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티웨이항공, 2000억원 규모 자본 확충 결정…4000% 부채비율 해소 목적

티웨이항공은 재무구조 안정화를 위해 2000억원 규모 자본 확충에 나선다고 7일 밝혔다. 4000%를 넘긴 부채비율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풀이된다. 티웨이항공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제3자 배정 유상증자, 무상감자, 영구채 발행 등 세 가지 안건을 의결했다. 유상증자 규모는 1100억원으로 신주 발행 주식 수는 보통주 5678만8849주, 발행가액은 주당 1937원이다. 제3자 배정 대상자는 올해 2월 티웨이항공을 인수한 대명소노그룹이다. 소노인터내셜(4646만3604주)과 소노스퀘어(1032만5245주)가 참여한다. 제3자 배정 유상장자로 조달하는 자금은 전액 운영자금으로 쓸 예정이다. 900억원 규모의 영구채도 발행한다. 영구채는 회계상 자본으로 분류되어 부채 비율을 줄이면서 자본을 확충할 수 있다. 이어 주당 액면가를 500원에서 100원으로 줄이는 액면가 감액 방식으로 80% 비율의 무상증자도 진행한다. 자본금은 감자 전 1361억원에서 감자 후 272억원으로 감소한다. 감자 기준일은 10월 16일이며 신주 상장 예정일은 11월 5일이다. 티웨이항공이 2000억원 규모 자본을 확충한 데는 재무구조 재편이 가장 시급한 개선 사항이기 때문이다. 티웨이항공의 올해 1분기 부채비율은 4353%에 달한다. 다른 저비용항공사의 부채비율이 300~1000% 수준인 것에 견줘 크게 높은 수준이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지난해 122억원 규모 적자를 냈다. 올해 1분기에도 355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아직 2분기 실적은 나오지 않았지만 증권업계에선 500억원 수준의 손실을 낼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티웨이항공은 공격적으로 외형을 확장하며 적자 규모가 커졌다. 티웨이항공은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는 과정에서 대한항공으로부터 파리, 로마, 바르셀로나, 프랑크푸르트 4개 유럽 노선의 주 23회 운수권과 장거리 항공기 5대를 넘겨 받았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CJ온스타일, 2분기 영업익 22%↓…“마케팅 확대 영향”

CJ ENM의 커머스 부분인 CJ온스타일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 동기 대비 22% 줄어든 214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3.7% 늘어난 3858억원으로 집계됐다. 매출 증대는 상반기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거래액이 크게 증가한 덕분이다. 유튜브, 틱톡 등 외부 채널에서의 숏폼 콘텐츠 확산에 따라 모바일 앱 유입이 늘면서, 상반기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거래액은 47.1% 올랐다. '박세리의 큰쏜언니 빅(BIG)세리', '셰프의 공구마켓 위드(with) 오스틴강' 등 신규 IP와 함께 가심비 트렌드와 이상 기후에 대응한 웰니스 중심의 상품 구조 개선이 식품, 뷰티, 여행 등 다양한 카테고리 판매 호조로 이어지며 실적을 견인했다는 회사의 설명이다. 다만,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시장 선점을 위한 콘텐츠를 강화하고, 충성 고객 확보 차원의 마케팅 투자를 확대하면서 일회성 비용이 발생해 영업이익은 줄었다. 향후 CJ온스타일은 영상 쇼핑 콘텐츠 IP 강화에 나선다. 또한, 티빙, SNS 등 외부 채널과의 시너지를 통해 신규 고객 유입을 확대하고, 이커머스 플랫폼 경쟁력 제고에 주력할 방침이다. 콘텐츠 측면에서는 대형 셀럽과 협업한 신규 모바일 라이브 커머스 IP를 출시해 몰입감 있는 쇼핑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물류 측면에서는 당일 도착 서비스 확대를 본격화하는 등 배송 인프라를 고도화한다. 아울러 2025 가을·겨울(FW) 시즌을 겨냥한 신규 브랜드, 프리미엄 브랜드 라인업도 대폭 확대해 상품 차별화와 경쟁 우위를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 조하니 기자 inahohc@ekn.kr

KT&G 상반기 매출 첫 3조원 돌파…글로벌 궐련 호조에 웃었다

KT&G가 설립 이래 최초로 상반기 매출액 3조원을 돌파했다. 국내 담배 매출이 줄었음에도, 해외 매출이 크게 늘면서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 또 정관장 실적이 반영된 건강기능식품 사업의 경우 수익성 제고를 통해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7일 KT&G는 올해 상반기 매출 3조390억원, 영업이익 6354억원을 기록했다고 공시했다. 전년대비 매출은 11.9% 늘었고, 영업이익은 13.8% 증가했다. 2분기 기준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8.7% 증가한 1조5479억원,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8.6% 증가한 3498억원이다. 허창구 KT&G 전략기획본부장(전무)은 7일 실적발표 이후 진행된 컨퍼런스 콜에서 “글로벌 사업에서의 성과를 바탕으로 상반기 견조한 실적을 달성했다"며 “하반기 수익 확대를 지속해 연간 영업이익 두자릿수 이상의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말했다. KT&G가 준수한 실적을 낸 까닭은 글로벌 궐련 사업의 고성장 덕분이다. KT&G의 올해 2분기 국내 궐련 매출액은 4083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5% 가량 감소했다. 그러나 해외 궐련 사업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30.6% 오른 4690억원을 기록했고, 판매수량은 9.1% 증가한 167억 개비를 달성했다. 지난해 매출채권 대손충당금 환입분을 제외한 올 2분기 조정영업이익 역시 전년동기대비 51.1% 상승해 고성장 모멘텀을 확보했다. 덕분에 담배사업부문 매출은 전년동기대비 10% 증가한 1조906억원을 기록했다. KT&G 측은 “아시아태평양, 중앙아시아, 중남미 등 주요 권역에서 '에쎄' 중심의 경쟁력 있는 신제품 출시와 높아진 브랜드 파워를 기반으로 한 고가제품군 비중확대, 판매단가 인상 전략이 주효했다"며 “올 하반기 해외 공장에서 원재료 현지 수급체계가 완성되면, 향후 원가절감으로 인한 이익 성장이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설명했다. 그밖에 전자담배 등 차세대 담배제품을 포함하는 국내 NGP사업부문은 '릴 에이블' 판매가 늘어나 상반기 점유율 45.8%를 기록했고, 해외 스틱 매출 수량은 22억 개비로 전년 동기대비 4.2% 상승하며 판매량이 반등했다. 또 KGC인삼공사가 영위하는 건강기능식품의 영업이익은 62억원으로, 국내 경기 불황 속에서도 마케팅 비용 효율화 등 수익성 중심의 전략을 통해 흑자로 전환했다. 한편 KT&G는 이날 이사회에서 중간배당금을 지난해보다 200원 높인 1400원으로 결의해 고배당 기조를 강화했다. 오는 8일부터는 약 30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하기로 했다. 아울러 하반기에는 부동산 등 비핵심자산 유동화를 통해 마련된 재원으로 추가 자사주 매입∙소각을 추진할 예정이다. 이상학 KT&G 총괄 부문장(부사장)은 “올해 상반기 실적이 견조해 중간배당금을 지난해 1200원에서 1400원으로 이사회에서 결의했다"며 “하반기의 이익성장 흐름도 고려해 배당금 상향기조를 배당정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겠다"고 말했다. 정희순 기자 hsjung@ekn.kr

트럼프 눈치보는 줄 알았더니…美 월가의 조용한 ‘화석연료 엑시트’

미국 대형 은행들이 석탄, 천연가스 등 화석연료 프로젝트에 대한 자금조달을 대폭 줄인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금융사들은 기후변화를 부정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눈치를 보는 듯한 행보를 보였으나 이와 반대된 결과가 나온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6대 대형 은행들이 지난 1일까지 올해 석유, 천연가스, 석탄 프로젝트에 730억달러(약 100조원)를 대출해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동기대비 25% 감소한 수치다. 파이낸싱을 가장 크게 줄인 은행은 모건스탠리(54% 감소)로 나타난 반면 가장 작은 감소 폭을 보인 은행은 JP모건체이스(7%)로 집계됐다. 6대 은행 중 가장 많은 자금을 제공한 은행은 웰스파고(191억달러)로 나타났지만 이는 전년 동기대비 17% 하락한 수치다. 주목할 부분은 미국 대형 은행들이 트럼프 대통령 취임에 맞춰 글로벌 은행 연합체 '넷제로은행연합'(NZBA)을 줄줄이 탈퇴했다는 점에 있다. 골드만삭스가 지난해 12월 6일 최초로 NZBA를 탈퇴했고 웰스파고, 시티그룹, 뱅크오브아메리카, 모건스탠리, JP모건체이스 등 미국계 은행들이 이를 뒤따랐다. TD은행, 몬트리올은행, 맥쿼리 등 캐나다·호주 대형 은행들도 NZBA를 뒤어어 탈퇴했고 지난 3월엔 일본 미쓰이스미토모파이낸셜그룹이 아시아 최초로 NZBA 탈퇴를 선언했다. 최근엔 HSBC, 바클레이즈 등 영국 은행들도 NZBA 탈퇴에 동참했다. 미국 대형 은행들이 NZBA를 탈퇴한 배경엔 트럼프 대통령과 공화당으로부터 역풍을 맞을 가능성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분석됐었다. 그러나 막상 뚜껑을 열어보니 미국 은행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친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과 역행한 것이다. 다만 은행들의 이같은 행보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의식보단 화석연료에 대한 투자 매력도가 시들어진 것이 더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JP모건 애널리스트들은 “이 같은 흐름은 2020년 이후 글로벌 업스트림 석유 및 가스 개발에 대한 투자가 감소한 것과 맞물린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컬럼비아대학교의 지속가능 투자 연구소장인 리사 삭스는 “은행은 수익 극대화를 위해 존재한다"며 “경제 방향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블룸버그 또한 “은행들이 채권 및 대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있어 넷제로 목표보다 시장 요인이 더 강력하게 작용한다"며 “미국 은행들은 자본주의의 압박에 배출량을 줄이고 있는 것 같다"고 짚었다. 한편,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농협금융지주, IBK기업은행, JB금융그룹 등 한국 7개 금융사들이 NZBA 회원직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NZBA에 참여하고 있는 금융사들은 126개다. 박성준 기자 mediapark@ekn.kr

지방은행, 건전성에 ‘먹구름’…기업·가계 연체 동반 상승

지역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며 지방은행들의 연체율 악화가 지속되고 있다. 중소기업·자영업자 등 기업대출은 물론 가계대출 연체율도 상승하고 있어 자산건전성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7일 각 은행에 따르면 지방은행인 BNK부산·BNK경남·전북·광주은행과 시중은행으로 전환했지만 아직 지역 기반인 iM뱅크 등 5개 은행의 상반기 말 평균 연체율은 1.05%로 나타났다. 전분기 대비 0.04%포인트(p) 상승한 수치다. 연체율이 1%를 넘으면 건전성에 위기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은행권은 분석한다. 연체율은 특히 올해 들어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지난해 말 연체율은 0.7%였는데 올해 1분기 말에 1.01%로 뛰었고, 2분기 말에는 1.05%로 상승하며 반년 만에 0.35%p 악화됐다. 가장 큰 부담은 기업대출에서 나타나고 있다. 기업대출 평균 연체율은 1.05%로, 지난해 말 대비 0.4%p 높아졌다. 이중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1.16%까지 치솟으며 6개월 만에 0.44%p나 높아졌다. 지역 경기 상황이 좀처럼 나아지지 않자 은행 기업대출의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건설업, 제조업 등에서 부실 대출이 늘어나고, 소규모 기업과 자영업자의 상환 여력이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부산은행의 경우 0%대였던 대기업 대출 연체율도 0.53%로 상승했다. 은행별로 보면 전북은행의 총연체율이 1.58%로 가장 높았다. 전분기에 비해서는 0.01%p 줄었으나, 작년 말과 비교하면 0.49%p 상승했다. 경남은행 총연체율도 1.02%로 1%를 넘어섰다. 전분기보다 0.34%p, 지난해 말보다는 0.57%p 급등했다. 이어 부산은행 0.94%, iM뱅크 0.93%, 광주은행 0.76%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대출 연체율을 봐도 전북은행이 1.46%로 가장 높았다. 이어 iM뱅크가 1.05%를 기록했고, 경남은행 1.03%, 부산은행 0.98%, 광주은행 0.71%로 뒤를 이었다. 가계대출 연체율도 안심할 수 없는 수준에 도달했다. 가계대출 평균 연체율은 1%로, 전분기 말 대비 0.05%p, 지난해 말 대비 0.24%p 증가했다. 경기 침체가 가계의 상환 능력에도 충격을 주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부실채권이 늘어나며 고정이하여신비율도 악화했다. 5개 은행의 평균 고정이하여신비율은 0.89%로 집계됐다. 전분기보다는 0.01%p 소폭 낮아졌지만,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0.22%p 상승했다. 지역 경기 회복의 뚜렷한 신호가 보이지 않으며 지방은행의 자산건전성 관리는 당분간 쉽지 않을 것이란 예상이다. 앞서 BNK금융지주는 연체율이 하반기에 정점을 찍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주성 BNK금융 위험관리책임자(CRO)는 지난달 상반기 실적 발표 컨퍼런스콜에서 “하반기 건전성 예측을 위해 은행과 계열사를 전수조사한 결과 고정이하여신비율이 2분기 말 1.62%에서 연말에는 1.4~1.6% 수준으로 하락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송두리 기자 dsk@ekn.kr

HD현대, 한·미 AI 공조 ‘MASGA 공략’ 채찍질

HD현대가 미국의 인공지능(AI) 방산기업 안두릴 인더스트리와 함정 분야 협력을 넓히며 미국 공략에 속도를 낸다. HD현대는 6일 안두릴과 경기도 성남시의 HD현대 글로벌R&D센터(GRC)에서 '함정 개발 협력을 위한 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체결식에는 주원호 HD현대중공업 특수선사업대표와 팔머 럭키 안두릴 공동설립자가 참석했다. 이번 MOA는 지난 4월 안두릴과 맺은 양해각서(MOU)를 보다 구체화한 것이다. 양사는 HD현대의 AI 함정 자율화 기술 및 함정 설계·건조 기술과 안두릴의 자율 임무 수행 체계 설루션을 상호 공급하기로 했다. 한국 시장에서는 HD현대가 개발 중인 무인수상정에 안두릴의 자율 임무 수행 체계 솔루션이 탑재될 예정이다. 미국 시장에서는 안두릴이 주도해 개발한 유·무인 함정에 대해 HD현대가 설계, 건조를 담당하고 AI 함정 자율화 기술을 공급하기로 했다. 양사는 또 한국과 미국 시장에서 각각 선보일 무인수상정(USV)의 프로토타입(시제품) 공동 개발을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한국용 USV 프로토타입은 2027년께 선보일 계획이다. 주 대표는 “무인함정은 미래 해전(海戰)의 핵심이자 필수요소"라며 “최고 수준의 자율 임무 수행 체계 기술을 갖춘 안두릴과의 협력을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무인 함정을 개발하겠다"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삼성·LG, 디스플레이 리더십은 “내가 한수 위”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7~9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리는 'K-디스플레이 2025'에 참가해 기술력을 뽐낸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디스플레이는 'Exploring Future Lifestyles with OLED Innovation!'을 주제로 행사에 참여한다. 전시에서는 관람객의 눈높이에 맞춰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초미세 올레도스(OLEDoS:OLED on Silicon) 패널을 만나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초고해상도 확장현실(XR) 기기의 활용 가능성과 생생함을 간접 체험할 수 있다. 화면 밝기가 6000니트에 이르는 스마트워치용 마이크로 액정표시장치(LED) 워치도 최초 공개됐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올해 초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CES 2025'에서 4000니트 밝기의 워치형 마이크로 LED 제품을 공개했다. 이보다도 2,000니트 더 밝은 제품을 반년 만에 새롭게 선보이는 것이다. 6000니트 밝기는 기존 공개된 워치형 제품 중 최고 수준이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저명한 현대 미술 작가와 협업해 'OLED 갤러리'도 구성했다. 강렬한 색채로 초현실적 세계를 그려내는 바심 마그디, 화려한 꽃 정물화 등으로 하이퍼 리얼리즘을 담아내는 마크 데니스의 유명 작품들이 업계 최고의 색 재현력을 자랑하는 삼성디스플레이 제품 위에서 다시 태어난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이번 전시에서 국내 대표 게임업체 중 하나인 엔씨소프트와 협업한다. 올 하반기 최대 기대작인 신작 '아이온2'와 '브레이커스: 언락 더 월드'를 통해 QD-OLED 모니터와 OLED 노트북의 우수한 화질을 소개할 계획이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회사가 준비하고 있는 올레도스 같은 혁신 기술이 우리의 일상을 어떻게 바꿔놓을지 미래를 상상하고 체험해볼 수 있는 특별한 전시를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LG디스플레이는 '미래를 만들어 나가는 디스플레이 기술'을 주제로 부스를 차렸다.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혁신 기술 및 디스플레이 설루션을 제시한다는 생각이다. 세계 최초·최고 디스플레이 기술을 직접 경험할 수 있는 체험존도 운영한다. LG디스플레이는 회사가 일궈온 OLED의 기술 리더십을 한 눈에 확인할 수 있는 'OLED 헤리티지 전시 공간'을 마련했다. OLED TV 패널의 초석이 된 2009년도 시제품 15인치 OLED 패널을 시작으로 △탠덤 OLED의 2층 구조 △2세대 OLED 패널의 중수소 원자 구조 △3세대 OLED 패널의 마이크로 렌즈 어레이 기술 △4세대 OLED 패널의 프라이머리 RGB 탠덤 구조를 각각 모형화했다. LG디스플레이가 올해 공개한 83인치 OLED 패널도 만나볼 수 있다. 이 제품에 적용된 4세대 OLED 기술은 업계 최초로 빛의 삼원색을 모두 독립된 층으로 쌓은 '프라이머리 RGB 탠덤' 기술을 기반으로 최대 4000니트의 밝기를 달성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른 OLED 모니터 패널도 최초로 소개됐다. LG디스플레이의 540Hz 27인치 OLED 패널(QHD)은 DFR(Dynamic Frequency & Resolution) 기술을 적용해 사용자 필요에 따라 최대 720Hz(HD)의 초고주사율을 구현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중심 차량'(SDV)을 넘어 완전 자율 주행이 가능한 생활공간 콘셉트카에서 LG디스플레이의 다양한 차량용 디스플레이 기술 및 제품들을 체험할 수 있다. SDV에 최적화된 57인치 필러투필러(P2P, Pillar to Pillar) LCD'는 현존 최대 크기의 차량용 디스플레이다. 자연스러운 곡면 화면으로 필요에 따라 정보와 엔터테인먼트 기능을 제공한다. 사용자가 원할 때 화면이 아래로 펼쳐지는 '차량용 32.6인치 슬라이더블 OLED'와 광고 및 외부와의 소통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 가능한 초고휘도 디스플레이 '29인치 아웃도어 LCD' 등도 전시된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상용 기술에 대한 완성도뿐만 아니라 미래기술 연구개발(R&D) 역량까지 탄탄히 준비해 지속가능한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차별화된 고객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여헌우 기자 yes@ekn.kr

롯데시네마, 영화로 듣는 강연 ‘롯시클래스’ 론칭

롯데시네마가 영화를 둘러싼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는 극장 강연 콘텐츠 '롯시클래스'(Lotsee Class)를 론칭한다. 이를 통해 롯데시네마는 관객이 영화를 마주했던 '극장'이라는 곳에서 작품을 다시 곱씹고 새로운 시선으로 해석해 보는 뜻깊은 시간을 선사할 예정이다. 첫 번째 '롯시클래스'는 광복 80주년을 맞아 '역사'를 주제로 진행된다. 1강은 오는 16일 오후 2시 서울 송파구 롯데시네마 월드타워에서 영화 '암살'을 통해 '독립운동가와 친일파의 충돌, 광복을 준비한 사람들'을 주제로 이야기한다. 연사는 대한민국 대표 역사학자인 심용환 역사N교육연구소 소장이 선정됐다. 김세환 롯데컬처웍스 엑스콘팀장은 “앞으로 다양한 장르와 주제를 아우르는 '롯시클래스' 강연을 통해 극장에서의 새로운 관람 문화를 만들어갈 것"이라며 “극장에서 지적 즐거움은 물론 색다른 영화적 경험을 함께 나눌 수 있길 바란다"고 전했다. 백솔미 기자 bsm@ekn.kr

케이카, 신차급 수요 증가에 2분기 ‘최대 매출’

케이카(K Car)는 올해 2분기 잠정 경영실적을 집계한 결과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6088억원, 181억원을 기록했다고 7일 공시했다. 이 기간 매출은 분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3.4%, 영업이익은 0.1% 각각 증가했다. 소매와 경매 모두 평균판매단가(ASP) 상승으로 인한 실적 성장이 이어졌다. 우선 소매의 경우 정치적 불확실성 등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으로 판매량은 다소 감소했으나, 신차 가격 상승으로 인한 준신차급의 중고차 수요 유입이 늘어난 점이 긍정적으로 작용했다. 한편으로는 1500만원 미만 실속형 차량에 대한 수요도 꾸준히 증가하며 안정적인 판매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경매 부문의 경우 수출 수요 증가로 인해 전년 동기보다 판매대수가 7.9% 증가하는 등 성장세를 이어갔다. 렌터카 부문 역시 상승세를 꾸준히 이어가며 실적 향상에 기여했다. 여기에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내부 운영 전략을 고도화하며 시장의 수요를 정교하게 예측, 재고 회전 일수를 줄이는 등 운영 효율화를 이어간 점도 주효했다. 케이카는 이에 더해 독보적인 OMO(Online-Merge-Offline) 경쟁력을 기반으로 한 시장 지위 공고화, B2B 파트너십을 통한 상품 경쟁력 강화 등 안정적인 성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올 하반기에는 사회적, 정치적 불확실성 해소와 함께 향후 경제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형성되고 있어, 그 동안 이연된 중고차 수요도 점차 회복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 중고차 시장이 점차 주요 대기업들의 인증 중고차 시장 진출로 경쟁 구도가 재편되는 가운데 케이카는 AI 활용 상품 운영 고도화와 매입 채널 다변화를 통한 수익 극대화, 마이카 등 차별화된 서비스를 통한 고객 편의 강화로 유효시장 점유율을 꾸준히 높여 업계 리더로서 위상을 점차 확고히 다져나갈 계획이다. 정인국 K카 사장은 “시장 상황에 맞는 상품 구성 최적화와 수익성과 회전율을 동시에 고려한 효율적 운영 전략으로 장기적인 성장을 이어가고 있다"며 “소비자의 기대 수준 상승과 구매 방식 변화가 본격화되면서 케이카의 경쟁력이 더욱 부각되고 있으며, 당사는 이런 수요 집중 효과를 적극 견인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삼성SDI 배터리 탑재 美전기차 ‘세계 최장주행’ 기네스북 올라

삼성SDI 배터리가 탑재된 전기차가 세계 최장 주행 기록을 세우며 기네스북에 등재됐다. 삼성SDI는 고객사인 미국의 전기차 전문 생산업체 루시드 모터스의 '루시드 에어 그랜드 투어링' 모델이 최근 1회 충전 주행 테스트에서 세계 신기록을 갈아치웠다고 7일 밝혔다. 지난 달 스위스 생모리츠와 독일 뮌헨을 오가는 고속도로와 고산도로, 이면도로 등에서 진행된 주행 테스트에서 '루시드 에어 그랜드 투어링'은 추가 충전 없이 1205㎞(749마일)을 달린 것으로 기록됐다. 이는 이전 기록(1천45㎞)보다 무려 160㎞나 늘어난 것이다. 이 같은 기록은 삼성SDI의 배터리 기술력에 루시드의 파워트레인 효율성이 더해져 만들어진 결과물이다. '루시드 에어 그랜드 투어링'은 지난해 삼성SDI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출시된 장거리 주행 특화 모델이다. 탁월한 배터리 성능을 기반으로 긴 주행거리뿐만 아니라 제로백 3초, 최고출력 831마력, 최고시속 270㎞, 급속 충전(16분 충전에 400㎞ 주행 가능) 등을 자랑한다. 이 차량에는 삼성SDI의 21700 규격 원통형 배터리가 6600개 탑재돼 세계 최고 수준의 주행 성능을 발휘한다. 이 21700 원통형 배터리는 하이니켈 NCA 양극과 실리콘 소재 음극을 기반으로 고용량, 장수명, 급속 충전 등 뛰어난 성능을 갖춘 고성능 배터리이다. 삼성SDI와 루시드는 지난 2016년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이후 삼성SDI의 원통형 배터리를 탑재한 고성능 모델 '루시드 에어 드림 에디션' 등을 시장에 선보였다. 루시드 모터스는 지난 2007년 미국에서 설립돼 전기차 배터리 팩 제조를 시작으로 고성능 전기차 개발에 뛰어들었으며, 세계 최고 수준의 파워 트레인 기술을 선보이며 '테슬라 대항마'로 이름을 알렸다. 현재 미국 애리조나주에 생산 거점을 갖추고 있다. 삼성SDI 관계자는 “세계 최장거리 운행 차량에 삼성SDI의 원통형 배터리가 탑재되며 최고의 기술력을 입증했다"라며 “루시드 모터스와의 협력을 강화해 글로벌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 차별화된 성능과 안전성을 겸비한 제품 개발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찬우 기자 lcw@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