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기간 ~

AI 버블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는 2건 입니다.

고공행진을 이어오던 코스피 지수는 지난주 하락 마감했다. 인공지능(AI) 논란과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으로 대규모 차익 매물이 나온 영향이다. 이번주 증시는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줄어들면서 불확실성을 이어갈 전망이다. 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주 코스피 지수는 3일 4123.36으로 시작해서 7일 3953.76으로 장을 마감했다. 지난달 코스피 지수를 끌어올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형 반도체 종목에서 외국인 중심으로 차익 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이번 주 코스피는 하락세가 컸다. 미국발 'AI ' 우려와 밸류에이션 부담이 부각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3일 코스피는 전장 대비 2.78%(114.37포인트) 오른 4221.87까지 올랐다. 엔비디아가 한국에 최신 그래픽처리장치(GPU) 블랙웰 26만장을 공급한다는 소식 등 'AI 동맹' 모멘텀이 이어지며 개인 투자자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됐다. 이날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11만전자', '62만닉스'를 달성했다. 4일부터 대형 반도체주 중심으로 차익실현 매물이 나오면서 코스피는 떨어지기 시작했다. 이날 코스피는 100.13포인트(2.37%) 내린 4121.74로 장을 마감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모두 5%대 하락하며 전날 상승분을 반납했다. '검은 수요일'이 된 5일 코스피는 2.9% 하락했다. 장중에는 최대 6.2%(253.9포인트) 내리며 3900선을 밑돌다가 반등해 가까스로 4000선을 지켰다. 이날 한국거래소는 코스피·코스닥 시장에 '매도 사이드카'를 발동했다. 사이드카는 주가가 급등락할 때 프로그램 매매를 일시적으로 멈춰 시장 과열을 막는 장치다. 7일 코스피는 전날보다 72.69포인트(1.81%) 내린 3953.76으로 장을 마감했다. 이날 국내 증시는 AI 투자 거품 논란 재점화, 미국 일자리 급감 소식, 연방준비제도의 매파적 발언(통화 긴축 선호) 등에 간밤 뉴욕증시가 급락하면서 하방 압력을 받았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메가 이벤트 종료 후 호재 공백과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등 불확실성이 차익실현 매도 명분으로 작용했다"며 “특히 (4일) 팔란티어 실적 발표에서 AI 밸류에이션 부담이 재부각됐고 마이클 버리의 공매도 베팅 소식도 기술주 충격으로 작용했다"고 말했다. 투자자별 매매 동향을 보면, 최근 6개월 동안 이른바 '바이 코리아(Buy Korea)'에 나서면서 코스피 지수 상승을 이끌었던 외국인 투자자는 이달 들어 매도로 돌아섰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순매수를 이어가며 코스피 지수 하단 방어에 집중했다. 지난 주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은 7조2806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7조4601억원을 순매수했다. 기관은 994억원을 사들였다. 지난 주 외국인 순매도 상위 종목은 SK하이닉스(3조7151억원), 삼성전자(1조5028억원), 두산에너빌리티(4372억원), 네이버(4372억원), 한화오션(1901억원) 순이다. 지난 주 개인 순매도 상위 종목은 SK하이닉스(2조4475억원), 삼성전자(1조5005억원), 두산에너빌리티(6010억원), 네이버(4582억원), LG씨엔에스(2466억원) 순이다.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번 주 국내 증시는 불확실성 소재가 여전히 남아 있는 상황에 단기 과열 해소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조병현 다올투자증권 연구원은 “주중 한차례 급한 변동성을 경험한 상황에서 다양한 불확실성 소재들이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어 즉각적인 기존 상승 속도 재진입을 기대하기는 어려워 보인다"며 “통화정책에 대한 불확실성과 고용지표 불안, AI와 관련된 논란 등 다양한 요인이 투자 심리 위축을 유발하고 있어 상승 탄력 둔화 국면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강진혁 연구원은 “예탁금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하며 개인들의 주식시장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며 “AI 밸류체인 실적 발표나 미국 셧다운 종료 등 호재가 대기하는 동안 외국인 매도세가 이어질 수 있지만 개인 수급이 하단을 받쳐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주에는 12월 금리 인하 결정에 영향을 줄 미국 물가지표 발표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최근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후퇴에 고용시장 불안까지 겹치면서 위험자산 투자심리 위축을 부추겼다. 10월 말 FOMC 기자회견에서 파월 연준 의장의 매파적 발언(긴축 선호) 이후 연방준비제도 내부에서 금리 인하를 둘러싼 논쟁이 격화하며 12월 추가 인하 가능성이 불투명해지고 있다. 이날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올해 12월 금리 인하 확률은 65.1%로 여전히 동결보다 인하 가능성이 높지만 한 달 전 81.9%보다 낮아진 상태다. 김유미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번 주 발표될 10월 소비자물가(CPI) 상승률이 시장 컨센서스대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한다면 12월 연준의 금리 인하 전망에 힘을 실어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고공행진을 이어오던 코스피 지수가 AI 논란과 단기 급등에 따른 부담으로 지난주 하락 마감했다.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이 줄면서 이번주 증시 불확실성이 이어질 전망이다./CRAISEE(크레이시) 최태현 기자 cth@ekn.kr

2025-11-09 08:46 최태현 기자 cth@ekn.kr

국내 주식 시장을 견인해온 반도체주가 미·중 무역분쟁 재점화에 상승 랠리를 멈췄다. 다만 시장의 시선은 두 갈래로 갈린다.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이익 모멘텀 강화에 무게를 두는 낙관론과, 역사적 밸류에이션 부담을 경계하는 신중론으로 나뉜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국내 반도체 대장주인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전 거래일 대비 각각 3%, 4%대 하락세를 보였다. 같은 시간 코스피지수와 코스닥지수 모두 1%대 하락세다. 이는 미국과 중국 사이 무역 분쟁 우려가 재점화 되자 지난 10일(현지 시각) 뉴욕 주식시장 3대 지수가 급락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그럼에도 반도체를 비롯한 핵심 주도 업종에 대한 투자를 늘려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 4월 상호관세 발표 당시 코스피 전 업종이 하락했지만, 이후 한 달 만에 기계·조선·방산 중심으로 빠르게 반등했다. 결국 주도주에 올라타는 것이 변동성을 피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라는 판단이다. 올 들어 반도체주는 코스피 상승분의 대부분을 견인했다. 지난 10일 현재 삼성전자는 연초 대비 77%% 가까이, SK하이닉스는 150% 이상 올랐다. 지난달부터는 외국인 순매수의 70% 이상이 두 종목에 집중되며 사실상 '반도체 장세'가 펼쳐지고 있다. 이재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무역분쟁을 피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주도주를 사는 것"이라며 이익 모멘텀이 뚜렷한 반도체 업종 중심의 비중 확대를 권고했다. 하나증권 분석에 따르면, 현재까지 반도체업종 주가는 54% 상승한 상태다. 과거 사이클을 감안하면 최소 4%, 많게는 36%의 추가 상승 여력이 남아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 반도체의 시가총액 비중이 코스피 전체의 30%, 순이익 비중이 33%에 달한다. 반도체 업종의 상승 폭이 확대될 경우 코스피 지수는 최대 11%, 4000포인트까지 도달할 수 있다는 분석이다. 반도체 상승 기대는 이익 증가세가 장기간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에 근거한다. 하나증권은 2024~2026년까지 국내 반도체 업종이 3년 연속 순이익 증가 국면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다. 반도체 순이익이 3년 연속 늘었던 2016~2018년에는 업종 주가가 90%, 2020~2022년에는 58% 상승했다. 과거 사례를 감안하면 이번 사이클 역시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평가다. 일각에서는 반도체 랠리가 막바지에 다다르고 있다는 경계의 목소리도 나온다. 반도체 업종의 상대 강도는 코스피 대비 80(RS : Relative Strength) 수준에 근접해 있는데, 이는 과거 IT·소재·인터넷 등 주요 국면과 유사한 수준이다. 시장 내 쏠림 현상이 심화되면서 단기적인 과열 우려가 제기되는 배경이다. BNK투자증권 분석에 따르면, 국내 반도체 업종의 12개월 선행 주가순자산비율(PBR)은 1.56배로 2017~2018년 반도체 '빅사이클' 당시 기록한 최고치(1.44배)를 이미 넘어섰다. 팬데믹 이후 개인투자자 유입이 정점을 찍었던 2021년 1월(1.79배)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밸류에이션이 역사적 고점권에 근접했다는 점에서 단기 차익 실현 압력이 확대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어렵다. 글로벌 시장의 성장주 과열도 부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성장주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999년 IT 당시 수준을 상회하며 역사적 고점대에 머물러 있다. 밸류에이션 지표(PER·PBR·PSR) 전반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글로벌 성장주 전반의 조정 리스크가 확대되는 모습이다. 특히 한국 반도체 업종의 상대 강도가 미국 성장주와 거의 동일한 흐름을 보이고 있어, 향후 국내 반도체 주가도 글로벌 성장주 조정 흐름의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김성노 BNK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의 12개월 선행 PBR이 기업실적 전망과 유동성 등 주식시장 상황에 따라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주가 고점을 예측하기는 쉽지 않지만, 현 수준은 역사적으로 높은 밸류에이션 구간에 진입한 상태"라며 “이성적인 투자자라면 추격 매수에는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수준"이라고 평가했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2025-10-13 10:08 장하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