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재명 대통령의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에 동행한 경제사절단이 정부의 '실용외교'에 힘을 보탠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등이 대거 수행하며 '팀 코리아' 민간외교관으로 정부를 지원사격하고 있다. 23일 재계에 따르면 주요 그룹 총수들은 25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한미 정상회담에 경제사절단 자격으로 함께한다. 이 회장과 최 회장을 비롯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류진 한국경제인협회장, 정기선 HD현대 수석부회장, 허태수 GS그룹 회장, 이재현 CJ그룹 회장,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 등도 동행한다. 한·미 정상회담에서 조선을 비롯해 반도체, 이차전지, 원자력발전소 등 산업협력 방안이 주요 의제에 오를 것으로 예상돼 정부간 협의뿐 아니라 민간 기업간 협력 확대 및 우리 기업의 추가 대미투자 발표 등이 뒤따를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사절단은 24일 이 대통령의 방미 일정에 맞춰 잇달아 출국해 한·미 정상회담 지원을 위한 경제협력 투자 확대 등 측면지원을 펼치고 있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도 반도체 관련 일본의 소재·부품·장비 업체와 기술 협력 확대를, 미국 일정기간에는 텍사스주 테일러 공장의 증설 계획을 발표할 것으로 전해진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의 경우 대한상공회의소 회장도 겸임하고 있어 미국쪽 경제계와 협력 범위를 넓히는 교류에서 민간외교의 핵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SK하이닉스가 미국 인디애나주 웨스트 라파예트에 차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 생산을 위한 후공정 공장 건설을 검토하고 있어 이번 방미 기간에 구체적인 진전 내용을 내놓을 지 관심거리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지난 3월 미국 백악관을 방문해 오는 2028년까지 총 210억달러(약 29조2800억원) 투자를 약속한 만큼 추가 투자 및 세부 진행 내용을 공개할 가능성도 있다. LG그룹은 이차전지 분야 공략에 적극적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기존 생산시설에 더해 미시간주 랜싱과 애리조나에 단독 공장을 짓고 있다. 이밖에 조지아와 오하이오에서 각각 현대차·혼다와 합작 공장을 건설 중이다. 한·미 상호관세 합의에 결정적 역할을 한 마스가(MASGA·미국 조선업을 다시 위대하게) 프로젝트의 주역들도 방미 기간 활발한 행보를 펼치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방미 기간에 미국 필라델피아 소재 한화 필리조선소 방문 일정에는 김동관 한화 부회장이 수행한다. GS그룹은 미국 액화천연가스(LNG) 프로젝트 및 에너지사업과 관련한 활동을 전개할 것으로 보인다. 한진그룹은 미국 보잉과 48조원 규모 항공기·엔진 도입 계약을 맺는 등 현지 기업들과 협력 관계를 돈독히하고 있다. 경제사절단의 방미 활동이 '트럼프 리스크'를 완전히 해소하는데 일정 정도 기여할 것인지 관심이 쏠린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 대표단과 만난 뒤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미국이 한국과 전면적이고 완전한 무역 합의를 체결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당시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며 대통령인 내가 선택하는 투자를 위해 3500억달러를 미국에 제공할 것"이라며 “추가로 1000억달러 상당의 액화천연가스(LNG)나 기타 에너지 제품을 구매하고 한국의 투자 목적을 위해 큰 액수의 돈을 투자한다는 데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면서 “(정확한) 액수는 향후 2주 내로 한국의 이재명 대통령이 양자회담을 위해 백악관으로 올 때 발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입장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다른 나라와 무역합의를 해놓고 시간이 지나 말을 바꾸는 상황이 여러차례 있었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이번 방미기간 정부 측과 경제사절단은 우리 측에 불리한 얘기가 터져나오지 않도록 관리하는 데 힘을 쏟을 것으로 예상된다. 여헌우 기자 yes@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