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양대 플랫폼인 네이버와 카카오의 연간 실적이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는 2년 연속 역대 최대 실적을 예고한 상태다. 이같은 흐름이 주가 반등으로 이어질지 관심이 쏠린다. 1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네이버의 지난해 연간 매출은 10조6508억원, 영업이익은 1조9656억원으로 예측된다. 전년보다 각각 10.13%, 32.02% 상승한 수치다. 컨센서스대로 나온다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년 연속 연간 최대 실적을 세우게 된다. 같은 기간 카카오도 매출 7조9386억원, 영업이익 5252억원으로 호실적이 예상된다. 각각 5.05%, 13.96% 오른 규모로, 특히 영업익 개선세가 두드러질 전망이다. 네이버는 플랫폼·커머스 등 주력 사업들의 고른 성장이, 카카오는 비핵심 사업을 정리하는 '군살빼기' 작업으로 외형 성장을 이뤄냈다는 평가다. 양사는 올해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카나나를 앞세워 시장 경쟁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자사 모든 서비스에 AI를 접목해 기능을 고도화하는 게 골자다. 네이버는 하이퍼클로바X 기반 생태계 확장에, 카카오는 상반기 출시 예정인 AI 브랜드 '카나나' 상용화를 통한 수익 창출에 집중할 방침이다. 다만 올해 정치 불확실성 확대로 경기 하방 위험이 증대됨에 따라 주가 반등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한 달(2024년 12월 16일~2025년 1월 14일) 동안 네이버 주가는 21만4000원에서 20만2500원, 카카오 주가는 4만4000원에서 3만6700원으로 각각 4.21%, 16.59% 떨어졌다. 같은 기간 시가총액은 네이버가 33조1000억원에서 32조40억원으로, 카카오는 19조5000억원에서 16조2000억원대로 하락했다. 최근 증시 급락 때 저가 매수로 고수익을 노리는 개인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일부 유입되고 있지만, 외국인과 기관 투자자가 대거 빠져나간 탓이다. 탄핵 정국이 길어지면서 국내 증시 전반에 단기적인 추세적 상승 요인이 보이지 않는 상황이다. AI 성과가 가시화하고 있는 네이버의 경우, 주가 회복 속도가 비교적 빠를 것으로 보인다. 반면 카카오는 '카나나'의 상반기 출시 이후가 중요해질 전망이다. 비용 효율화로 실적을 개선한 모양새지만, 기세를 장기적으로 끌고 갈 만한 요인이 현재로썬 보이지 않아 주가 반등에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시각이 우세하다. 양사의 AI 시장 안착 여부가 올해 주가 흐름을 좌우할 것이란 전망이다. 이효진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카카오에 대해 “지난 2년 동안 카카오 주가는 AI 등 신규 정책에 대한 반응을 크게 보여왔다"며 “지난해 하반기 네이버가 AI 알고리즘 도입을 통해 광고 성장률을 높이고, 경쟁사 대비 커머스의 약점을 보완하는 방향성이 공개되며 투자자의 호응을 이끌어 낸 것처럼 새로운 카카오톡에 대한 투자자의 공감도가 올해 주가를 결정지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준호 하나증권 연구원은 네이버에 대해 “연내 AI 서비스인 AI 브리핑, CUE:의 모바일 출시가 예정돼 AI 경쟁력에 대한 주가수익비율 저하 현상을 방어할 수 있을 것"이라며 “다만 여전히 탄력적인 리레이팅을 위해서는 커머스 거래액의 반등과 글로벌 성장 동력 확보가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태민 기자 etm@ekn.kr





![[기자의 눈] AI 지속가능성 실현하려면 ‘복제’는 안 된다](http://www.ekn.kr/mnt/thum/202501/news-p.v1.20250109.63862cfea2a34a0d9b7197709a555779_T1.jpg)

![[CES 2025] ‘롯데 3세’도 찾은 이 곳…AI로 중무장한 ‘칼리버스’ 선봬](http://www.ekn.kr/mnt/thum/202501/news-p.v1.20250108.3884f36686ee47ee8e983392f54e1512_T1.jpg)
![[CES 2025] SKT ‘에스터’ 3월 북미 출격…해외 공략 강드라이브](http://www.ekn.kr/mnt/thum/202501/news-p.v1.20250108.31554030cf84487fbeccc83d857294b1_T1.jpg)
![[기후에너지단상] 전기요금-연료비 연동제 미발동 논란 이젠 해결해야](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031.1dd48a9489724c7190f6373c81ef4b9d_T1.png)
![[기후테크] 도로를 따라 펼쳐지는 태양광 녹색혁명](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2.4f995ead87a344aeab3b74a1ee6a23fe_T1.png)





![[특징주] 네이버 장 초반 5%대 상승…엔비디아와 협력 강화](http://www.ekn.kr/mnt/thum/202511/rcv.YNA.20251031.PYH2025103116270001300_T1.jpg)
![[특징주] “한국가수 중국 공연하자” 한한령 해제 기대...JYP엔터 주가 강세](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3.9ba5cb82cdbd462b873c9df1cad68e7c_T1.jpg)
![[현장] 제주, 친환경 태양광 감귤 탄생...탄소중립 농업의 새 길을 열다](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028.7ed74e064f6b4588afa2db03b51bfc3a_T1.jpg)
![[EE칼럼] 2025 노벨경제학상과 지속가능성장](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40331.e2acc3ddda6644fa9bc463e903923c00_T1.jpg)
![[EE칼럼] AI가 여는 에너지 뉴노멀](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409.2085f7584f5843f6bd4585a665a8aeec_T1.jpg)
![[김병헌의 체인지] 협상은 끝났지만 계산은 시작됐다](http://www.ekn.kr/mnt/thum/202510/news-p.v1.20240625.3530431822ff48bda2856b497695650a_T1.jpg)
![[박영범의 세무칼럼] 국세청 모범납세자가 되려면](http://www.ekn.kr/mnt/thum/202510/news-a.v1.20250116.41e6cfc2696b4e1289faf0d284854fb6_T1.jpg)

![[기자의 눈] 저신용자 불법사금융행 기차표, 누가 예매했나](http://www.ekn.kr/mnt/thum/202511/news-p.v1.20251102.aa80de72848141948d7707edee1b2ef6_T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