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기간 ~

GHCO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는 1건 입니다.

미래에셋증권이 해외 법인 실적 확대에 힘입어 올해 상반기 양호한 실적을 이어갔다. 투자중개, 운용, 자산 관리 등 주요 사업 부문이 일제히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해외법인 실적이 전체의 26%를 차지하면서 글로벌 전략이 성과로 나타났다는 평가가 나온다. 다만, 투자은행(IB) 부문은 역성장했다.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상반기 영업이익 8466억원, 반기순이익 6640억원을 기록했다. 1년 전에 견줘 영업이익과 반기순이익은 각각 55.6%, 80.2% 올랐다. 2분기 실적만 보면, 분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시장 컨센서스를 큰 폭으로 웃돌았다. 증권가에서는 이번 어닝 서프라이즈의 주된 요인으로 운용 부문의 실적 호조와 투자목적자산의 평가이익 증가를 꼽았다.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트레이딩 부문의 경우 별도 기준으로 채권 등 운용손익이 견조했고 해외 혁신기업 등 투자목적자산에서 해외 시장 환경 흐름 및 이벤트 등을 바탕으로 대규모 이익을 보이면서 해외부동산 관련 손실 약 600억원을 상쇄하며 총 1263억원의 이익을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미래에셋증권은 “해외법인 실적이 큰 폭으로 확대된 것이 주효했다"고 자평했다. 미래에셋증권의 해외법인 세전이익은 1061억원으로 2분기 연속 1000억원대를 기록했다. 상반기 합계는 2242억원이다. 미래에셋증권의 상반기 전체 세전이익 중 26%가 해외에서 나왔다. 미래에셋증권은 미국, 영국, 싱가포르, 인도, 인도네시아, 베트남 등에서 해외법인 18곳과 사무소 3곳을 운영하고 있다. 미국, 홍콩, 유럽 등 선진 시장에서 상장지수펀드(ETF) 중심 비즈니스가 주요 실적을 견인했다. 인도 현지법인 미래에셋쉐어칸은 위탁매매 중심 비즈니스에서 자산관리 영역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현지에서 입지를 넓히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2022년 영국의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조성 전문기업 'GHCO'를 인수하며 해외 비즈니스 확장에 힘쓰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GHCO의 노하우를 홍콩시장으로 확장했다. GHCO는 블랙록, 뱅가드 등 18개 ETF운용사와 2000여개 ETF 종목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시장조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다. 미국에서는 ETF 마켓메이킹 전문회사 GTX를 설립했다. 해외실적 호조의 배경엔 미래에셋그룹의 글로벌 전략이 있다. 박현주 미래에셋그룹 회장은 2003년 홍콩 진출을 시작으로 미래에셋증권의 해외 투자에 집중해왔다. 미래에셋그룹은 현재 자기자본 23조원으로 19개 지역에 52개 해외법인·사무소를 운영하고 있다. 박 회장의 글로벌 전략에 따라 해외 투자 규모는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반기보고서에서 영업부문별 추이를 보면, 자산관리(WM), 트레이딩(S&T), 자기자본 투자(PI) 등은 성장세를 이어갔지만, 투자은행(IB) 부문은 영업이익이 절반 가까이 줄었다. 올해 상반기 연결 기준으로 자산관리 부문의 영업이익은 4356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상반기 2453억원에서 매년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자산관리 부문에서 고객자산 약 533조원, 연금자산 47.3조원으로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말에 견줘 약 50조원 늘어난 규모다. 미래에셋증권은 올해 신년사에서 “WM은 고객 맞춤형 종합 자산관리를 강화해 자산 증대 및 수익 확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며 “IB∙트레이딩과 협업해 프라이빗 상품 공급을 확대하고, 패밀리오피스 등 차별화된 종합 컨설팅 및 서비스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발맞춰 고액 자산가를 대상으로 한 프라이빗 자산관리(PWM)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개인과 기업, 가문까지 아우르는 원스톱 솔루션 제공을 위해 전담 조직을 신설했다. 같은 기간 트레이딩(S&T) 부문의 영업이익도 3679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상반기 628억원에서 매년 70~90%대 성장률을 기록했다. 김지영 교보증권 연구원은 “시장금리 하락 및 주식시장 호조로 채권과 파생운용 실적이 개선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미래에셋증권은 “시장 변동성 확대가 지속되면서 하반기에도 리스크 관리에 중점을 둔 운용 전략으로 대응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올해 상반기 투자은행 부문의 영업이익은 556억원을 기록해 1년 전(1131억원)에 견줘 50% 가량 줄었다. 미래에셋증권은 2분기에 인투셀과 달바글로벌 IPO를 포함해 상반기에 총 10건의 IPO를 주관해 리그테이블 1위를 기록했다. 하반기에도 소노인터내셔널, 더핑크퐁컴퍼니 등 주요 딜을 주관할 예정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문은 시장 침체로 인해 실적이 다소 저조했다. 미래에셋증권 관계자는 “부동산PF 업황이 회복되지 못한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하반기에는 우량한 수도권 사업장 본PF 주선 등에 참여를 모색해 수익 개선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2025-08-26 13:13 최태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