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이 올 들어 연달아 하락하고 있다.
부동산프로젝트파이낸싱(PF)부실과 경기 둔화가 지속되면서 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이 연달아 하락하고 있다. 업계의 신용 하락은 자금 조달비용 증가와 투기 등급 유입으로 이어질 수 있어 또 다른 연쇄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4일 저축은행업계에 따르면 NICE신용평가(나신평)는 지난달 25일 고려저축은행과 예가람저축은행, 다올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을 강등했다.
고려저축은행의 장기 신용등급이 'A-'에서 'BBB+'로 하향된 데 이어 예가람저축은행의 장기 등급과 다올저축은행의 기업신용등급(ICR)이 각각 'BBB+'에서 'BBB'로 내려갔다.
지난달 4일에는 바로저축은행의 ICR 등급이 한국기업평가에 의해 'BBB'에서 'BBB-'로 내려갔다. JT친애저축은행은 한국신용평가로부터 이전 'BBB'에서 낮아진 신용등급 'BBB-'를 받았다. 'BBB-'는 투기등급 직전 단계다.
2금융권 전반의 부동산PF 리스크는 점차 완화되는 추세지만 저축은행업계는 업황 개선 기대감이 높지 않은 분위기다. 국내 저축은행 79곳은 지난해 397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지난 2023년(-5559억 원)에 이어 2년 연속 적자다.
업계는 부실 부동산 PF와 브릿지론 관련 부실 자산 정리를 위해 상·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건전성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업권 차원에서 자체 NPL 회사를 설립하는 등 경공매에 적극 나서는 한편 개인신용대출을 확대하면서 연체율 관리에도 매진하기도 했지만 부동산 경기회복이 늦어지고 거래자 채무상환 능력이 저하된 영향이 큰 탓으로 분석된다.
현재 저축은행 79곳 중 34곳이 연체율 10%를 웃도는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업계 평균 연체율은 지난해 기준 8.52%로, 전년 말(6.55%) 대비 1.97%p 상승했다. NPL(부실채권) 비율은 15%를 넘는 저축은행이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한 해 동안 6개에서 15개로 늘어났고, 일부 저축은행의 NPL 비율은 20%를 넘어서고 있다.

▲저축은행업계는 부동산PF 부실 자산 정리를 위해 상·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다.
문제는 신용등급의 하락이 가져오는 파장이다. 저축은행 신용등급이 투기등급(BB)까지 떨어지면 연금 상품 판매에 제한을 받으면서 자금 부담이 커지게 된다. 퇴직연금 자금을 유치하지 못해 자금 조달 창구가 줄어들게 되기 때문이다.
신규 퇴직연금 자금을 유치하지 못하게 되면 영업 축소 등 악영향으로 이어진다. 연금 신규 유치에 더해 기존에 조달한 퇴직연금 자금도 만기 후 재예치가 불가능하다. 실제 업계의 퇴직연금을 통한 수신 조달 비율은 지난해 하반기 기준 평균 26% 수준으로 적지 않은 규모를 차지하고 있다. 저축은행의 주요 수신 조달원 중 하나가 퇴직연금임을 시사한다.
퇴직연금을 운용하지 못하면 예금 금리를 높여 자금 조달에 나서는 방식에 의존해야 하는데, 조달 이자 비용이 늘어나면서 수익성에 부담이 커질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다수 저축은행이 건전성 방어에 어려움을 겪는 상황에서 퇴직연금 운용 마지노선에서마저 밀려날 경우 영업 악화로 인한 유동성 관리에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신용평가사들도 업권의 건전성을 주시할 방침이다. 나이스신용평가는 고려저축은행과 예가람저축은행에 대해 “부동산 경기 양극화, 조달 비용 상승 등을 고려할 때 추가적인 대손충당금 적립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