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커스] ‘람사르습지’ 고양시 장항습지생태관 시범개방](http://www.ekn.kr/mnt/thum/202411/news-p.v1.20241101.2d99521a5d2943bb8a9b46f4a325b3ff_T1.jpg)
고양=에너지경제신문 강근주기자 고양특례시는 람사르고양장항습지생태관을 한강하구 장항습지의 생태교육 거점시설로 활용하는 한편 한강하구 관광자원과 연계해 생태-역사관광을 활성화한다. 이에 따라 1일부터 시민을 대상으로 생태관 시범운영에 들어갔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 “장항습지 생태관이 문을 열며 국제적으로 중요성을 인정받은 람사르습지의 생생한 자연을 도심 한복판에서도 느낄 수 있을 것"이라며 “생태자원을 발굴하고 생물다양성 보전에 힘써 장항습지를 한강하구 대표 생태관광지로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양 장항습지는 생물다양성이 높은 한강하구 생태계 보고다. 신평동, 장항동, 법곳동에 걸쳐 면적 5.95k㎡, 길이 7.6km에 멸종위기종 33종과 천연기념물 24종, 해양보호생물 5종이 서식한다. 생태 중요성과 가치를 인정받아 2021년 국내 24번째 람사르 습지로 등록됐다. 장항습지가 도심 속 생태관광-교육 공간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고양시는 일산동구 장항동에 장항습지생태관을 조성했다. 과거 군사시설로 이용됐던 장항군막사는 증축, 리모델링을 거쳐 연면적 999㎡ 규모 2층 건물로 재탄생했다. 1층 상설전시실에서 장항습지 역사와 생태계를 살펴볼 수 있다. 미디어아트관과 4D영상관은 장항습지 사계절을 담은 영상과 환경보호 중요성이 담긴 애니메이션을 제공한다. 다큐멘터리관에선 장항습지 대표 생물을 해설과 함께 감상이 가능하다. 생태교육실과 요리체험실은 교육-체험과 특산물 연계 요리 프로그램을 진행할 예정이다. 2층 기획전시실은 시범운영을 기념해 (사)한국수달보호협회 주관 '흥미로운 수달이야기' 사진전을 선보인다. 데크광장으로 나가면 25미터 높이 전망대에서 장항습지 풍광을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다. 생태관 관람은 장항습지 누리집(goyang.go.kr/gojanghang)에서 사전 예약 후 가능하며 교육-체험 프로그램과 생태관 전시 관람 중 선택할 수 있다. 매년 겨울이 되면 장항습지에는 천연기념물인 재두루미와 멸종위기종인 흰꼬리수리, 개리, 큰기러기를 비롯해 3만여 마리의 물새가 날아든다. 장항습지는 세계를 오가는 철새들 주요 기착지로 2019년 국제철새보호기구인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에 등재됐다. 생태관 건너편에는 군 초소를 활용해 만들어진 2층 규모 탐조대가 마련돼 망원경을 이용해 장항습지에 날아든 진귀한 새들을 관찰할 수 있다. 고양시는 오는 2일부터 16일까지 물억새와 노란 버드나무로 물든 장항습지 가을을 즐길 수 있는 'DMZ 평화의길 걸을 고양' 프로그램을, 이달 22일부터 내달 21일까지는 겨울철새 탐조 프로그램인 '겨울, 새가 날다' 를 운영한다. 참가자는 장항습지탐조대와 나들라온, 행주산성, 대덕생태공원 일대를 탐방하며 접경지역 역사-생태 이야기를 듣고 체험할 수 있다. 김포시는 한강하구에 위치한 장항습지를 대덕생태공원, 행주산성과 연계해 관광벨트를 조성 중으로 내달 개통하는 행주산성 수변 데크 길을 활용해 한강하구 특색 있는 생태-역사 관광을 활성화한다는 방침이다. 장항습지는 기후변화를 완화하는 탄소저장고이자 습지 생물들에게 서식공간을 제공하는 생태계 요람이다. 강과 바다가 만나는 기수(갯물)역 구간으로 갯물숲이 발달해 선버들과 말똥게의 독특한 공생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약 20만평 규모 갯물숲은 일반숲보다 3배 많은 산소를 뿜어내고 홍수를 조절하며 태풍이나 범람을 막는 역할을 수행한다. 갯골에서 철 따라 잡히는 뱀장어, 웅어, 은어, 황복 등 다양한 어류는 지역 먹거리로 활용된다. 조선시대 봄이 되면 행주나루터에서 잡힌 웅어가 임금님 수라상에 올랐고, 지금도 행주산성 근처에는 장어나 어탕국수를 파는 음식점이 밀집해 있다. 고양시는 2021년부터 한강유역환경청-S-OIL(에쓰오일)과 손을 잡고 장항습지 생태계 보전에 노력하고 있다. 에쓰오일이 매년 지원하는 후원금 1억원은 장항습지 보전활동, 인식증진 사업, 장항습지 생태관 조성 등에 사용되고 있다. 또한 생물다양성을 보전할 수 있도록 매년 습지 내 경작한 벼 중 일부를 철새 먹이로 주고 남은 볏짚은 그대로 두어 철새들 먹이와 휴식공간으로 제공한다. 작년 볍씨 약 22톤을 습지 내 철새 먹이로 제공했고 전국 최초로 드론을 활용한 먹이 살포를 시범 시행했다. 올해도 먹이수량을 늘리고 드론을 전면 활용해 먹이주기를 시행할 계획이다. kkjoo0912@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