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기상산업의 미래, ‘AI·기후대응·에너지전환’서 찾는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11.20 17:37

기상청·기상산업기술원, ‘기상산업 성장 세미나’ 개최

기상청 주최,기상산업기술원 주관으로 서울 서대문구 기상산업기술원에서 20일 '기상산업 성장 세미나'가 열렸다.

▲기상청 주최, 한국기상산업기술원 주관으로 서울 서대문구 기상산업기술원에서 20일 '기상산업 성장 세미나'가 열리고 있다. 사진= 이원희 기자

인공지능(AI)을 활용해 기후변화에 따른 재난이나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예측하는 기업들이 앞으로 유망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국기상산업기술원은 현 정부 기조에 맞춰 AI를 융합한 기상산업 육성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기상청 주최,기상산업기술원 주관으로 서울 서대문구 기상산업기술원에서 20일 '기상산업 성장 세미나'가 열렸다.


양시은 기상산업기술원 실장은 세미나에서 “내년에는 AI, 기후변화 대응, 지속 가능한 에너지전환 분야에 좀 더 집중해 기상산업을 지원하려 한다"고 밝혔다. 폭염·극한호우 등 이상기후를 예측·대비하는 사업과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을 통해 발전 변동성에 대응하는 사업이 유망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인코어드테크놀로지스의 재생에너지 발전량 예측과 케이웨더의 건설현장 기후리스크(폭염) 관리 사업이 대표 사례로 소개됐다.


태양광·풍력발전은 햇빛과 바람 등 날씨에 따라 발전량이 크게 달라진다. 이에 기상 예측을 발전량이 적을 것으로 예상되면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을 미리 가동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전력당국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정교하게 예측할수록 각종 정산금을 지급하고 있어, 재생에너지 확대와 함께 해당 사업의 성장성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


건설현장에서는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으로 체감온도를 확인할 수 있는 측정기기 설치가 의무화됐다. 기상 예측은 수km 단위로 범위가 넓어 실제 콘크리트로 덮인 건설현장은 기상 예보보다 더 높은 온도를 기록할 수 있다. 이에 현장 측정기와 AI 예측모델을 결합해 폭염 대응을 지원하는 서비스 역시 주목받고 있다.




기상산업기술원은 기상·기후데이터 활용 지원사업을 통해 과제당 최대 1억 원을 지원하고 있다.


대표적인 지원 사례로는 선박 조기경보 AI 솔루션과 드론 방제 관리시스템이 있다.


선박 조기경보 AI 솔루션은 강풍·풍랑·호우 등 위험기상을 사전에 알려 선박이 최적 항로를 선택할 수 있도록 돕는 서비스다. 이를 통해 선박 의사결정 시간이 약 30% 단축되고, 연간 물류비용 15%, 탄소배출량·에너지 사용량은 최대 10%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드론 방제 관리시스템은 드론 방제 작업 시 비행 가능 시간과 최적 조건을 파악하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해당 솔루션을 활용하면 드론 사용자가 운용 1회당 약 500만원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