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스페셜티 커피 브랜드 블루보틀 커피가 지난해 회계연도 기준 탄소중립을 달성했다고 15일 밝혔다. 블루보틀에 따르면 회사는 지난 2018년 대비 온실가스(GHG) 배출 강도를 18.4% 감축했으며, 남은 배출량은 탄소 크레딧을 통해 상쇄했다. 칼 스트로빈크(Karl Strovink) 블루보틀 커피 최고경영자(CEO)는 “탄소중립 달성은 하나의 이정표이자 우리가 지속적으로 지향해야 할 과제"라며 “향후 기후 변화에 잘 적응하는 커피 품종을 쉽게 재배할 수 있도록 농가를 지원하고, 재생농업도 적극적으로 장려하겠다"고 말했다. 블루보틀은 주요 온실가스(GHG) 배출원인 생두 소싱 방식을 개선해 배출 강도를 25% 감축시켰고, 식물성 우유 확산으로 우유 부문의 배출 강도를 16% 낮췄다. 또 미국과 중화권 카페에서 재생 가능 전력을 도입해 전 세계 소비 전력의 배출 강도를 67% 줄였고, 미국 내 원격 및 하이브리드 근무 모델 도입 등으로 전 세계 직원의 출퇴근에 따른 배출 강도를 11% 감축시켰다. 이외에도 폐기물의 재활용 및 에너지 회수를 통해 지난해 순 배출 회피를 달성했다. 칼 스트로빈크 CEO는 “기후 변화로 인해 커피 생산 환경이 급변하고 있는 지금, 블루보틀은 재생 농업의 관점에서 커피를 새롭게 바라보고 있다"며 “이는 농지를 회복시키고 지역 공동체에 이로움을 주며, 궁극적으로 커피 산업 그 자체의 미래를 발전시키는 지속 가능한 방식"이라고 강조했다. 정희순 기자 hsjung@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