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내릴 건 기준금리뿐?”…은행 예대금리차, 되레 벌어졌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5.04 15:16

5대 은행 3월 가계 예대금리차 1.47%p
전월比 0.09%p↑…8개월 연속 확대

은행 대출금리

▲5대 시중은행의 지난 3월 신규 취급 기준 가계 예대금리차(이하 정책서민금융 제외)는 평균 1.47%포인트(p)로 나타났다. 사진은 서울 시중은행 창구의 모습

기준금리 인하기에도 불구하고 시중은행의 가계 예대금리차는 8개월 연속 확대됐다. 은행권의 예·적금 등 수신금리가 대출금리보다 큰 폭으로 떨어지며 예대금리차가 더 커졌다.


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은행 등 5대 시중은행의 지난 3월 신규 취급 기준 가계 예대금리차(이하 정책서민금융 제외)는 평균 1.47%포인트(p)로 나타났다. 이는 2월의 1.38%p보다 0.09%p 확대된 수치다. 예대금리차는 대출금리에서 저축성수신금리를 뺀 차이를 의미한다.


은행별 예대금리차를 보면 국민은행이 0.16%p 가장 많이 벌어졌다. 이어 신한은행 0.11%p, 우리은행·농협은행 각 0.08%p, 하나은행 0.03%p 확대됐다.


5대 은행의 예대금리차는 지난해 7월 0.43%p에서 8월 0.57%p로 높아진 후, 8개월 연속 벌어졌다. 작년 7월부터 올해 3월까지 예대금리차는 1.04%p나 커졌다.


기준금리는 지난해 10월 연 3.5%에서 연 3.25%로 낮아지며 본격적인 인하기에 돌입했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2.75%까지 하락했다. 하지만 은행권의 저축성수신금리가 대출금리보다 더 빠르게 하락하면서 예대금리차는 계속 벌어지고 있다.




지난 3월 기준 가계대출(이하 정책서민금융 제외) 금리는 4.30%로 전월 대비 0.04%p 하락했다. 반면 저축성수신금리는 2.83%로 전월 대비 0.13%p 낮아져 더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예대금리차가 벌어지기 시작한 지난해 7월과 비교하면 저축성수신금리는 0.60%p 떨어진 반면, 가계대출 금리는 0.44%p 오히려 상승했다.


정부가 가계대출 관리를 강화하면서 은행들은 대출 금리 인하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기준금리 인하 효과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특히 지난 3월 서울시의 토지거래허가제 재지정 여파로 가계대출 관리 조치가 더욱 강화되며 은행들은 대출금리 인하에 부담을 느끼는 상황이다.


아울러 인터넷전문은행 3사의 가계 예대금리차는 1.70%p로 나타났다. 전월(1.59%p) 대비 0.11%p 더 확대됐다.


19개 은행 중 3월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큰 은행은 전북은행으로, 7.17%p를 기록했다. 정책서민금융 상품을 제외하고도 중저신용자 대출 비중(42.7%)이 높아 전반적인 대출 금리가 높다는 것이 전북은행 설명이다. 가계 예대금리차가 가장 낮은 은행은 Sh수협은행으로 1.19%로 나타났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