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여론조사]이재명 50.2%·김문수 35.6%·이준석 8.7%](http://www.ekn.kr/mnt/thum/202505/news-p.v1.20250518.a15d97d2d2444b75b0858b5fbbca0fce_T1.jpg)
6.3 조기 대선이 D-15일(18일 현재) 남은 가운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과반수인 50.2%의 지지율로 1위를 지켰다. 김문수 국민의힘 후보는 소폭 상승했지만 35.6%로 2위, 이준석 개혁신당 후보는 8.7%로 3위였다. 19일 여론조사 전문기관 리얼미터가 에너지경제신문 의뢰로 실시한 5월 3주차 정기조사에 따르면, 이 후보는 다자대결에서 50.2%로 전주 대비 1.9%포인트(p) 하락했다. 김문수 후보는 35.6%로 4.5%p 상승했다. 이준석 후보도 8.7%로 2.4%p 올랐다. 최근 TK 지역을 집중 공략한 이재명 후보가 대구·경북(35.3%→43.5%)에서 8.8%p 상승한 것이 눈에 띈다. 지지 여부와 무관하게 대선 주자 중 누가 당선될 것이라고 생각하는 물어본 결과 이재명 후보가 58.8%로 가장 높았고, 김문수 후보는 33.6%로 뒤를 이었다. 이준석 후보는 3.4% 수준으로 조사됐다. 현재 지지하는 후보를 선거 때까지 계속 지지할 의향이 있는 지에 대해선 '계속 지지할 것'이라는 응답이 82.3%, '상황에 따라 바뀔 수도 있다'는 14.5%, '모르겠다'는 3.2%였다. 양자 가상 대결의 경우 이재명 후보가 54.3%로 김 후보(40.4%)에 13.9%p 앞섰다. 특히 중도층에서 이재명 후보(58.6%)가 김 후보(35.1%) 보다 23.4%p 우세했다. 이재명-이준석 후보간 양자 대결에선 이재명 후보 51.4%, 이준석 후보 30.0%로 격차가 21.4%p였다. 이재명-김문수 후보간 격차 13.9%p보다 7.5%p 더 컸다. 차기 대선 집권세력 선호도에서는 '민주당 등 야권의 정권 교체'가 55.6%로 0.2%p 하락했다. '국민의힘 등 범여권의 정권 연장'은 39.5%로 0.3%p 올랐다. 정당 지지도는 △민주당(46.4%, 0.5%p↓) △국민의힘(34.2%, 3.5%p↓) △개혁신당(5.9%, 2.5%p↑) △조국혁신당(2.8%, 0.1%p↓) △진보당(0.9%, 0.7%p↑) △기타 정당(2.2%, 0.1%p↑) △무당층(7.6%, 0.9%p↑)를 기록했다. 리얼미터 관계자는 “이재명 후보가 '반윤' 보수 유권자 결집 및 중도층 흡수 등 외연 확장 행보를 지속하고 있고, 국민의힘의 '텃밭'으로 불리는 TK(대구·경북) 지역에서 지지도가 높아진 것도 특징"이라며 “당내 후보 교체 논란을 극복하고 대선 주자로 확정된 김 후보는 보수층 결집의 효과를 입는 모양새"라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리얼미터가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전국 18세 이상 유권자 1509명을 대상으로(응답률 8.4%) 실시했다. 무선 전화 RDD 자동응답(ARS) 방식이었고,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p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나광호 기자 spero1225@ekn.kr
	
							![[대선 2025]“김문수는 대장동 몇십배 개발했지만 의문사 없었다”](http://www.ekn.kr/mnt/thum/202505/news-p.v1.20250516.37050bf8e7f447b6af0940b9c619b18d_T1.jpg)
![[대선 2025] 국힘·개혁신당, 공직선거법 개정 비판…“이재명 방패 만든 것”](http://www.ekn.kr/mnt/thum/202505/news-p.v1.20250514.e12c317eeded49aeb2d7956fcb7066b9_T1.jpg)
![[대선 2025]‘초반 악재’ 시름 국민의힘…‘이준석 단일화’ 시동 거나](http://www.ekn.kr/mnt/thum/202505/news-p.v1.20250514.b50674dbb56e489cb1c30957a020d8ce_T1.jpg)
![[대선 2025] 김문수, ‘중공업 성지’ 울산 공략…“세계 산업수도 만들겠다”](http://www.ekn.kr/mnt/thum/202505/news-p.v1.20250513.205f04d4d0414df18aa1cd01c8cc2b65_T1.jpg)
![[대선 2025]‘90년생 김용태’ 내세운 ‘광폭 빅텐트’…내부 분열 여전](http://www.ekn.kr/mnt/thum/202505/news-p.v1.20250512.c51180141c6047fd9d8f7859e95b55eb_T1.jpg)
![[대선 2025]6.3 조기대선 공식 개막…12일 선거운동 개시](http://www.ekn.kr/mnt/thum/202505/news-p.v1.20250511.f6ae5888d4ad4ee982a1ea28d7b0dbf4_T1.jpg)
![[대선 2025] 김문수, 후보 공식 등록…한덕수에 ‘선대위원장’ 제안](http://www.ekn.kr/mnt/thum/202505/news-p.v1.20250511.09ad3b30b52640fc81417db684e32993_T1.jpg)
![[대선 2025]‘강제 후보 교체’ 쿠데타 실패…김문수로 간다](http://www.ekn.kr/mnt/thum/202505/news-p.v1.20250511.6abc79504d294f7da4da2658b36500d2_T1.jpg)
![[대선 2025]후보 교체 ‘심야 막장극’…김문수, 가처분신청 ‘최후의 한수’](http://www.ekn.kr/mnt/thum/202505/news-p.v1.20250510.5c6e4e345e124285b7a6765d3113d2ed_T1.jpg)
			
![[금융 풍향계] BNK경남은행, 지방은행 최초 ‘커버드본드’ 1500억 발행 外](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4.463333e7b32e496bb62eceb18d449bc8_T1.jpg)








		![[EE칼럼] 덴마크, 시민들이 만든 행복한 재생에너지 강국](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3.ce47c76617544c63af90401ba296a333_T1.jpg)
![[EE칼럼] 동떨어진 한국의 에너지 ‘패스트 트랙’](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0702.05b45b3b37754bef91670415ae38a4b8_T1.jpg)
![[김병헌의 체인지] APEC, 한국의 외교적 주도권과 실질 성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625.3530431822ff48bda2856b497695650a_T1.jpg)
![[이슈&인사이트] 정보시스템의 재난 방지를 위한 중복 설계의 중요성](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221.166ac4b44a724afab2f5283cb23ded27_T1.jpg)

![[기자의 눈] 적자 기업만 떠본 예비입찰…홈플러스, 농협만 바라보는 신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4.11b40a5b6cc0484487b11bc212f418fa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