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기간 ~

코스닥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는 15건 입니다.

코스피가 3일 대형 반도체주 강세에 힘입어 단숨에 4220선을 돌파했다. 지난달 27일 4000선을 돌파한 지 5거래일만이다. 이날 시가총액 1위인 삼성전자는 '11만전자', 2위인 SK하이닉스는 '62만닉스'를 돌파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날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78%(114.37포인트) 오른 4221.87로 거래를 마쳤다. 이는 지난 4월 10일 이후 최대 상승 폭이다. 지수는 4123.36으로 시작해 내내 상승 폭을 키웠다. 오전 11시 30분쯤 장중 4200선을 처음 돌파했다. 이날 코스피는 개인 투자자가 끌어올렸다. 개인 투자자는 6512억원을 순매수했다. 반면 외국인 투자자는 7964억원을 순매도하며 차익 실현에 나섰다. 기관 투자자는 18545억원을 순매수했다. 코스피 시가총액 상위 종목은 대체로 상승 마감했다. 이날 시가총액 2위인 SK하이닉스는 증권가 이익 상향 전망에 힘입어 10.9% 오른 62만원에 거래를 마쳤다. 외국계 증권사 노무라가 SK하이닉스의 2027년 영업이익을 128조원으로 전망하며 목표주가 84만원을 제시했고, SK증권 역시 AI 시대 패러다임 변화를 근거로 목표주가 100만원을 제시했다. 삼성전자도 전 거래일 대비 3.41% 오른 11만1100원에 거래를 마치며 사상 처음 '11만전자'를 돌파했다. 이날 오전 두산그룹 지주사인 두산이 장중 100만원을 찍으며 '황제주'에 오르기도 했다. 황제주란 주가가 100만원 이상인 종목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 효성중공업, 삼양식품 등이 있다. 두산은 전 거래일 대비 7.3% 오른 101만8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국내 증시는 지난주 젠슨 황 엔비디아 최고경영자(CEO)가 방한해 “삼성전자가 필요하고 SK하이닉스도 필요하다"며 협력을 강조한 여파가 지속되면서 반도체주 중심으로 올랐다. 앞서 엔비디아는 지난달 말 정부를 비롯해 삼성전자와 SK그룹, 현대차그룹, 네이버클라우드 등 국내 4개 기업에 총 26만장의 그래픽처리장치(GPU)를 공급한다는 내용을 발표해 투자심리에 불을 붙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지난주 금요일 오후에 발표된 엔비디아의 AI(인공지능)칩 26만장 공급 발표 이후 데이터센터 확장과 파트너십 기대감이 오늘 코스피 강세를 주도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이날 상승세는 반도체 등 일부 대형주에 집중되며 체감 경기는 지수와 달랐다. 코스피에서는 상승 종목(288개)보다 하락 종목(615개)이 두 배 이상 많았다. 지수는 전장보다 14.13포인트(1.57%) 오른 914.55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에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3887억원, 32억원 순매수했으며 개인은 3419억원 매도 우위를 보였다. 알테오젠(7.06%), 에코프로비엠(3.06%), 에코프로(7.73%), 레인보우로보틱스(11.23%), 에이비엘바이오(3.61%) 등이 올랐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은 전일보다 4.40원 오른 1,428.80원에 마감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2025-11-03 16:35 최태현 기자 cth@ekn.kr

새 정부 출범 이후 코스피가 역대 최고치를 거듭 갈아치우며 코스피와 지수 격차가 사상 최고 수준으로 벌어지고 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및 중·소형주가 저점을 지나고 있다고 분석하며 대형주 위주의 상승 국면 이후 연말부터 중·소형주로 온기가 퍼질 것으로 내다봤다. 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이날 11시 4분 코스피 지수는 반도체주 강세에 상승폭을 키우며 4190대로 올라섰다. 같은 시각 지수는 910.96이다. 코스피 지수를 지수로 나눈 값인 상대 강도는 4.6배에 이르렀다. 연초 코스피 지수는 2398.94, 지수는 686.63이었다. 상대 강도는 3.49배였다. 11개월에 걸쳐 코스피는 74% 올랐지만, 은 32% 오르면서 격차가 크게 벌어졌다. 김두언 하나증권 연구원은 “코스피와 의 상대 강도가 역사적 최고 수준으로 확대됐다"며 “이전 최고는 4.5배(2011년 6월14일)이었다"고 말했다. 두 시장의 시가총액도 크게 벌어졌다. 이날 코스피 시가총액은 3449조원으로 시가총액(481조원)의 7.17배에 달했다. 1월 2일 기준 시가총액은 코스피 1963조원, 344조원으로 두 시장의 규모 격차는 5.7배 수준이었다.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연말부터 시장을 중심으로 중·소형주 상승장이 나타날 수 있다고 전망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일반적인 강세장에서 나타나는 대형주 위주의 상승 국면 이후 중소형주로 상승 다변화 현상이 나타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 및 중·소형주가 상당 기간 열위에 놓였던 경기, 실적, 정책, 수급적 이유가 연말부터 해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150지수의 주당순이익(EPS)이 반등하기 시작했고, 미국의 금리 인하가 재개되면서 성장주에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보이는 데다, 벤처투자 활성화 및 시장 개혁으로 정부 정책 드라이브가 본격화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특히 국내 기업 실적이 대폭 개선되고 있는 점은 중소형 기업 주가를 끌어올릴 요인으로 작용한다. IBK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코스피 영업이익은 307조원, 내년은 402조원으로 추정된다. 2023년 코스피 영업이익 171조원에 견줘 3년 만에 두 배 이상 늘어났다. 변 연구원은 “중·소형주의 강세 현상은 증시 상승 전환 초반 또는 대형주 실적 급증이 상당 기간 확인된 랠리 후반부에 나타난다"며 “결과적으로 대형주의 2026년 강한 실적 개선은 이미 주가에 상당 부분 반영됐고 2026년이 3년차 실적 급증 국면임을 고려할 때 중소형 기업이 뒤따라 실적 개선될 수 있는 국면"이라고 분석했다. 수급 측면에서 향후 시장의 매수 주체가 개인 투자자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 9월부터 코스피가 빠르게 올랐고, 그 중심에는 외국인이 있었다. 외국인 투자자는 9월 코스피를 7.4조원, 10월에는 5.3조원을 순매수했다. 그중 반도체 업종의 순매수가 각각 7.0조원과 3.9조원으로 전체 순매수에서 94%와 66%를 차지했다. 변준호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4000포인트 대에서 개인 자금이 매수 주체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며 “고객 예탁금이 약 80조원 수준으로 급등해 있는 점을 고려하면 개인의 매도 자금이 주식시장 밖으로 크게 유출될 가능성은 낮아 개인의 저가 매수 또는 추격 매수 자금 여력이 충분한 것"으로 분석했다. 박승영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연말 연초를 두고 기대하는 건 유동성에 기댄 순환매"라며 “반도체 대형주에서 반도체 중·소형주나 IT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헬스케어로 옮겨가는 게 적절해 보인다"고 말했다. 최태현 기자 cth@ekn.kr

2025-11-03 14:27 최태현 기자 cth@ekn.kr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4100선을 돌파하며 장을 마쳤다. 개인·외국인 매도에도 기관이 8000억원 넘게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엔비디아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의 방한과 국내 대기업과의 협력 기대가 맞물리며 AI·자동차·로봇 관련 종목이 급등했다. 3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20.61포인트(0.50%) 오른 4107.50에 마감했다. 장 초반 4059선까지 밀렸으나 기관의 대규모 매수(8143억원)에 상승 전환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2007억원, 6005억원을 순매도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 가운데 △현대차(9.43%) △삼성전자(3.27%) △기아(3.18%)가 상승했고 △LG에너지솔루션(-2.77%) △SK하이닉스(-1.58%)는 약세였다. 이날 시장 상승을 이끈 건 '젠슨 황 효과'였다. 황 CEO는 전날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정의선 현대차 회장과 잇달아 만나 AI·로보틱스 협력 확대를 시사했다. 엔비디아는 한국 정부와 협력해 25만 개 이상 GPU를 삼성·SK·현대차·네이버 등에 공급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은 9.56포인트(1.07%) 오른 900.42에 마감했다.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1705억원, 1441억원 순매수했고 개인은 3086억원 순매도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24.01%) △에이비엘바이오(7.2%) △삼천당제약(5.88%) 등이 상승한 반면 △에코프로비엠(-1.6%) △에코프로(-1.35%)는 약세였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이날 오후 3시 30분 기준 전날보다 2.1원 하락한 1424.4원에 거래를 마쳤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2025-10-31 16:17 윤수현 기자 ysh@ekn.kr

코스피가 장중 4000선을 오르내리다 4010선에서 마감했다. 개인이 2조원 이상 순매수하며 방어에 나섰지만, 외국인과 기관의 매도세가 우위를 보이며 지수가 3거래일 만에 하락 전환했다. 28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32.42포인트(0.80%) 내린 4010.41에 거래를 마쳤다. 장중 한때 3972.56까지 밀리기도 했으나 개인(2조1078억원)과 기관(2076억원)의 순매수에 힘입어 낙폭을 일부 만회했다. 외국인은 1조8025억원 순매도했다. 업종별로는 △항공사(4.56%) △출판(4.40%) △전기제품(3.91%) △복합유틸리티(2.75%) 등이 상승세를 보인 반면 △복합기업(-3.44%) △조선(-3.17%) △우주항공(-2.64%) △반도체(-2.48%) 등은 약세를 나타냈다. 시가총액 상위주 가운데 △삼성전자(-2.45%) △SK하이닉스(-2.62%)가 하락세를 주도했다. 전날 '10만전자'를 회복했던 삼성전자는 이날 9만9500원으로 밀렸다. △HD현대중공업(-4.81%) △한화에어로스페이스(-4.14%) △현대차(-1.57%)도 약세를 보였다. 반면 △LG에너지솔루션(3.03%) △삼성바이오로직스(1.99%) △두산에너빌리티(5.49%)는 상승 마감했다. 은 전 거래일 대비 0.60포인트(0.07%) 오른 903.30에 마감하며 강보합세를 기록했다. 개인(1499억원)과 기관(253억원)이 매수 우위를 보인 가운데, 외국인은 1579억원을 순매도했다. 시총 상위주 중에서는 △에코프로비엠(0.69%) △에코프로(3.62%) △레인보우로보틱스(0.29%) △HLB(3.14%) 등이 상승했다. 반면 △알테오젠(-1.55%) △펩트론(-4.76%) △리가켐바이오(-0.07%) 등은 약세를 보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코스피는 전날 4000선을 돌파한 이후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며 “APEC 한미 정상회담 등 주요 이벤트를 앞두고 차익 실현과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6.0원 오른 1437.7원에 거래를 마쳤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2025-10-28 16:02 윤수현 기자 ysh@ekn.kr

코스피가 또다시 사상 최고치를 갈아치우며 4000 고지에 바짝 다가섰다. 지난 주 지수는 기관의 대규모 순매수에 힘입어 3940선을 돌파했고, 이번 주에는 APEC 정상회의와 FOMC를 앞두고 단기 숨고르기에 들어갈 전망이다. 증권가는 조정이 오더라도 실적과 유동성이 정방향으로 움직이는 만큼, 이를 매수 기회로 삼는 전략이 유효하다고 분석했다. 25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 주 코스피는 전주 대비 192.70포인트(5.14%) 오른 3941.59에 마감하며 사상 최고치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도 같은 기간 2.74% 상승했다. 직전 거래일인 24일에는 2.50% 급등하며 단숨에 3940선을 돌파, '4000포인트'까지 1.48%(58.41포인트)를 남겨뒀다. 지난 주 상승을 이끈 주체는 기관이었다. 기관 투자자는 한 주 동안 1조1418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5650억원, 7475억원을 순매도했다. 특히 최근 반도체 업황 개선과 대내외 투자환경 개선, 신정부의 자본시장 활성화 정책 기대감이 맞물리며 지수 상승세에 힘을 보탰다. NH투자증권은 다음 주 코스피 예상 밴드를 3650~3950선으로 제시했다. 나정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30일 열리는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연준이 25bp 인하 가능성을 98.9%로 반영하고 있다"며 “제롬 파월 의장의 완화적 발언을 고려할 때 유동성 우호 환경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원화 약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무역수지 개선 등을 감안하면 되돌림 가능성이 있다"며 “관세 불확실성이 해소될 경우 외국인 수급도 다시 순매수로 전환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증권가에서는 단기 급등에 따른 차익 실현 움직임을 경계하면서도, 조정 국면은 매수 기회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강진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차익실현 욕구가 높아진 상황에서 분위기 반전을 위한 촉매가 필요하다"며 “APEC을 앞두고 미중 정상회담 성사 가능성이 높고 리스크 해소가 기본 시나리오"라고 분석했다. 한편, 오는 31일부터 다음 달 1일까지 경주에서 열리는 APEC 정상회의에서는 한미 관세 협상이 핵심 이슈로 부각될 전망이다. 나 연구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한국의 대미 투자 분할안을 수용할지가 관건"이라며 “미국이 한국 기업의 투자 협력을 필요로 하는 상황인 만큼 결국 분할 수용 방향으로 협상이 진행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 그는 이번 주 유망 업종으로 △반도체(삼성전자) △증권(키움증권) △지주(두산) △AI 소프트웨어(LG CNS) △자동차(현대차) 등을 꼽으며 “수출 호조와 풍부한 국내 예탁금 유동성을 고려할 때 단기 조정 시 비중 확대가 합리적"이라고 조언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2025-10-26 09:47 윤수현 기자 ysh@ekn.kr

코스피가 장중 사상 처음 3900선을 돌파했지만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며 하락 마감했다. 미·중 무역갈등 재부각과 뉴욕증시 약세, 급등 부담이 맞물리며 7거래일 만에 약세로 돌아섰다. 23일 코스피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38.12포인트(−0.98%) 내린 3845.56으로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피는 뉴욕증시 약세와 미·중 무역갈등 경계감 속에 전장보다 47.89포인트(−1.23%) 내린 3835.79로 출발했다. 하지만 오전 11시 48분께 상승 전환해 3900.64를 돌파했고, 장중 한때 3902.21까지 오르며 사상 처음 3900선을 넘었다. 그러나 오후 들어 매물이 출회되며 상승분을 반납, 결국 3840선에 주저앉았다. 코스피가 3900선을 넘은 것은 지난 20일 장중 3800선을 처음 돌파한 지 불과 사흘 만이다. 단기 급등에 따른 피로감이 누적된 가운데, 미·중 무역 갈등과 '버블 붕괴' 우려가 겹치며 투자심리가 급격히 위축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날 한국은행은 시장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연 2.50%로 동결했다. 다만 고환율과 지정학 리스크, 글로벌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가 이어지며 투자심리 회복은 제한적이었다. 수급별로는 개인이 7474억원 순매수로 방어에 나섰으나,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4090억원, 3972억원 순매도로 지수 하락을 이끌었다. 시가총액 상위 14개 종목 중에서는 방산주를 제외하고 대부분 약세로 마감했다. △네이버(−5.09%) △현대차(−3.45%) △두산에너빌리티(−3.42%) △셀트리온(−3.20%) △삼성전자(−2.13%) △LG에너지솔루션(−1.54%) 등이 낙폭을 키웠다. 반면 △한화에어로스페이스(+4.17%) △한화오션(+1.89%)은 방산 수출 기대감에 강세를 보였다.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7.12포인트(−0.81%) 내린 872.03으로 마감했다. 이날 은 874.13(−0.57%)에 출발해 장중 내내 약세 흐름을 이어갔다. △에코프로(−6.75%) △에코프로비엠(−3.51%) △레인보우로보틱스(−1.92%) 등 주요 성장주가 하락한 반면 △알테오젠(+0.33%) △HLB(+0.34%) △파마리서치(+0.18%) 등 일부 바이오주는 소폭 상승했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9.8원 오른 1439.6원에 마감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2025-10-23 16:33 윤수현 기자 ysh@ekn.kr

코스피가 한미 관세 협상 타결 기대감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2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는 전 거래일 대비 1.56% 오른 3883.68로 마감하며 종가 기준 역대 최고점을 기록했다. 장중에는 3794.52까지 밀리며 3800선을 내주기도 했지만, 기관의 강한 매수세가 지수를 끌어올렸다. 기관은 이날 7624억원을 순매수하며 반등을 주도했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542억원, 7249억원 순매도했다. 이날 장 초반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정상회담 무산 가능성을 언급하며 뉴욕증시가 보합세로 마감한 영향으로 코스피가 약세를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어쩌면 (회담이) 성사되지 않을 수도 있다"며 불발 가능성을 시사했고, 이에 나스닥 지수가 0.16% 하락했다. 여기에 북한이 단거리 탄도미사일로 추정되는 발사체를 동해로 여러 발 발사한 소식까지 전해지며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하지만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이날 오전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과 함께 한미 관세 후속 협상을 위해 미국으로 출국하며 “양국 간 의견이 많이 좁혀졌지만 한두 분야는 대립이 있다"고 언급한 뒤 시장 분위기가 반전됐다. 조선과 방산 등 관련 업종을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며 지수가 다시 상승 전환했다.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에서는 △삼성전자(1.13%) △SK하이닉스(0.52%) △LG에너지솔루션(4.00%) △삼성바이오로직스(2.53%) △현대차(1.75%) △한화에어로스페이스(3.39%) △HD현대중공업(3.20%) △기아(1.99%) 등이 상승했다. △두산에너빌리티(-1.25%)는 하락했다.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76% 오른 879.15에 마감했다. △에코프로(15.15%) △에코프로비엠(3.38%) △알테오젠(1.92%) 등이 강세를 보였다. 한편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장보다 2원 오른 1429.8원에 거래를 마쳤다. 다카이치 사나에 일본 총리가 엔화 약세 기조 정책을 지속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며 달러 강세가 이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2025-10-22 16:27 윤수현 기자 ysh@ekn.kr

코스피가 장중 사상 최고치인 3900선을 돌파했으나 급등 부담에 따른 차익실현 매물이 쏟아지며 상승 폭 대부분을 반납했다. 21일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9.15포인트(0.24%) 오른 3823.84로 마감했다. 장 초반 3851.01로 출발해 3893.06까지 급등했으나 오후 들어 상승분을 반납하며 강보합권에서 거래를 마쳤다. 기관이 2116억원을 순매수하며 지수 하락을 방어했고 외국인과 개인은 각각 124억원, 1554억원을 순매도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장중 각각 9만9000원, 50만2000원까지 오르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지만 차익 매물이 출회되며 하락 전환했다. 시가총액 상위주 가운데서는 △HD현대중공업(9.96%) △현대차(3.43%) △한화에어로스페이스(2.20%) △한화오션(6.16%) 등이 상승했다. 반면 △삼성전자(-0.61%) △SK하이닉스(-1.34%) △두산에너빌리티(-0.37%) △네이버(-1.36%) △KB금융(-1.44%) 등은 하락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운송장비(3.80%) △전기가스(3.29%) △서비스업(2.75%) △건설업(1.99%) 등이 강세를 보였고, △증권(-3.29%) △음식료품(-1.40%) △유통(-1.05%) 등은 약세를 기록했다. 지수는 전일 대비 3.27포인트(0.37%) 하락한 872.50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이 1873억원을 순매수한 반면,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996억원, 598억원을 순매도했다. △HLB(11.17%) △삼천당제약(3.10%) 등은 상승했고 △에코프로(-2.32%) △레인보우로보틱스(-3.96%) △파마리서치(-5.81%) 등은 하락했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8.6원 오른 1427.8원에 마감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2025-10-21 16:07 윤수현 기자 ysh@ekn.kr

국내 주식시장에서 개인과 기관이 나란히 '팔자'로 돌아선 가운데, 외국인만 홀로 '사자'에 나섰다. 외국인의 대규모 매수는 반도체 업종, 특히 삼성전자에 집중됐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최근 1개월간 코스피··코넥스 시장을 합산한 외국인 순매수 규모는 6조4580억원에 달했다. 같은 기간 개인은 6조1840억원, 기관은 5330억원을 순매도했다. 외국인 순매수 상위 종목은 삼성전자다. 외국인의 삼성전자 순매수액은 6조1750억원으로 전체 순매수의 96%를 차지했다. 외국인의 대규모 순매수는 반도체 업종을 중심으로 한 국내 증시의 이익모멘텀이 강화된 결과로 풀이된다. 이달 한국의 이익모멘텀은 글로벌 평균을 웃돌고 있으며, 미국 시장에서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확대가 이어지면서 IT 하드웨어 수요가 늘고 있다. 이에 따라 반도체 비중이 높은 한국 증시가 직접적인 수혜를 입은 것으로 풀이된다. 시장조사기관 에프앤가이드(FnGuide)에 따르면 최근 한 달 동안 KOSPI200 기업의 향후 12개월 예상 영업이익 추정치는 9.5% 상향됐다. 업종별로는 반도체가 8.8%포인트(p), 기타 자본재(지주)가 0.3%p를 각각 기여했다. 같은 기간 3분기 영업이익 추정치도 1.5% 상향됐다. 반도체 업종이 2.6%p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자동차(-0.5%p)와 운송(-0.3%p) 업종은 하향 조정됐다. 삼성전자는 이러한 반도체 업황 상승 국면의 중심에 있다. 글로벌 AI 협력 확대와 반도체 공급망 다변화가 맞물리며,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에서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오픈AI, 브로드컴, AMD, 오라클, 소프트뱅크 등 주요 글로벌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가 이어지면서 AI 생태계 확장 수혜가 본격화되고 있다. 양일우 삼성증권 연구위원은 “한국 증시 이익 모멘텀은 주요국 증시 대비 크게 우위에 있는데 이는 반도체 업종이 견인했다"며 “엔비디아 외 다양한 글로벌 반도체 기업 이익 모멘텀 개선이 한국 증시에 긍정적이다"라고 말했다. 반도체 훈풍이 이어지면서 삼성전자가 내년에 2018년 이후 8년 만에 최대 실적을 달성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KB증권은 삼성전자의 내년 영업이익이 64조2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올해 대비 79% 증가한 수치다. 이 가운데 반도체 부문 영업이익은 43조4000억원으로 올해 대비 167% 증가한 수준을 기록할 전망이다. HBM 매출은 올해보다 약 3배(206%) 증가가 예상된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최근 주가 상승에도 주가순자산비율(PBR) 1.4배를 기록하며 글로벌 메모리 업체 중 가장 저평가되고 있는 삼성전자는 향후 주가 10만원이 강력한 지지선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2025-10-21 09:13 장하은 기자 lamen910@ekn.kr

코스피가 사상 처음으로 3800선을 돌파하며 최고치를 새로 썼다. 기관의 대규모 매수세가 지수 상승을 견인했고, 미·중 무역갈등 완화 기대감이 위험자산 선호심리를 자극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65.80포인트(1.76%) 오른 3814.69에 마감했다. 지난 16일 3700선을 처음 넘어선 지 단 2거래일 만에 3800선을 돌파하며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지수는 3775.40으로 출발한 뒤 장 초반 3728.38까지 밀리기도 했으나 낙폭을 빠르게 만회하며 상승세로 돌아섰다. 유가증권시장에서는 기관이 6428억원 규모를 순매수하며 지수를 끌어올렸다. 개인과 외국인은 각각 4809억원, 2503억원 어치를 순매도했다. 미국발 훈풍도 투자심리를 개선시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달 말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회의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날 것이라고 재차 밝히면서 미·중 무역긴장 완화 기대감이 확산됐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방미 후 “한미 관세협상 진전이 있었다"고 언급한 점도 호재로 작용했다. 업종별로는 △증권(10.61%) △금융(3.27%) △운송장비·부품(2.46%)이 강세를 보였다. △미래에셋증권(17.17%) △한국금융지주(14.02%) △키움증권(12.10%) 등 주요 증권주가 일제히 급등했다. 반도체 대표주인 △SK하이닉스(4.30%) △삼성전자(1.33%)도 상승세를 이어갔으며 △한화에어로스페이스(4.50%) △기아(2.14%) △현대차(2.06%) △삼성바이오로직스(1.61%) 등이 동반 강세를 나타냈다. LG에너지솔루션(-0.35%)만이 하락 마감했다. 지수도 16.23포인트(1.89%)가량 상승한 875.77에 거래를 마쳤다. 개인이 1979억여원을 순매도한 반면 외국인(1407억)과 기관(678억)이 순매수에 나섰다. 이성훈 키움증권 연구원은 “일부 미국 지역은행의 부실 우려에도 시스템 리스크로 번질 가능성은 낮다는 인식이 확산됐다"며 “이번 주 예정된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를 통해 미 연준의 금리인하 기조 지속 여부가 가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편 원·달러 환율은 전일 대비 2.0원 내린 1419.2원에 마감했다. 윤수현 기자 ysh@ekn.kr

2025-10-20 16:04 윤수현 기자 ys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