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기간 ~

자사주 EB 발행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는 1건 입니다.

올해 3분기 담보 교환사채(EB) (EB)이 크게 늘어난 가운데, EB 을 위한 '주주 설득'이 갈수록 중요해지고 있다. EB가 더불어민주당이 추진하는 소각 의무화를 피하기 위한 '꼼수 '이라는 지적이 나오면서 태광산업과 KCC는 EB 을 중단했다. 반면 DB하이텍은 같은 방식의 자금조달에도 주가가 크게 올랐다. 기업마다 자금조달 명분과 구조, 공시 투명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20일부터 교환사채 공시 규정이 강화돼 앞으로 EB 은 줄어들 전망이다. 지난 9월에만 39개 기업이 EB 을 공시했다. 3분기(7~9월) 전체로 보면 50건이 공시됐고, 규모는 1조4455억원 가량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지난 7월 ' 소각 의무화' 법안을 논의하기 시작한 이후 EB 이 급증했다. EB 을 추진한 기업 중 거센 비판을 받은 곳은 태광산업과 KCC다. 담보 EB 자체는 불법이 아니지만, 주주 설득 등 절차적 정당성을 지키지 않았다는 비판이 많았다. 기업이 가진 자기주식을 뜻하는 는 원래 배당과 함께 대표적인 주주환원 수단으로 평가받았다. 기업이 시장에 유통 중인 를 사들인 뒤 소각하면 주식 총수가 줄어 주당순이익(EPS)과 자기자본이익률(ROE)이 개선되고 이것이 주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EB 담보로 활용하면 시장에 를 다시 내놓는 방식이어서 유통 주식 수가 늘어나고 주가가 떨어질 우려가 있다. 일각에서는 EB의 경제적 실질은 3자배정 유상증자에 따른 신주 과 같다는 지적이 나온다. 또한 현행 상법상 이사회 결의만으로 EB할 수 있어서 소액주주 입장에선 일방적 결정으로 여겨질 수 있다. 태광산업은 지난 6월 27일 보유 중인 27만1769주(전체 주식의 24.41%)를 기초자산으로 3200억원대 EB한다고 공시했다. 태광산업은 교환사채 으로 조달한 자금을 신사업 투자 등에 쓴다고 밝혔다. 시장에서는 주주가치를 훼손한 '꼼수 자금조달'이라는 비판이 거셌다. 태광산업 2대 주주인 트러스톤자산운용은 “를 교환 대상으로 하는 EB 은 교환권 행사 시 사실상 3자 배정 유상증자와 동일한 효과가 있어 기존 주주의 이익을 심각하게 침해한다"면서 소송을 제기했다. 태광산업 주가는 담보 교환사채 공시 다음 거래일에 11.24% 하락 마감했다. 이후 태광산업은 담보 교환사채 을 중단하고 이달 중 이사회를 열어 다시 논의하겠다고 밝혔다. KCC도 담보 EB 을 두고 태광산업과 비슷한 논란을 겪었다. KCC는 지난달 24일 주식 총수의 17.24%(153만2300주)에 달하는 활용 계획을 발표했다. 소각 35만주, 교환사채 88만2300주, 사내근로복지기금 30만주 등이다. 다음날 KCC 지분 1%를 가진 라이프자산운용은 “KCC 시가총액보다 많은 삼성물산 보유 지분부터 먼저 활용 계획을 내놓으라"는 내용의 공개서한을 보냈다. KCC 주가는 EB 을 공시한 날 11.75% 하락 마감했다. KCC는 활용 계획을 발표 6일 만에 백지화했다. DB하이텍은 담보 교환사채 을 공시했지만, 주가가 10% 넘게 뛰었다. 지난달 10일 DB하이텍은 소각 148만6000주, 교환사채 222만주, 사내근로복지기금 출연 44만4000주 등의 활용 계획을 공시했다. 15일에는 앞서 밝힌 활용 계획에 따라 담보 교환사채를 해 1256억원을 조달한다고 밝혔다. DB하이텍 주가는 10일 8.62% 상승 마감했고, 교환사채 공시 다음날인 16일에는 9.20% 상승 마감했다. 태광산업, KCC와 달리 DB하이텍은 교환사채로 조달한 자금의 활용 계획을 전액 시설 투자에 쓸 계획이라고 구체적으로 밝혔다. 충북 음성에 있는 상우공장의 사우스 팹(Fab2) 클린룸 확장과 유틸리티 공사에 1006억원을 투입한다. 기간은 이달부터 오는 2027년 10월까지 약 2년간이다. 또한 차세대 전력 반도체 양산 투자에도 250억원을 집행한다. 시장에서는 담보 교환사채 자체가 문제라기보단 왜 로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지, 조달한 자금을 어떻게 쓸 것인지 등을 주주에게 설득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 담보 교환사채는 법적으로 금지된 방법이 아니다"며 “다른 자금조달 방법이 없어서 를 팔아 돈을 조달할 수밖에 없다는 걸 주주에게 설명하면 어떤 주주가 마다하겠냐"고 지적했다. 이어 “태광이나 KCC는 보유 현금도 많고 담보로 할 다른 자산도 많은 데 굳이 를 푸는 방식으로 했기 때문에 비판을 세게 받은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감독원은 대상 교환사채 에 관한 공시 의무를 강화하는 방안을 20일부터 시행했다. 앞으로 대상 교환사채 선택 이유, 주주에게 미치는 영향 등을 관련 내용을 충분히 공시해야 한다. 자금조달 방식으로 대상 교환사채 을 선택한 이유를 회사가 시장에 충분히 알리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개선안을 내놓은 것이다. 법무법인 태평양의 한 변호사는 “ 소각 의무를 담은 상법 개정이 예고된 시점에서 대상 교환사채 을 신중히 해달라는 메시지를 담은 것일 수 있다"며 “기업들은 공시 의무를 처음부터 염두에 두고 업무를 추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2025-10-21 16:47 최태현 기자 ct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