섭씨 0도의 온도를 유지하는 심층수를 끌어올려 냉각수로 활용하면 냉각 효율이 증대할 뿐더러, 수자원 소모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반면 부동산 업계는 센터가 단순한 산업 기반 시설이 아닌 장기 투자 자산으로도 평가되는 만큼, 지나치게 외곽 지역으로 밀어내는 방식은 기업 자산과 투자 가치를 훼손할 수 있다고 목소리를 내고 있다. 윤수민 NH 부동산 전문위원은 “부동산을 사업 가치로 투자한다고 했을 때 무작정 지방에 배치하는 건 장기적인 가치의 측면에서 부적합하다"며 “데이터도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로스가 있는 만큼 너무 외곽으로 빼는 것도 능사가 아닌 데다, 산업 분야인 만큼 합리적 의사결정을 위해 산업 논리로 접근하는 게 적합해 보인다“고 말했다. 실제로 고빈도 거래와 실시간 서비스 등에서는 단 몇 밀리초의 지연도 서비스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심층수 활용 시 발생하는 비용은 물론, 40㎽ 규모 데이터센터 1개를 수도권에서 100㎞ 떨어진 지역으로 이전할 경우에도 회선요금은 1년에 50억원이 더 소모된다고 데이터업계는 강조했다. 건설업계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버와 냉각기 사이에 지속적으로 물을 순환시켜 재활용하는 친환경 시스템인 폐쇄형 냉각 루프 기술 도입 가속화와 외부 공기 유입을 제어한 고효율 냉방 기술, 재생에너지 활용 확대를 비롯한 대응 전략 및 정부 차원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김유승 기자 kys@ekn.kr

서울·수도권 분양시장 ‘기지개’…브랜드 아파트 청약 본격화

올해 들어 시들했던 아파트 분양이 서울·수도권을 중심으로 다시 활기를 띠고 있다. 대우건설·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이 서울 구로구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청약을 앞둔 데 이어, 포스코이앤씨·한화건설과 태영건설도 각각 경기 고양시와 동탄시에 단지 공급 예정이다. 이 같은 대형 건설사들의 잇따른 분양 소식에 실수요자들의 관심도 빠르게 쏠리는 분위기다. 9일 대우건설과 현대엔지니어링 컨소시엄에 따르면, 이날 '고척 푸르지오 힐스테이트' 견본주택을 열고 분양 절차에 돌입했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25층, 총 10개 동 규모로 조성되며, 전용면적 39114㎡ 총 983세대 가운데 전용 59~84㎡, 576세대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청약 일정은 19일 특별공급, 20일 1순위, 21일 2순위 접수 순이다. 견본주택은 서울 고척동 172-205에 준비했다. 해당 단지는 서울 고척동에서 약 18년 만에 공급되는 1군 브랜드 대단지로, 남향 위주의 동 배치와 판상형 설계를 통해 일조와 통풍을 높인 게 특장점이다. 고급 아파트에서 볼 수 있는 스카이라운지를 비롯한 커뮤니티 시설도 갖출 예정이다. 교통은 지하철 1호선 개봉역과 2호선 양천구청역 이용이 가능하며, 향후 신구로선(계획)과 GTX-B(예정) 노선 개발도 예정돼 있다. 고척초, 경인중, 목동고 등도 인접해 있고, 아이파크몰, 코스트코, 고려대 구로병원 등 인프라도 반경 2㎞ 내에 위치해 있다. 아울러 대우건설은 '동탄 포레파크 자연& 푸르지오'의 견본주택도 9일 개관했다. 이곳은 전용면적 84㎡ 1121세대가 공공분양, 전용 97·142㎡ 403세대는 민간분양 예정이다. 청약은 19일 특별공급을 시작으로 진행한다. 견본주택은 경기도 화성시 영천동 847-5번지 일원에 들어선다. 포스코이앤씨와 한화 건설부문도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동산동 일원에 위치한 '고양 더샵포레나'의 견본주택을 9일 개관했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최고 35층, 총 17개 동 규모로, 전용면적 3984㎡ 총 2601세대 가운데 전용 39~74㎡ 636세대가 일반분양 물량이다. 청약은 12일 특별공급, 13일 1순위, 14일 2순위 일정으로 접수 받는다. 이곳은 1~2인 가구를 겨냥한 전용 39·46㎡ 소형 평형도 포함된 게 특징이다. 일부 세대는 3Bay 판상형 구조로 설계됐다. 커뮤니티 시설로는 피트니스센터, 사우나, 실내 스크린골프장 등이 마련된다. 또, 교외선 원릉역이 재개통되며 대곡역(GTX-A, 경의중앙선, 수도권지하철 3호선, 서해선)까지 한 정거장 이동이 가능하고, 고양시청역(고양은평선)도 계획돼 있다. 원당초, 성사중·고도 도보 거리이며, 화정·행신 학원가 접근성도 뛰어나다. 스타필드 고양, 코스트코, 이케아, 명지병원, 동국대병원 등도 주변해 위치해 있다. 이밖에 태영건설과 경기주택도시공사(GH)도 민간참여 공공분양사업으로 공급하는 '동탄 꿈의숲 자연앤데시앙'의 분양을 시작한다. 이 단지는 지하 4층~지상 최고 20층, 12개 동, 전용면적 74·84㎡ 총 1170세대 규모다. 청약 일정은 19일 특별공급, 20일 1순위, 21일 2순위 순이다. 9일 개관한 견본주택은 화성시 영천동 847-5번지 일원에 위치해 있다. 단지는 전 세대가 남향 위주로 배치되며, 맞통풍이 가능한 판상형 4Bay 구조를 갖췄다. 게스트하우스, 실내체육관, 스카이라운지 등 커뮤니티 시설도 준비한다. 단지 바로 앞에는 세정초·중교와 고교 예정 부지가 있으며, 동탄호수공원도 도보로 이용할 수 있다. 교통 측면에선 동탄도시철도 2호선(예정), GTX-A, SRT, 동탄-인덕원 복선전철(예정) 등이 마련될 예정이다. 김유승 기자 ky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