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서예온

pr9028@ekn.kr

서예온기자 기사모음




李 정부 첫 국토부 장관에 ‘정무형’ 김윤덕…“추진력·정무감각 방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1 15:42

대선·총선 함께한 최측근 인사, 국토부 장관 지명

250만호 공급·지역 개발 속도전 예고

시장 “정무 해법, 예측성 흔들릴 수도”

김윤덕 국토부 장관 후보자

▲김윤덕 국토부 장관 후보자. 사진=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국토교통부 장관 후보자로 김윤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지명했다. 대선과 총선을 함께 치러온 최측근을 국토부 수장에 앉힌 이번 인사는 관료 중심의 국정 운영에서 정무 감각과 실행력을 겸비한 '정치형 장관' 체제로의 전환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해석된다. 취임 한 달 만에 단행된 이 인선을 두고 정치권 안팎에서는 “이재명표 주거·국토 정책이 본궤도에 오른다"는 평가가 나온다.


11일 업계와 정치권에 따르면,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은 이날 대통령실 브리핑을 통해 김 의원 지명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강 실장은 “김 후보자는 국회 국토교통위원으로 활동하며 입법·정책 능력을 입증했고, 부동산 문제를 국민 눈높이에서 접근할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이재명 정부 첫 내각을 구성할 19개 부처 장관 인선도 모두 마무리됐다.


김 후보자는 전북 부안 출신으로, 2006년 전북도의원을 시작으로 2012년 제19대 국회에 입성했다. 이후 열린캠프 조직본부장, 대선 선대위 총괄단장, 민주당 사무총장을 역임하며 이재명 대통령의 '실무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아왔다. 지난 총선에서 3선 고지에 오른 그는 현재 민주당 내 대표적인 정무라인 인사로 꼽힌다.


정치권에선 이번 인선을 두고 “전문 관료보다 국민 눈높이와 현장성에 방점을 둔 선택"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특히 김 후보자는 민주당 주거복지특위 위원장을 지내며 무주택 청년·고령층 주거 지원 등 현실 밀착형 정책을 앞장서 추진해왔다. 이 대통령이 공약한 250만호 주택 공급, 주거복지 체계 재정비, 지방 중심 개발 등 과제를 이행하는 데 있어 추진력과 조율 능력을 겸비한 인사라는 평가다.


정무적 감각은 지역 균형 발전 공약 이행 측면에서도 발휘될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자는 대선 당시 전북 지역 총괄 조직책으로 활약하며 '삼중소외론'을 전략화했다. 이는 수도권과 지방, 영남과 호남, 광주와 전남 어디에도 끼지 못한 전북의 현실을 정확히 짚어낸 프레임으로, 이재명 후보의 전북 압승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는 분석이다. 전주 하계올림픽 유치, 새만금 RE100 국가산단, 금융특화도시 조성 등 이 대통령의 전북 지역 공약들이 김 후보자 지명을 계기로 속도를 낼 것이란 기대도 크다.




국토부 안팎에선 정무형 장관의 등장에 기대 섞인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그동안 관료 출신 장관들이 주도해 온 국토부에 입법·예산·정무 감각을 두루 갖춘 정치인이 투입되면서 주요 정책 기조에도 변화가 예상된다. 대통령실과의 직결된 정책 조율, 야당과의 정치적 교섭 등 정무 라인이 강화되며 공급, 교통, 균형 발전 등 굵직한 의제에 한층 힘이 실릴 것으로 보인다.


김 후보자는 이재명 대통령과 학연이나 지연은 없지만, 실무와 조직 운영에서 긴밀히 호흡을 맞춰온 인물이다. 정치권에선 “이번 인사는 단순한 코드 인사가 아니라, 정책 실행에 필요한 추진력을 고려한 전략적 선택"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시장에선 정무형 장관 체제가 던질 파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공공택지 공급이나 재건축 규제, 금융 완화처럼 이해관계가 복잡한 의제를 정무적으로 풀어낼 경우 정책의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이 흔들릴 수 있다는 우려도 공존한다.


김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는 이달 중순 이후 국회 국토위 일정에 따라 열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확한 날짜는 추후 확정될 예정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