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기간 ~

세계보건기구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는 2건 입니다.

서울시내 교통소음이 (WHO)에서 권장하는 기준을 지속적으로 초과하고 있어 시민들의 심혈관계 질환 위험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과 서울시립대 환경공학과 최진희 교수팀은 최근 국제 저널인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서울시내 교통소음의 심각성을 지적했다. 연구팀은 시청역과 신촌역, 신사역, 성수동 등 4곳에서 지속적으로 소음도를 측정, WHO의 무(無)유해 영향 수준(NOAEL)과 비교했다. 국내 환경소음 기준치도 있지만, 시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WHO 기준과 비교했다. 낮시간(오전 6시~오후 10시) 동안 측정한 등가(等價)소음도(Leq)는 시청역에서 66.4 데시벨(dB(A), 소음측정단위)로 측정됐다. 또, 신사역에서는 71.4데시벨, 성수동은 72.3 데시벨, 신촌역은 71.5 데시벨로 측정돼 4곳 모두 WHO의 무영향 기준 60데시벨을 넘어섰다. 일반적으로 70 데시벨을 초과하는 소음에 노출되면 심근경색의 상대적인 위험도가 20% 상승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밤 시간(오후 10시~다음날 오전 6시) 등가소음도 역시 시청역이 61.2 데시벨, 신사역 69.1 데시벨, 성수동 68.6 데시벨, 신촌역 67.9 데시벨 등으로 측정됐다. 4곳 모두 무영향 기준치인 50 데시벨을 충족하지 못했다. 야간 교통 소음이 심하면 수면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데, 수면 시간 감소와 수면 장애는 비만과 제2형 당뇨병을 포함한 대사 질환, 심혈관 질환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와 함께 24시간 등가 소음도(Lden)는 시청역이 70.7 데시벨, 신사역이 76.4 데시벨, 성수동 76.6 데시벨, 신촌역 75.9 데시벨로 나타났다. 4곳 모두 WHO 지침에 따른 아침-저녁-야간 시간대 기준인 53 데시벨을 초과했다. 이에 앞서 WHO는 도로교통 소음 수준과 심근경색의 유병률에 대한 기존 연구를 분석했는데, 60 데시벨 미만의 소음 수준에서는 심근경색 위험 증가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상관관계를 바탕으로 WHO는 낮 시간 동안 교통소음과 심근경색의 연관성에 대한 NOAEL 값을 60 데시벨로 설정했다. 또, 도시의 야간 도로 교통 소음은 주간보다 약 7~10 데시벨 낮은 경향이 있고, 일반적인 소음 수준 규제는 주간과 야간의 10 데시벨 차이를 고려하기 때문에 야간의 NOAEL 값을 50 데시벨로 권고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신사역과 신촌역, 성수동역의 경우 주간 등가 소음 수준이 70 데시벨을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통소음도를 60 데시벨 이하로 유지했을 때와 비교하면 심근경색이 발생할 상대 위험도가 20% 이상 높아진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연구팀은 “연구 지점인 시청역 등 서울 시내 4곳은 WHO 권장 수준을 초과해 시민들이 심혈관 질환과 같은 부정적 건강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고 결론을 내렸다. 한편, 지난 2023년 3월 중국 베이징대학과 영국 옥스퍼드대학 등의 연구팀은 '미국 심장학회 저널 어드밴시스(JACC: ADVANCES)'에 발표한 논문에서 “도로 교통 소음이 높은 곳에 사는 사람은 고혈압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힌 바 있다. 노출되는 소음이 클수록 고혈압 발생 위험도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됐다는 것이다. 스위스 열대·공중보건 연구소와 바젤대학 등의 연구팀도 2023년 3월 '환경 보건 전망(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저널에 발표한 논문에서 “거주지에서 더 심한 교통 소음에 노출될수록 자살로 인한 사망 위험이 더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주거지의 평균 도로 교통 소음이 10㏈ 증가할 때마다 자살 위험이 4% 증가한다는 것이다. 유엔 산하 환경 전문 기구인 유엔 환경계획(UNEP)은 지난 2022년 2월 '2022 프린티어 보고서'에서 도시의 심한 소음과 늘어나는 산불, 기후변화로 인한 생태계 리듬 파괴 등 인류를 위협하는 3가지 환경 위협으로 지목하기도 했다.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유럽에서는 각각 2200만 명과 650만 명이 소음으로 인해 만성적인 스트레스 혹은 수면 장애로 고통받고 있다. 소음 공해는 유럽연합(EU) 시민 5명 중 1명에게 영향을 주고 있고, 유럽에서 매년 4만8000건의 새로운 허혈성 심장 질환이 발생하고, 1만2000명이 조기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UNEP 보고서는 “도시 계획 담당자는 숲 벨트나 녹색 벽, 녹색 지붕처럼 도시 내에 더 많은 녹지 공간을 조성해 긍정적인 사운드스케이프(Soundscape, 소리 풍경)를 조성하는 데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우수 사례로 독일 베를린 사례를 제시했다. 베를린은 자동차 도로를 줄이고 자전거 도로를 늘리는 간접적인 방법으로 소음을 줄였다. 강찬수 기자 kcs25@ekn.kr

2025-08-27 10:19 강찬수

서울의 여름 하늘이 갈수록 위험해지고 있다. 지난 10년간 여름철 서울 대기의 오존 농도가 꾸준히 상승한 탓이다. 오존이 호흡기 질환은 일으키는 것은 물론 심혈관 건강까지 위협하는 요인이라는 최근 연구 결과도 있어 관심과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18일 서울시 대기환경정보 자료에 따르면, 서울 지역 대기중 오존 농도는 올여름(6월 1일~8월 16일) 평균 농도가 0.04ppm을 기록했다. 지난 2015년 여름(6~8월) 서울의 오존 평균 농도가 0.0312ppm이었던 것과 비교하면 10년 만에 30% 가까이 증가한 것이다. 서울지역 오존 오염도 2023년 여름 0.040ppm, 2024년 여름 0.0446ppm까지 치솟았다. 국내 오존 환경기준은 8시간 평균으로 0.06ppm(㎥당 117.8㎍(마이크로그램), 1㎍=100만분의 1g)으로 정해져 있다. (WHO)는 단기적으로는 8시간 동안 100㎍/㎥(약 0.05ppm)을 환경기준으로 제시하지만, 건강과 생태계 보호를 위해 여름철 동안 60㎍/㎥(약 0.03ppm) 이하로 유지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서울의 오존 오염도는 WHO의 건강 생태계 보호 권고 기준을 초과하고 있는 셈이다. 오존 오염의 증가는 미세먼지 등 다른 대기오염 물질이 줄어드는 추세를 보이는 것과 대조적이다. 오존은 자동차 배출가스와 산업활동에서 배출된 질소산화물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이 햇빛 자외선과 반응해 생성된다. 기온이 높고 햇볕이 강하고 바람이 잔잔한 여름철, 특히 대도시일수록 오존 농도가 빠르게 치솟는다. 여름철 기온이 상승하는 기후변화와도 관련이 있다. 이와 관련 지난 6월 부산대 의생명융합공학부 이환희 교수와 서울대 보건대학원 김호 교수 등 연구팀은 국제 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오존 오염의 위험성을 경고했다. 연구팀은 2015~2019년 사이 연도별로 4~9월에 전국에서 발생한 '병원 밖 심정지' 사례와 오존 오염 데이터를 분석했고, 오존 농도가 10ppb(약 0.01ppm) 증가할 때 심정지 발생 위험이 2.2% 높아진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령에 따라 3개 그룹으로 나눠 통계 분석한 결과, 노인보다 상대적으로 젊은 중년층이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75세 이상 고령층 그룹보다는 0~59세 그룹과 60~74세 인구 그룹에서 오존 노출의 위험도가 더 크게 나타났다. 남성의 경우 오존과 심정지의 연관성이 여성보다 훨씬 뚜렷했고, 흡연·음주 습관이나 기저 호흡기 질환을 가진 사람일수록 위험은 더 높아졌다. 연구팀은 전체 심정지 사례의 11.3%가 오존 노출 때문인 것으로 분석했다. 0~59세 연령대에서 발생한 심정지 사례 가운데 2400여 건이 오존 오염 탓인 것으로 추정됐다. 이는 단순한 노인층의 문제가 아니라 전체 세대를 위협하는 환경 리스크임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기저질환을 가진 사람은 오존 농도 심정지 사이의 연관성이 더 뚜렷했다. 고혈압과 당뇨병, 이상 지질혈증, 심장질환, 뇌혈관 질환, 만성 신장 질환, 호흡기 질환 등 병력이 있는 60~74세 남성은 오존과 심정지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야외 활동이 많은 젊은 세대가 고농도 오존에 반복적으로 노출될 경우 심정지 위험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다"면서 “기존처럼 노인만을 고위험군으로 여기는 인식은 바뀌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팀은 또 “국내 오존 환경 기준이 WHO의 건강 생태계 보호 권고치보다 두 배나 완화되어 있다"면서 “WHO 권고을 지킨다면 매년 500건 이상의 심정지를 예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오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자동차와 공장에서 배출되는 오염물질을 줄이도록 정책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오존 오염도가 치솟는 시간대에는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학교나 직장에서도 야외활동의 시간을 조정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권고하고 있다. 한편, 기후변화로 기온이 상승하면서 오존 오염은 전통적인 여름철(6~8월) 외에도 4월부터 9월까지 연중 6개월 이상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한국환경공단의 대기정보 시스템인 '에어코리아'에 따르면 지난해 서울지역에서 처음 오존주의보가 발령된 것은 4월 19일이었고, 마지막으로 발령된 것은 9월 19일이었다. 강찬수 기자 kcs25@ekn.kr

2025-08-18 10:37 강찬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