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기간 ~

코리안리재보험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는 1건 입니다.

이 보험·투자 성과를 앞세워 수익성을 끌어올리고 있다. IFRS17이 도입된 2023년 이후 처음으로 별도 기준 연간 순이익 3000억원대 진입이 가능하다는 분석도 힘을 얻고 있다. 코리안리는 2023년과 지난해 각각 2875억·2859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20일 네이버페이 증권에 따르면 이날 코리안리 주가는 1만1340원으로, 지난 1월2일 대비 41.2% 상승했다. 생·손보를 막론하고 원수보험사들이 어려움을 겪는 것과 다른 실적 추이가 나타나고 있는 까닭으로 풀이된다. 올 1~3분기 매출(4조9396억원)이 전년 동기 대비 1.5% 늘어난 반면, 영업이익(3982억원)과 순이익(2697억원)은 각각 28.3·21.3% 증가했다. 외형 보다 질적인 성장이 빠르게 이뤄졌다는 의미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법인세율 인상을 예상하고 이연법인세부채 적립 예상분을 법인세비용에 선반영한 것이 이같은 현상으로 이어졌다고 분석했다. 코리안리는 일반손해보험 수익성 개선을 위해 저마진 비례특약을 줄이고 해외수재를 늘리는 중으로, 장기손해·생명보험은 공동개발상품 및 공동재보험 수재 확대로 보험수익을 끌어올렸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자동차보험 수익(1451억원)은 31.9% 축소됐다.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8%에서 4.0%로 낮아졌다. 농작물보험이 포함된 기타부문(2247억원) 수익도 27.9% 감소했다. 반면 일반손해보험 중 해외부문은 1조2380억원으로 4.5%, 생명보험(5269억원) 역시 3.0% 증가했다. 합산비율이 88.1%로 3.7%포인트(p) 낮아진 것도 특징이다. 이 중 해외P&C 부문의 합신비율은 75.6%로 실적 향상을 견인했다. 상반기에는 영남과 미국 로스앤젤레스(LA) 산불을 비롯한 국내·외 자연재해가 발생했으나, 3분기에는 고액사고가 없었던 덕분이다. 해외수재 '가성비'도 높이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유럽(29.1%)과 북미(24.2%)의 비중이 전체의 5분의 3에 달한다. 구매력이 높은 곳을 중심으로 영업활동을 전개한 셈이다. 이 과정에서 한때 50%를 넘었던 아시아의 비중은 37.2%로 축소됐다. 중국(7.6%)과 일본(5.5%)의 비중이 줄어든 탓이다. 그러나 최근 '분산투자'에 나섰다. 코리안리는 내년 4월 오픈을 목표로 인도 구자라트 지역에 법인 설립을 추진하고 있다. 세계 10위 규모의 보험시장에서 성장동력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인도의 최근 경제성장률은 6~7% 수준으로 세계 평균을 대폭 웃돌고 있다. 현지 정부의 투자유치 정책 등에 힘입어 △LG전자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포스코 △HD현대건설기계 △HS효성첨단소재 등 국내 기업들의 신·증설 러시도 이어지는 추세다. 코리안리는 이로 인해 발생하는 재보험 수요를 공략한다는 계획이다. 종목별로 보면 특종보험의 비중이 커지고 있다. 특종보험은 기술보험과 배상책임보험 등을 아우르는 것으로, 수익성이 큰 것으로 평가된다. 기존 보험상품이 보장하지 않던 위험을 보장하는 까닭에 보험료가 높게 책정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생명보험의 비중은 꾸준히 작아지고 있다. 아시아 지역 단체 건강보험 및 미주지역 사망보험 등 실적이 좋지 않은 계약들의 인수를 중단한 여파다. 3분기 투자손익(677억원)이 118% 급증하는 등 투자 실적도 확대되고 있다. 김 애널리스트는 환율 영향을 제외한 경상 투자손익이 148% 불어났다고 분석했다. 운용자산(11조1820억원)이 8% 커지고 당기손익-공정가치(FVPL) 평가이익이 160억원 발생했다는 논리다. 코리안리는 기준금리 인하 국면에서 수익성을 제고하기 위해 해외채권·대체투자·주식 비중을 높였다고 밝혔다. 3분기 기준 해외채권과 대체투자 비중은 각각 29.9%·18.6%로 국내채권(34.0%) 다음으로 많다. 주식(5.3%)의 존재감도 커졌다. 국내채권의 수익성이 제자리걸음을 하는 동안 코스피·뉴욕증시 강세를 비롯한 우호적 환경에 힘입어 주식과 해외채권 등의 수익률이 향상된 만큼 리밸런싱을 통한 투자손익 개선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코리안리 관계자는 “수익성 향상을 위해 종목·지역별 포트폴리오를 지속적으로 조정해왔다"며 “투자손익은 운용자산 증가에 따른 이자 및 배당 수익 확대의 영향을 받았다"고 말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2025-11-20 18:02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