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의 수도 프놈펜 인근 범죄단지로 알려진 '망고단지'의 모습. 연합뉴스
최근 캄보디아 일부 지역에서 취업사기·감금 피해가 급증하면서 여행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언론의 대대적 보도 이후 캄보디아 범죄 단체가 인접 국가인 태국, 라오스 등으로 이동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동남아 전역에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21일 여행업계에 따르면 외교부는 지난 16일 자정을 기점으로 캄보디아 일부 지역에 여행경보를 상향 조정했다.
외교부 홈페이지에 따르면 수도 프놈펜시 비롯해 웃더민체이주·프레아비히어주·반테이민체이주·바탐방주·파일린주·푸르사트주·코콩주에는 '특별여행주의보'가 발령됐다. 또한 △캄폿주 보코산 지역·바벳시·포이펫시에는 '4단계(여행금지)' △시하누크빌주에는 '3단계(출국권고)' △특별여행주의보 및 3·4단계 제외 전 지역에는 '2단계(여행자제)'가 각각 발령됐다. 지난달 말에는 라오스, 미얀마, 태국에도 여행 주의를 공지했다.
이에 따라 여행업계는 이미 기획된 여행 상품 판매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관련 상품에 외교부가 발표한 여행경보 단계 정보를 공유해 여행객들에게 안전 여행을 당부하고 있다. 예약을 완료했거나 계획을 세우고 있는 여행객들로부터 문의 전화도 이어지고 있다.
이번 캄보디아 사태로 국내 여행 커뮤니티에도 현지 교민에게 여행의 안전을 문의하는 게시물이 잇따라 올라오고 있다. 혹시 모를 만일의 사태를 우려해 여행 계획을 취소하는 등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캄보디아는 동남아 주요 여행지인 베트남과 태국 등의 관광객 쏠림 현상을 피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수도 프놈펜과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앙코르와트 유적이 있는 시엠립 등을 즐길 수 있어 '신흥 여행지'로 부상해 왔다.
그러나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시엠립 직항이 없어지면서 캄보디아로 여행을 떠나는 한국인의 수는 크게 줄었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관광공사가 운영하는 관광특화 빅데이터 플랫폼 '한국관광 데이터랩' 집계에 따르면 2019년 25만4424명이었던 캄보디아 관광 한국인 수는 2020년 5만5935명, 2021년 6074명, 2022년 6만4040명, 2023년 17만171명, 지난해 19만2305명을 기록해 여전히 팬데믹 이전보다 적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올해 1~7월에는 10만6686명이 출국했다.
여행업계는 이번 사태가 캄보디아에 국한하지 않고 동남아 전역으로 여행 심리 위축이 퍼져가는 것에 대해 경계를 풀지 못하고 있다. 현재 대부분 여행사의 패키지 상품은 우리나라 겨울철을 피해 더운 나라로의 여행을 선호하는 한국인의 취향에 맞춘 동남아 지역 상품이어서 타격을 피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특히 코로나19 엔데믹 이후 해외로 출국하는 여행 수요가 점차 증가하면서 여행업계가 정상 궤도에 진입하고 있는 중에 벌어져 더욱 난감할 수밖에 없다.
한 여행업계 관계자는 “캄보디아는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순수 관광보다는 비즈니스 목적의 수요가 많아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다"면서도 “다만 이번 사태가 주요 동남아 여행지로 확산될 경우에는 내국인 안전을 포함해 여행상품 운영 측면에서도 상황이 심각해질 수 있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