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종합물류기업 DHL 그룹이 사우디아라비아와 아랍에미리트 등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걸프 시장을 중심으로 2030년까지 총 5억 유로 이상을 중동 지역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17일 밝혔다. 이번 투자는 DHL 그룹이 작년 10월 발표한 새로운 그룹 전략 'Strategy 2030'의 일환이다. 성장 잠재력이 높은 지역과 글로벌 무역 재편으로 인한 지정학적 순풍의 이점을 적극 활용하고자 하는 DHL의 의지가 담긴 행보로, 미래 글로벌 무역 시장에서 중동 지역이 차지하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이번 투자는 DHL 익스프레스, DHL 글로벌포워딩, DHL 서플라이체인, DHL 이커머스 등 DHL의 4개 사업 부문 전반에 걸쳐 진행되며 중동 지역의 물류 인프라를 대폭 강화할 예정이다. DHL은 인프라 확충, 운송 및 화물 네트워크 확대, 서비스 역량 제고 등을 통해 중동 내외에서 사업을 영위하는 고객들이 변화하는 시장 환경 속에서도 지속가능한 성장을 도모하고 무역 기회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DHL은 현재 중동지역에 특송, 항공·해상·육상 운송, 창고 운영 및 풀필먼트, 유통, 통관 서비스와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이커머스, 배터리 물류와 같은 특수 산업 맞춤형 솔루션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의 물류 및 운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존 피어슨 DHL 익스프레스 최고경영자(CEO)는 “걸프협력회의(GCC) 지역은 글로벌 물류와 혁신의 중심지로 빠르게 부상하고 있다. 이번 투자는 중동 지역이 아시아, 유럽, 아프리카를 잇는 전략적 거점으로서 그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동시에, 글로벌과 역내 무역을 촉진하는 핵심 허브로의 전환을 지원하려는 DHL의 의지를 반영한다"라며 “특히 급성장하는 중동 지역의 이커머스 산업은 수출 확대는 물론 중소기업과 스타트업에게 글로벌 시장 진출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라고 밝혔다. 중동은 아시아, 유럽, 미국을 연결하고 아프리카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하는 핵심 무역 허브로서 그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 또한, 글로벌 기업들의 투자와 함께 지역 내 기업들의 수출 확대에 힘입어 성장세도 더욱 두드러진다. DHL은 현지 전문성과 폭넓은 운송 및 창고 네트워크, 디지털 플랫폼, 자동화 및 혁신 기술을 기반으로 유연한 물류 솔루션을 제공함으로써 고객들이 탄력적인 공급망을 유지할 수 있도록 돕고 있으며, 글로벌 시장의 불확실성 속에서도 성장을 이어갈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DHL 그룹은 중동지역의 전통적인 석유·가스 산업뿐만 아니라 재생 에너지 및 전기화 등으로 확대되고 있는 에너지 분야에서의 성장 기회를 높이 평가하고 있다. 아울러 생명과학 및 헬스케어 산업, 그리고 급성장 중인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큰 잠재력에도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사우디아라비아는 지속적인 관광 활성화 정책에 힘입어 고급 소비재 중심의 수입 B2C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각 사업부별로 투자 내용을 살펴보면 먼저 DHL 익스프레스는 허브와 게이트웨이 등 항공 운송 역량 강화를 통해 배송 속도와 서비스 효율성을 높이고, DHL 글로벌포워딩은 전기 트럭 도입 및 철도 운송 협력 등으로 친환경 운송과 지역 연결성을 강화할 예정이다. DHL 서플라이체인은 아랍에미리트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창고 및 자동화 설비 투자를 확대해 계약 물류 역량을 제고하며, DHL 이커머스는 배송 전문 업체인 AJEX 인수를 통해 사우디아라비아 내 라스트마일 배송 경쟁력을 확보해 급성장하는 시장에 적극 대응할 방침이다. 한편, DHL은 지속가능한 공급망 구축을 위해 전기차 및 친환경 연료 차량 도입, 항공화물의 지속가능항공유(SAF), 해상 및 육상 운송을 위한 바이오연료, 태양광 에너지 및 청정 전력 활용 등 다양한 친환경 솔루션에 대한 투자를 지속하고 있다.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공급망을 제공하고 고객의 탄소 제로(Net Zero) 목표 달성을 지원하고자 하며, 중동 지역 정부의 지속가능성 추진 정책과도 뜻을 같이 한다. DHL 그룹은 앞으로도 물류 분야의 모범 사례를 선도하고 중동 지역의 인재 및 경제 성장 잠재력에 대한 투자를 이어감으로써, 지속 가능한 글로벌 물류 리더십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