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최태현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최태현 기자 입니다.
  • 자본시장부
  • cth@ekn.kr

엔케이멕스, 166억 규모 제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엔케이맥스가 166억 규모의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20일 공시했다. 신주는 보통주식 3321만2014주이며 주당 액면가액 500원에 발행한다. 박모씨 701만7314주, 메리츠증권 656만6658주, 메리츠캐피탈 547만2215주 등에게 배정된다. 회사 측은 “회생 절차에 따라 유상 신주를 발행한다"고 밝혔다. 앞서 18일 엔케이맥스는 서울회생법원에서 회생계획 인가를 받았다. 엔케이맥스는 인가 받은 회생계획에 따라 제3자배정 출자전환(6월19일), 주식병합(6월26일), 제3자배정 유상증자(6월27일)을 순차적으로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손오공, 전환사채 콜옵션 행사자 5명 지정…총 100억 원 규모 손오공이 전체 2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 중 절반에 대해 콜옵션 행사자를 지정했다고 19일 공시했다. 행사자는 케이투메이슨, 김영복, 임성진, 파이브가이즈투자조합, 미래플㈜ 등 총 5곳으로, 이들은 100억 원 규모의 전환사채 매수 선택권을 부여받았다. 행사 대가는 전환사채 권면액의 4%인 총 4억 원이며, 2026년 6월부터 10월까지 월 단위로 옵션을 행사할 수 있다. 전환 시 발행될 주식은 약 1060만 주로, 이는 전체 주식 수의 16.67%에 해당한다. 손오공은 자금 조달 능력 등을 고려해 이들을 이사회에서 선정했다고 밝혔다. 한솔제지, 모잠비크 위생매립시설 공사 계약기간 확정 한솔제지가 모잠비크 위생매립시설 공사 계약의 종료일을 2027년 6월 18일로 확정했다고 19일 공시했다. 계약은 2025년 3월 5일부터 24개월간 진행되며, 총 551억 원 규모로 최근 매출액의 2.5%에 해당한다. 발주처는 모잠비크 환경투자청(FNDS)으로, 한국수출입은행의 EDCF 자금이 투입되는 정책 사업이다. 시공은 한솔제지 환경사업부가 단독으로 수행하며, 계약금액은 미화 3748만 달러를 협의된 환율로 환산한 것이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특징주] 카카오뱅크 10% 급등…태국 가상은행 사업자 선정 영향

카카오뱅크 주가가 20일 장 초반 강세다. 태국 가상은행 사업에 진출했다는 소식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9시 10분 기준 카카오뱅크 주가는 3150원(11.21%) 오른 3만12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카카오뱅크가 태국 정부에서 가상은행 인가를 획득했다고 전날 밝힌 것이 호재로 인식되는 모양새다. 카카오뱅크에 따르면, 태국 재무부가 카카오뱅크와 태국 금융지주 SCBX가 참여한 컨소시엄을 가상은행 사업자로 선정했다. 태국 중앙은행이 도입하는 '가상은행'은 오프라인 지점 없이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형태로 한국의 인터넷전문은행과 유사하다. 가상은행 출범을 위한 준비법인은 올해 3분기 중 설립한다. 약 1년간 준비 기간을 거쳐 2026년 하반기 영업을 시작할 예정이다. 카카오뱅크는 상품·서비스 기획과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앱) 등 IT 시스템 구축을 주도하며, 향후 설립될 가상은행의 2대 주주로 참여한다. 한국계 은행의 태국 재진출은 1990년대 말 아시아 외환위기 이후 25년 만이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법원, 박기덕 고려아연 사장 가압류 취소…“본안 판단, 시간 소요" 서울중앙지방법원은 영풍이 고려아연 박기덕 대표이사를 상대로 신청한 가압류 사건에서 기존 가압류 결정을 담보 제공을 조건으로 취소하고 영풍의 가압류 신청을 기각하는 결정을 내렸다. 재판부는 “쌍방 주장에 심리·최종적인 판단이 이뤄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이는 점, 가압류로 인해 당사자가 입게 될 불이익 정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가압류 결정을 취소하고 채권자 가압류 신청을 기각한다"고 설명했다. 진원생명과학, 경영진 교체 및 정관 개정 요구 받아…가처분 피소 진원생명과학이 임시주주총회를 앞두고 이사와 감사 선임과 이사 수 변경 등 안건 상정을 요구 받았다.진원생명과학은 고광연, 한우근이 서울남부지방법원에 의안 상정 등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고 18일 공시했다. 청구 내용을 보면, 원고 측은 향후 열리는 임시주주총회에서 ▲정관일부 개정 ▲사내이사 및 사외이사 선임 ▲감사 선임을 의안으로 상정하고 주주총회 2주 전 공고할 것을 요청했다. 회사는 “신청인의 청구는 부당하다"며 “선임된 소송대리인을 통해 적극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에스에너지, 248억 손배소 항소…태양광 발전량 미달 놓고 법정 다툼 에스에너지는 체스터 솔라 포 에스피에이(엘 로블레)가 제기한 248억원 규모의 손해배상 소송 1심 판결에 불복해 항소장을 제출했다고 18일 공시했다. 이번 소송은 엘로블레 태양광발전소의 발전량 보증 미달로 인한 손해배상 청구가 핵심이다. 1심에서 법원은 287만 달러 배상을 명령했지만, 에스에너지는 179만 달러 초과분에 대해 항소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콜마, 남매 싸움에 딸 편든 창업자…‘부담부증여’ 실효성 판단이 쟁점

K-뷰티 후방산업의 본류, 콜마그룹이 경영권 분쟁에 휩싸였다. 콜마그룹 창업주 윤동한 회장이 장남 윤상현 콜마홀딩스 부회장를 대상으로 콜마홀딩스 주식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 자회사 경영권을 두고 두 달간 이어진 '남매 갈등'이 '부자 갈등'으로 확전한 것이다. 경영권 분쟁이 본격화하면서 콜마홀딩스 주가가 이틀 연속 강세를 보이는 등 시장의 관심도 뜨거워지고 있다. 윤동한 회장은 지난달 30일 장남 윤상현 콜마홀딩스 부회장을 상대로 콜마홀딩스 주식 반환을 청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고 18일 밝혔다. 윤 회장이 2019년 12월 윤 부회장에게 증여한 콜마홀딩스 주식 230만주(무상증자 후 460만주)를 돌려달라는 취지다. 윤 회장의 법률대리인은 “본 소송은 윤상현 부회장이 최대 주주로서 권한을 남용해 합의된 승계 구조의 일방적 변경 시도에 따른 조치"라며 “윤 회장이 이러한 행태를 알았다면 해당 주식을 증여하지 않았을 것이므로 대상 주식은 즉시 반환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윤 회장 측은 당시 지분 증여가 윤 회장, 윤 부회장, 윤여원 콜마비앤에이치 대표 간 3자 합의를 전제로 한 부담부증여라고 주장한다. 윤 부회장이 이후 경영에서 3자 협의를 하지 않았으니 부담부증여의 조건을 충족하지 않았고, 따라서 증여도 무효라는 주장이다. 반면, 윤 부회장측은 2019년 콜마홀딩스 주식 증여가 경영 합의를 전제로 한 증여 계약이 아닌 단순 증여 계약서라는 입장이다. 2018년 9월 윤 회장은 아들 윤상현 부회장과 딸 윤여원 콜마BNH 대표와 함께 콜마BNH의 향후 지배구조와 관련된 3자 경영 합의를 체결했는데, 이를 윤 부회장이 깼다고 보고 있다. 윤 회장은 아들에게 화장품(한국콜마)과 의약품(HK이노엔), 딸에게 건강기능식품(콜마BNH)을 각각 맡기며 승계 작업을 마무리했다. 화장품·제약과 건강기능식품 부문을 각각 경영해 온 남매간 갈등은 두 달 전 수면 위로 드러났다. 지난 4월 25일 지주사를 이끄는 윤 부회장이 동생 윤여원 사장이 대표를 맡고 있는 콜마BNH에 자신과 이승화 전 CJ제일제당 부사장을 사내 이사로 선임하라고 요구했는데, 콜마BNH는 이를 거부했다. 이에 콜마홀딩스 측은 5월 초 대전지방법원에 임시주주총회 소집 허가를 신청했다. 콜마BNH 측은 “윤여원 대표이사를 물러나게 하려는 내용이 소장에 포함되어 있다"며 “이는 경영 합의서에서 합의한 사업 경영권을 부정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15일 열린 콜마그룹 창립 35주년 기념식에서 윤 회장은 “한국콜마로 대표되는 화장품·제약 부문은 윤상현 부회장이, 콜마비앤에이치로 대표되는 건기식 부문은 윤여원 대표가 맡기로 한 건 충분한 논의와 합의를 거친 결과"라며 “지금도 그 판단에는 변함이 없다"고 윤여원 대표 편을 들었다. 윤 회장 측은 “윤상현 부회장에게 콜마홀딩스와 한국콜마를 통한 그룹 운영을 맡기며, 윤여원 대표가 콜마BNH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사업 경영권을 적절히 행사할 수 있도록 적법한 범위 내에서 지원 또는 협조해야 한다는 내용이 (경영 합의서에) 포함됐다"고 전했다. 경영 합의서 내용에 관해 윤 부회장 측은 “경영 합의를 전제로 한 증여 계약은 애초에 없었다"며 “조건을 전제로 한 부담부 증여 계약이 아니다"고 반박했다. 이로써 콜마그룹 경영권 분쟁의 향배는 법원의 판단에 달리게 됐다. 핵심 쟁점은 지난 2019년 윤동한 회장이 아들 윤상현 부회장에게 증여한 콜마홀딩스 주식 230만주가 '부담부증여'에 해당하는지 여부다. 19일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콜마그룹의 지주사인 콜마홀딩스 지분은 윤 부회장이 31.75%, 윤 회장이 5.59%, 딸 윤여원 대표와 남편이 10.62%를 갖고 있다. 윤 회장이 반환을 요청한 콜마홀딩스 지분은 윤 부회장 보유 지분의 절반가량인 13.4%다. 만일 법원이 3자 합의내용을 증여의 전제조건에 해당된다고 인정하면 2019년 증여는 부담부증여에 해당돼 증여계약은 취소되고 윤 부회장의 콜마홀딩스 지분은 현재의 31.75%에서 2019년 증여 이전 수준인 18.92%로 낮아지게 된다. 반면 윤 부회장으로부터 돌려받게 되는 지분 12.82%를 더하면 윤 회장측의 콜마홀딩스 지분(윤 회장 5.59%, 윤 대표 10.62%)은 기존 16.21%에서 29.03%로 높아져 윤 부회장의 경영권을 가져올 수 있게 된다. 만일 법원이 부담부증여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윤 부회장은 콜마비앤에이치의 지분 44.63%를 보유하고 있는 지주사 콜마홀딩스를 장악하고 있는 만큼 콜마비앤에이치에 대한 직접 지배력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부담부증여에 해당한다고 인정하더라도 윤 부회장의 콜마비앤에이치 사내이사 선임이 '콜마비앤에이치의 독립적이고 자율적인 사업경영권을 지원한다'는 합의 내용에 위배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도 있다. 부담부증여는 증여계약서에 부담의 내용과 조건이 구체적이고 이행 가능하도록 기재돼야 법적 효력을 가진다는 것이 법조계의 설명이기 때문이다. 콜마비앤에이치 관계자는 “이번 법적 대응은 단순한 가족간 갈등이 아니라 자회사 경영의 독립성과 건전한 기업운영을 수호하기 위해 35년간 세계적인 그룹을 이끌어 온 창업주의 불가피한 결정"라고 강조했다. 최태현·백솔미 기자 cth@ekn.kr

콜마홀딩스 주가가 이틀 연속 강세를 나타내고 있다. 콜마그룹 내 오너가 경영권 분쟁이 격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9시 31분 현재 콜마홀딩스는 전 거래일보다 2260원(14.36%) 오른 1만8240원에 거래되고 있다. 앞서 콜마그룹 창업자 윤동한 한국콜마 회장은 지난달 30일 장남 윤상현 콜마홀딩스 부회장을 상대로 주식 반환 청구 소송을 제기했다고 밝혔다. 윤 회장은 윤상현 부회장에게 지난 2019년 12월 당시 콜마홀딩스 주식 230만주를 증여했는데 이를 돌려받기 위함이다. 윤 회장은 2018년 9월 윤 부회장, 윤여원 사장과 3자 간 경영 합의를 맺었다. 윤 부회장이 한국콜마와 지주가 콜마홀딩스의 경영을 맡고 윤 사장이 콜마 BNH 경영을 맡는 방식이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비올, DMS → 비엔나투자회사로 최대주주 변경 주식 양수도 계약 체결 비올이 최대주주 변경을 수반하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고 18일 공시했다. 비올의 기존 최대주주인 DMS는 보유 중인 주식 2030만4675주를 비엔나투자목적회사에 넘기는 주식양수도 계약을 체결했다. 주당 가격은 1만2500원으로 양수도 대금은 2538억원 가량이다. DMS가 갖고 있는 2030만4675주 중 408만9339주는 현금을 받고 팔고, 나머지 1621만5336주는 비엔나투자목적회사에 현금 출자하고 그 대가로 비엔나투자회사의 발행 신주 4053만8340주를 받는 방식이다. 비엔나투자회사는 자본금 23만7000원으로 올해 5월 12일 설립됐다. CCS충북방송, 임시주총 앞두고 의안상정 금지 가처분 신청 충북 지역 민영방송사 CCS가 이사 선임을 위한 임시주주총회를 앞두고 해당 의안을 올리지 못하게 하려는 가처분 소송을 당했다고 18일 공시했다. 김모씨 외 1명은 청주지방법원 충주지원에 CCS충북방송과 정모씨를 상대로 의안 상정 금지 가처분 신청을 제기했다. 김모씨 외 1명은 사내이사 박창규 선임의 건, 사외이사 김원국, 공도윤 선임의 건을 임시주주총회 안건으로 상정하지 못하게 막기 위해 법원에 가처분을 신청했다. 회사 측은 이에 관해 “적법한 절차에 따라 대응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대유,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항고 소송서 승소 대유가 원고 강모씨 외 33명이 서울고등법원에 당사를 상대로 낸 직무집행정지 가처분 항고 소송이 기각됐다고 17일 공시했다. 원고측은 주주총회결의 무효확인의 소에 관한 본안 판결이 확정될 때까지 채무자들이 이사 직무를 집행하지 않을 것을 요구했지만, 법원은 받아들이지 않았다. 서울고등법원은 “채권자의 가처분 신청은 보전할 권리와 보전의 필요성에 관한 소명이 부족하다"며 “나아가 채무자격을 그르쳐 부적법하다"고 결정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증권1Q] 중소형사도 실적 개선…추세적 반등까진 ‘조금만 기다려달라’

중소형 증권사의 1분기 실적이 개선세다. 그러나 지난해 겪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발 충격을 완전히 걷어내진 못하고 있다. 주수익원인 PF가 여전히 좋지 않고 리테일 기반이 워낙 약해 대형사와 같은 상반기 급격한 회복세를 기대하긴 무리라는 분석이 나온다. 18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보고서를 발표한 중소형 증권사(자기자본 3조원 미만) 16곳 중 7곳의 영업이익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올랐다. 등락률로 보면 아이엠증권, 현대차증권, SK증권, 한화투자증권, 한양증권, 부국증권 순이다. 가장 눈에 띄는 곳은 현대차증권이다. 현대차증권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 271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131억원)에 견줘 106.2% 올랐다. 현대차증권은 세일즈앤트레이딩(S&T) 부문에서만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51% 늘어난 690억원의 순영업수익을 기록하며 실적 성장을 이끌었다. 현대차증권 관계자는 “지난해 S&T 본부를 신설해 운용 및 트레이딩을 강화한 결과"라고 설명했다. 이어 “2분기부터 자기자본을 활용한 수익 창출에 본격적으로 나설 방침"이라고 말했다. iM증권은 올해 1분기 332억원 영업이익을 기록해 6개 분기 만에 흑자 전환에 성공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120억원의 영업손실이 났던 것에 견줘 크게 개선했다. iM증권 관계자는 “지난해 대규모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적립하며 재무 건전성을 강화했다"며 “올해 1분기 자기자본 대비 PF 익스포저 비율은 54%로 작년 동기보다 19%포인트 줄었다"고 밝혔다. 한양증권은 올해 1분기 영업이익 294억원을 기록해 지난해 같은 기간(196억원)에 견줘 49.5% 증가했다. 연 환산 자기자본이익률(ROE)은 16.3%로 업계 최상위권을 기록했다. 한양증권의 1분기 실적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과 투자은행(IB) 등이 포함된 기업금융 부문이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 기업금융 부문 영업수익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83.% 증가한 585억원, 영업이익은 81.95% 오른 138억원을 기록했다. 한양증권 관계자는 “IB는 여신전문회사채권(여전채)와 신종자본증권 주관 및 인수를 통해 수익을 늘렸다"며 “부동산PF는 신규 딜이 늘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번 1분기 실적 개선이 본격적인 반등의 신호탄이라고 보긴 어렵다는 분석도 나온다. 특히 증권사 핵심 사업이자 최근 성장세가 두드러지는 위탁매매(리테일) 기반이 약하다는 점은 중소형 증권사에 뼈아픈 대목이다. 한국기업평가에 따르면, 대형 증권사 9곳(미래에셋·한국투자·NH투자·삼성·KB·메리츠·신한투자·하나·키움)의 주식위탁매매 점유율은 2020년 69%에서 지난해 72%로 상승했다. 추세적인 실적 개선을 위해서는 부동산 금융 환경도 개선되어야 하는데, 중소형 증권사를 둘러싼 사업 환경이 녹록지 않다. 사업성이 좋은 수도권, 선순위 사업장은 대형 증권사가 신규 영업을 하면서 중소형 증권사 점유율이 하락하고 있다. 고위험 부동산PF 환경도 위축되면서 소형사 수익이 줄어들고 있다. 윤재성 나이스신용평가 수석연구원은 “소형사의 경우 부족한 자기자본과 운용마진 확보를 위해 대형사 및 중형사에 견줘 브릿지론, 중·후순위 본 PF 등 고위험 부동산PF 사업장에 대한 익스포저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대손비용 발생 가능성도 그만큼 높다"고 설명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인공지능 기반 장기재생 플랫폼 기업 로킷헬스케어 주가가 18일 장 초반 강세다. 미국 특허청에서 연골재생 관련 핵심기술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는 소식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9시 38분 현재 로킷헬스케어는 전일 대비 2470원(18.01%) 오른 1만6250원에 거래되고 있다. 이날 개장 전 로킷헬스케어는 미국 특허청(USPTO)에 연골재생 관련 핵심기술 특허 등록을 완료했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이번 미국 특허는 '초개인화 유리연골 재생 치료 조성물'에 대한 기술로 로킷헬스케어가 개발한 AI 기반 연골재생 플랫폼의 기술적 독립성과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한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SK리츠, 제3자 배정 유상증자 결정…485억원 규모 SK리츠가 채무상환자금 등 약 485억원을 조달하기 위해 제3자배정 유상증자를 결정했다고 17일 공시했다. 주당 4650원에 신주 1043만102주를 발행할 예정이다. 제3자배정 대상자는 코람코주택도시기금위탁관리부동산투자회사(322만5천806주), 우리은행(215만537주) 등이다. SK리츠는 이번 증자의 목적을 6월 18일 만기가 돌아오는 1600억 규모 전자단기사채 상환이라고 밝혔다. 네페스, 창업주 지분 승계…子 이창우 최대주주 올라 네페스의 최대주주가 창업주 이병구에서 이창우 대표이사로 변경됐다. 이병구씨와 그의 배우자 이성자씨는 모든 보유지분을 자녀인 이창우 대표에게 증여했다. 이창우 대표는 기존 25만298주에 더해 517만6629주를 받아 지분율 23.53%로 최대주주에 올랐다. 대유에이텍, 36억어치 전환사채 만기 전 취득 공시 대유에이텍이 무보증 사모 전환사채를 만기 전 취득했다고 16일 공시했다. 사채 취득금액은 36억5700만원이다. 회사 측은 취득 사유에 관해 “콜옵션 행사"라며 “취득 후 제3자에게 매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동성 여유가 있을 때 전환사채 재매각을 통해 전환가액 조정을 시도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지노믹트리, 자사주 1만2522주 임직원에게 처분 지노믹트리이 자사주 1만2522주를 한 주당 1만3120원에 임직원에게 처분했다고 16일 공시했다. 전체 처분가액은 1억6428만원이다. 이번 처분 후 보유하고 있는 자사주는 35만9699주로 전체 주식의 1.5%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증권사1Q] 키움, 20년간 위탁매매만 1등…엄주성 대표는 사업다각화 성공할까

키움증권은 몸집은 작지만, 영업이익은 높은 편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영업이익과 분기 순이익은 다소 줄었다. 그러나 자기자본 규모가 더 큰 NH투자증권, 메리츠증권 등을 제치고 영업이익 규모 4위를 차지했다. 기존 강점인 위탁매매 수익은 유지하면서 투자은행(IB) 영역으로 사업을 확대하는 덕분이다. 올해 하반기 발행어음 사업을 인가받아 '6번째 초대형 IB'에 오를 수 있을지 시장의 관심이 쏠린다. 17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키움증권은 올해 1분기 연결 기준 순이익 2356억원으로 지난해 1분기보다 3.77% 감소했다. 같은 기간 일반 기업의 매출에 해당하는 영업수익은 38.46% 늘어난 3조6600억원, 영업이익은 3.62% 줄어든 3255억원이다. 판매비와 관리비(판관비)가 22.3% 늘어나면서 비용 부담이 커진 탓이다. 다른 증권사가 해외 사업 부문, 자산운용 수익으로 실적을 방어한 것과 달리 키움증권은 국내 주식 거래 중심의 사업 구조가 실적 부진의 주요 원인으로 지적된다. 2024년 말 기준, 키움증권의 자기자본 규모는 5조6478억원으로 전체 증권사 중 9위이지만, NH투자증권(7.9조), 메리츠증권(7.3조), KB증권(6.7조), 하나증권(6.0조) 등을 제치고 영업이익 규모는 4위다. 키움증권에 따르면, 1분기 별도 기준 순영업수익은 459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견줘 5.5% 늘었고, 직전 분기에 견줘서 23% 늘었다. 키움증권 1분기 순영업수익 비중을 영업 부문별로 보면, 위탁매매 수수료>이자 손익>운용 손익>기업금융 수수료 순이다. 위탁매매 부문 수익이 성장세를 거듭하면서 키움증권이 새로운 축으로 육성하고 있는 투자은행(IB) 부문도 전년 대비 수익성이 개선됐다. 키움증권의 강점은 단연 위탁매매다. 국내 개인 투자 고객 점유율이 30%에 달한다. 20여 년간 리테일 1위를 차지했다. 올해 1분기 키움증권의 위탁매매 수수료 수익은 1844억원이다. 주식 수수료 수익 1411억원, 파생상품 수수료 수익 433억원이다. 키움증권은 해외주식 수수료 수익이 전년 동기에 비해 늘어 1분기 매출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올해 1분기 국내주식 수수료는 737억원, 해외주식 수수료는 674억원을 각각 벌어들였다. 국내주식 수수료(895억원)는 줄었지만, 해외주식 수수료(372억원)는 81.8% 늘어나 1분기 매출을 견인했다. 기업금융 수수료 부문은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신규 딜을 중심으로 실적을 늘렸다. 올해 1분기 기업금융 수수료 수익은 57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544억원)에 견줘 4.8% 늘었다. 구조화·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문이 440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부채자본시장(DCM) 수수료는 68억원, 인수금융 수수료는 55억원이다. 엄주성 키움증권 대표이사는 2024년 선임됐다. 하반기에 있을 '6번째 초대형 투자은행(IB)' 인가 획득과 발행어음 사업 진출에 조직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올해 1월 키움증권은 기존 초대형 투자은행 태스크포스(TF)를 종합금융팀으로 승격해 초대형 IB 인가에 집중하고 있다. 엄 대표는 올해 신년사에서 “발행어음, 퇴직연금 등 향후 먹거리 준비"를 키움증권이 나아가야 할 네 가지 방향 중 하나로 꼽았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4월 '증권업 기업금융 경쟁력 제고 방안' 발표에서 3분기 중 종합금융투자사업자를 지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초대형 IB로 지정된 증권사는 자기자본의 200%까지 어음을 발행해 자금을 조달할 수 있다. 조달한 자금을 기업 대출, 채권, 부동산 등 여러 분야에 투자하면 새로운 수익원이 생기는 셈이다. 키움증권은 자기자본 규모 4조원을 넘겨 신규 초대형IB 인가를 받을 수 있는 기본 요건은 갖췄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넥스트레이드를 포함한 국내 일평균 거래대금이 25조원에 육박하고 있고, 무엇보다 발행어음 신규 인가가 기대되어 탄탄한 브로커리지를 기반으로 IB 영역까지 확장할 수 있는 라인업이 완성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키움증권 관계자는 “금융당국 제도 개편에 맞춰서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