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계엄 사태 여파로 우리나라 경제가 혼란에 빠진 가운데 자본시장에도 비상이 걸렸다. 원·달러 환율은 1400원대를 훌쩍 넘어섰고 유가증권시장(코스피)·코스닥 지수는 등락폭을 키워가며 롤러코스터 장세를 겪고 있다. 미국 등 글로벌 증시는 연말 산타랠리를 준비하고 있는 반면 국내 증시는 정치적 불확실성에 하방 리스크가 커지는 등 글로벌 시장과 반대로 움직이는 양상이다. ◇환율 1500원 돌파 가능성도…불확실성 고조 10일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 대비 10.1원 내린 1426.9원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개장가인 1430.9원보다는 소폭 조정되긴 했지만 아직 안정세에 접어들었다고 보긴 어려운 상황이다. 원·달러 환율은 비상계엄 선포 직후 1440원대로 오르더니 계엄 해제 이후로도 1430원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탄핵 정국이 전개되면서 정치적 불확실성은 당분간 확대될 전망이다. 검찰이 윤석열 대통령에 대해 현직 대통령 사상 최초로 출국금지를 신청한 데다 내란 공모 혐의로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에 구속영장을 청구하는 등 수사에 돌입했다. 오는 14일에는 국회에서 탄핵 소추안 2차 표결이 진행될 예정이다. 이에 원화 가치 하락에 대한 불안은 더 커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탄핵 정국 사태가 종료되지 않으면 환율이 1400원을 넘어 1500원까지도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외국계 투자은행(IB)인 노무라증권은 최근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정부 출범 등 대외 환경 변화와 한국은행의 외환보유고 대응 여력 부족 등이 원화 약세로 이어질 것"이라며 “내년 5월 말까지 원·달러 환율이 1500원까지 올라갈 수 있다"고 예측했다.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대외신인도 하락 등에 따른 외인 이탈, 채권, 외환시장 국가신용등급 변화 등에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전망도 나온다. 특히 트럼프 2기를 앞두고 탄핵 정국이 이어질 경우 미국 정책 등에 대응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지적이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재선으로 한국 경제에 대한 국내외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면 정책 대응 여력이 낮아질 전망"이라며 “현재는 불확실성 해소가 시장 안정에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강조했다. ◇코스피·코스닥 롤러코스터…증시 변동성 심화 계속된 정국 혼란에 증시도 변동성이 커지고 있다. 국내 양대 증시는 비상계엄 선포 이후인 지난 4일부터 9일까지 4거래일 연속 하락했다. 지난 9일에는 코스피와 코스닥은 연저점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이날은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43% 오른 2417.84를, 코스닥은 5.52% 오른 661.59를 기록하며 마감했다. 최근 4거래일 만에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시가총액이 각각 113조원, 31조원씩 빠지면서 국내 증시에서 시가총액이 총 144조원 넘게 증발했다. 특히 개미들의 투자심리가 얼어붙으면서 개인은 지난 9일까지 4거래일간 양 증시에서 누적 1조4644억원어치를 순매도했다. 이날도 개인은 코스피와 코스닥에서 각각 4220억원, 4135억원을 팔아치웠다. 투심 악화에 빚투(빚내서 투자) 규모도 올 들어 최저 수준으로 낮아졌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9일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16조401억원으로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올 초인 지난 1월3일 17조4448억원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조4000억원 넘게 빠진 것이다. 외국인도 지난 4일 이후 코스피 누적 순매도 규모가 누적 1조원에 달한다. 이날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면서 장 초반 '사자'세로 돌아섰다가 다시 1510억원 순매도로 전환했다. ◇금융당국 F4회의 연일 개최…'증안펀드 투입' 목소리도 자본시장에 경고등이 켜지면서 금융당국도 시장에 안정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연일 긴급회의를 개최하는 등 힘쓰는 모습이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에서 “견조한 펀더멘털과 대외건전성에 비해 시장 변동성이 과도하다"며 “정부·한은의 시장 대응여력은 충분하며 과도한 시장 변동성에 대해서는 시장심리 반전을 거둘 수 있을 만큼 적극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최 부총리는 “주식시장의 경우에도 기관투자자의 매수가 지속되고 있으며 외국인의 저가 매수세가 유입되는 모습도 함께 나타나고 있는 만큼 개인투자자도 보다 차분한 시각을 갖고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정부가 지난 4일 시장 안정 조치로 내놓은 10조원 규모의 증시안정펀드(증안펀드)와 40조원 규모의 채권시장안정펀드 등도 주목된다. 금융당국은 “언제든 즉시 가동할 수 있다"고 발표했지만 아직 실제 투입 시기나 투입 여부는 알려지지 않았다. 시장에서는 글로벌 증시 대비 국내 증시 부진을 이유로 증안펀드가 실제 투입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강대석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증안펀드는 16년 만에 실제로 투입될 수도 있다"며 “국내 증시의 글로벌 증시 대비 상대강도는 거의 23년 만에 최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증안펀드 실제 집행 시나리오에 따르면 시총 비중이 크면서 거래대금이 적은 반도체와 IT가전, 자동차, 조선 등 업종이 유리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김기령 기자 giryeo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