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화학이 석유화학 부문 적자폭 축소와 고부가 소재 매출 확대에 힘입어 올해 1분기 호실적을 기록했다. 자회사 LG에너지솔루션이 원가 절감 효과로 흑자 전환에 성공하면서 전사 수익성 개선을 뒷받침했다. LG화학은 올해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 12조1710억원과 영업이익 4470억원을 기록했다고 30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4.8%, 영업이익은 68.9% 각각 증가했다. 전분기와 비교하면 매출은 1.3% 감소했으나,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했다. 차동석 LG화학 사장은 “석유화학 사업의 적자폭 축소, 전자소재 및 엔지니어링소재의 고부가 제품 확대 등으로 전분기 대비 개선된 실적을 달성했다"며 “고성장·고수익 사업 중심의 포트폴리오 재편과 경영 효율성 제고를 통해 중장기 성장 기반을 다질 것"이라고 말했다. 부문별로 보면, 석유화학 부문은 매출 4조7815억원과 영업손실 565억원을 기록했다. 대산공장 정전과 전력단가 상승 등으로 수익성이 악화됐지만, 환율 강세와 비용 절감 노력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적자폭은 줄었다. 첨단소재 부문은 매출 1조4898억원과 영업이익 1270억원을 기록했다. 고부가 전자소재 및 엔지니어링소재 매출 증가에 힘입어 수익성이 회복됐지만 오는 2분기에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 등으로 전지재료 출하 감소가 예상된다. 생명과학 부문은 매출 2856억원과 영업손실 134억원을 기록했다.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및 백신 수출 시점 차이로 인해 매출과 수익성이 다소 감소했지만, 2분기부터는 견조한 매출 흐름과 글로벌 임상 과제에 대한 투자가 지속될 전망이다. 이날 LG화학은 실적 발표 후 컨퍼런스콜을 통해 사업 재편 계획에 대해 소통하기도 했다. LG화학 고위 관계자는 “최근 언론에서 기사화된 수처리 매각과 관련해서는 아직까지 확정된 바는 없다"며 “다만 LG화학은 지난 몇 년 동안 지속적으로 포트폴리오 조정을 전략적으로 실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미래 경쟁력 관점에서 중장기 성장이 정체되거나 경쟁력 저하되거나 또는 앞으로 저하될 가능성이 높은 사업, 또는 당사 사업과 시너지가 부족한 영역에 대해서는 포트폴리오 구조를 재정립하면서 그런 부분을 여전히 아웃 가능성 열어두고 준비를 해나가고 있다"고 덧붙였다. 윤동 기자 dong01@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