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기간 ~

펩타이드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는 1건 입니다.

' 플랫폼'이 국내 바이오산업 성장을 견인할 차세대 모멘텀으로 지목되고 있다. 바이오텍 기업을 중심으로 글로벌 기술수출에 성공하는 등 성과가 지속되는 가운데, 최근 삼성에피스그룹 계열사 에피스넥스랩도 관련 사업 진출 계획을 발표하면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출범한 바이오 플랫폼 개발사 에피스넥스랩은 회사와 그룹의 성장동력으로 (아미노산 결합체) 기반 플랫폼 기술을 전면에 내세웠다. 확장성이 높은 요소(기반)기술을 개발해 특정 약물이나 적응증에 제한되지 않는 의약품 후보물질을 도출하고, 이를 토대로 글로벌 제약사와 공동 개발·기술이전 계약을 성사해 수익을 창출한다는 게 에피스넥스랩의 청사진이다. 아미노산이 짧은 사슬구조로 결합한 물질인 는 인체 호르몬·신경·면역 등 특정 생리 기능을 조절하는 특징을 가진다. 이를 인공 설계한 합성 의약품은 설계 목적에 따라 특정 기전으로 작용한다. 특히 의약품은 분자량이 적어 정밀한 표적 작용이 가능하고 부작용이 적다. 통상 플랫폼 기술은 이러한 의약품의 약물전달 방식에 변화를 주거나, 인공(합성) 를 발굴하는 기술로 구분된다. 구체적인 기술 개발 방향성은 공개되지 않았으나 그룹 계열사 삼성바이오에피스가 그동안 바이오시밀러를 통해 글로벌 바이오의약품 시장에서 입지를 구축해온만큼, 업계는 에피스넥스랩의 플랫폼 기술 개발과 상업화를 기점으로 국내 바이오텍 생태계가 한층 확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에 국내 바이오텍 기업들이 보유한 플랫폼 기술력에도 국내외 업계의 이목이 집중된다. 디앤디파마텍의 약물전달 플랫폼 '오랄링크'가 대표적인 사례로 꼽힌다. 오랄링크는 의약품을 경구 투여 가능하도록 개선하는 기술이다. 의 리간드화(약물의 구조 개조)와 지질화, 투과 촉진제, 안정화제 기술을 복합 적용해 약물의 위장 분해를 방지하고 투과도를 높이는 한편, 약물 지속시간을 늘린다. 글루카곤 유사 -1(GLP-1) 수용체 작용제 기반 의약품인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가 글로벌 비만치료제 열풍을 이끈 가운데, 경구제형 전환을 통해 내년부터 예고된 세마글루타이드 특허절벽 리스크를 방어하고 비만치료제 개발 트랜드를 주도할 핵심 기술이라는 평가다. 이에 디앤디파마텍은 미국 바이오텍 멧세라에 관련 기술을 약 1조원 규모로 수출하며 경구용 비만약 공동 개발에 나섰다. 최근에는 화이자와 노보노디스크가 멧세라를 두고 치열한 인수경쟁을 벌이면서 글로벌 빅파마 파트너로서 디앤디파마텍의 기업가치도 지속 상승하고 있다. 나이벡의 발굴·약물전달 플랫폼 성과도 주목된다. 앞서 나이벡은 지난 5월 미국 뉴코와 약 6000억원 규모의 섬유증치료제 후보물질 'NP-201'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하며 올 상반기 흑자전환에 성공한 바 있다. NP-201은 표적 세포의 특정 바이오마커에 결합력을 가진 를 발굴하고 제형화하는 자사 플랫폼 '탑스커버리'를 통해 발굴된 후보물질로, 최근들어선 적응증이 비만(리제노타이드)까지 확장됐다. 나아가 나이벡은 자체 개발한 차세대 약물전달 플랫폼 '펩타델'을 통해 현재 NP-201을 경구형 비만치료제로 개발하고 있다. 펩타델은 약물을 병변 조직에 선택적으로 전달하고 효능을 극대화하면서도 부작용은 최소화하는 특징으로, 현재 섬유증·비만·폐동맥고혈압(PAH) 등 자사 난치질환 파이프라인에 적용되고 있다. 최근 들어선 인공지능(AI) 후보물질 발굴 플랫폼도 등장했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의 'ESAIDD'가 주인공이다. 지난달 말 공개된 ESAIDD는 질환과 적응증을 입력하면 AI 분석을 통해 타깃 단백질 후보와 결합 부위를 제시하는 것이 핵심이다. 반복 실험을 통해 후보물질 도출까지 수년이 소요됐던 기존 방식과 달리, ESAIDD는 수일 내로 후보물질 발굴이 가능하다. 엔솔바이오사이언스는 ESAIDD를 활용한 기술이전과 공동개발, 라이선싱 등 다양한 사업화 모델을 통해 국내외 파트너십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 의약품 시장은 당뇨병과 비만, 암 등 만성 질환 치료에 대한 수요 증가와 함께 지속적으로 성장할 것"이라며 “특히 비만치료제 시장이 크게 성장중인데, 관련 의약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 약물전달 시스템(플랫폼) 시장 역시 치료제 수요 증가에 따라 향후 높은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고 덧붙였다. 박주성 기자 wn107@ekn.kr

2025-11-14 17:08 박주성 기자 wn107@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