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양성모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양성모 기자 입니다.
  • 자본시장부
  • paperkiller@ekn.kr
[데스크 칼럼] 이상한 나라의 국회의원들

'정치를 종합예술이라고 하지만 코미디라는 생각밖에 안든다. 4년동안 코미디 공부 많이 하고 떠난다.' 코미디언 고(故) 이주일(본명 정주일) 씨가 14대 국회의원 임기를 마치고 15대 총선 불출마 선언 당시 던진 말이다. 국내 코미디계의 1인자였던 그가 국회에서 한 수 배웠다는 것은 국회가 얼마나 비정상적으로 흘러가는지 알 수 있는 대목이다. 코미디는 풍자와 해학을 통해 웃음을 주지만 그때나 지금이나 국회는 의원들의 이해할 수 없는 행보로 쓴웃음을 짓게 만든다.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논란이 하루가 멀다하고 나온다. 금투세는 주식과 펀드, 채권 등 금융투자를 통해 얻은 이익이 5000만원 이상이 될 경우 초과 액수의 22%부터 최대 27.5%의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野)당은 소득이 있는 곳에 세금이 있다며 금투세를 시행해야 한다고 주장중이고. 금투세를 폐지하자는 국민의힘 등 여(與)당은 투자자들의 혼란과 큰손들의 이탈 등으로 인한 국내 자본시장의 훼손을 우려하고 있다. 둘 다 이해 가능한 의견이라면 의견이다. 하지만 문제는 금투세 시행을 주장 중인 야당의 행보다. 내부에서조차 찬반으로 의견이 나뉘고 있고, 지난 24일 국회 본관에서 열린 금투세 시행 토론회에서는 온갖 구설을 만들어내며 투자자들을 분노케 했다. 이번 민주당의 토론회를 두고 일각에서는 '대학생 모의재판과 다를 바 없어보인다'는 지적이다. 투자자들과 허심탄회하게 대화를 나누기 위한 토론회가 아니었다. 당내 찬·반 의원들 간 의견을 교환하는 데에 그쳤다. 말 그대로 약속대련에 불과했다. 김영환 민주당 의원의 한마디는 이날 토론회의 화룡정점을 찍었다. 그는 “(금투세 도입으로) 증시가 우하향한다는 신념을 갖고 있으면 인버스에 투자하면 되지 않느냐"고 반문해 논란을 자초했다. 인버스는 주가하락에 베팅하는 파생상품이다. 이를 최근 주택가격에 견주어 보면 '아파트 가격이 오르던 시기 왜 서울에 집 한 채 사지 않았느냐'는 말과 다를 바 없다. 이는 국내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한 비아냥에 불과하다. 반복되는 금투세 논란으로 국민들은 피로감을 느끼고 있다. 친 민주당 성향 커뮤니티에서도 불만의 목소리가 나온다. 다수가 반대하는 상황에서 강행 의지를 내비치는 일부 의원들의 행보가 이해되지 않는다는 거다. 금투세 도입을 반대하는 여론은 조사결과에서도 잘 드러난다. 리얼미터가 한국주식투자자연합회 의뢰로 지난 지난 8월 21일부터 22일까지 이틀간 전국 성인 1001명을 대상으로 금투세 시행에 대한 의견을 조사한 결과, '폐지'(34.0%) 또는 '유예'(23.4%)가 필요하다는 비율이 57.4%로 나타났다. '예정대로 시행해야 한다'는 응답은 27.3%에 그쳤다. 이같은 결과는 “국장은 답이 없다"라는 한 투자자의 말이 모든걸 대변한다. 한국 증시만 소외받는 상황에서 투자심리를 훼손하는 금투세 도입이 현재 상황에서 과연 적절하냐는 거다. 실제 연초 이후 코스피 지수는 0.20%(5.5포인트) 감소한 반면 미국 다우지수는 12.26%(4623.46포인트)가 올랐다. 금투세 도입을 철회한 대만의 가권지수는 연초 이후 27.36%(4903.42)가 뛰었다. 급한건 세금이 아니라 시장 안정화다. 전환사채(CB) 등을 통한 무자본 인수합병(M&A)과 시장을 훼손하는 좀비기업들, 이슈에 급등락을 거듭하는 테마주의 난립 등 해결해야 할 문제가 한둘이 아니다. 언제까지 여의도발 코미디에 쓴웃음을 지어야 할까. 정치인들의 빠른 결단이 필요한 때다. 양성모 기자 paperkiller@ekn.kr

9월 증권사 브랜드평판 빅데이터 분석결과 1위는 미래에셋증권

2024년 9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증권사 브랜드평판 1위에 미래에셋증권이 이름을 올렸다. 이어 삼성증권과 한국투자증권이 각각 2위와 3위 순으로 분석됐다. ​12일 한국기업평판연구소에 따르면 소비자들에게 사랑받는 24개 증권사 브랜드에 대해서 8월 12일부터 9월 12일까지의 증권사 브랜드 빅데이터 3266만3071개를 분석해 소비자들의 증권사 브랜드 소비행태를 알아냈다. 지난 8월 증권사 브랜드 빅데이터 3107만5377개와 비교해보면 5.11% 증가했다. 브랜드에 대한 평판지수는 브랜드에 대한 소비자들의 활동 빅데이터를 참여가치, 소통가치, 소셜가치, 시장가치, 재무가치로 나누게 된다. 증권사 브랜드 평판조사에서는 참여지수와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사회공헌지수로 분석했다. 증권사 브랜드평판 알고리즘 사회공헌지수를 강화하면서 금융소비보호 관련지표가 포함했다. 정성적인 분석 강화를 위해서 ESG 관련지표와 오너리스크 데이터도 포함했다. ​2024년 9월 증권사 브랜드평판 순위는 미래에셋증권, 삼성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신한투자증권, 대신증권, 한화투자증권, SK증권, 유안타증권, 유진투자증권, 메리츠증권, 현대차증권, 아이엠증권, 교보증권, 하나증권, 신영증권, LS증권, DB금융투자, IBK투자증권, 키움증권, 다올투자증권, 케이프투자증권, 부국증권 순이었다.​ 증권사 브랜드평판 1위를 기록한 미래에셋증권 브랜드는 참여지수 76만2513 미디어지수 188만6868, 소통지수 166만3124, 커뮤니티지수 135만7881, 사회공헌지수 6만821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573만8603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529만3963과 비교해보면 8.40% 상승했다.​ 2위, 삼성증권의 브랜드평판지수는 411만3075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397만1463과 비교해보면 3.57% 상승했다.​ 또 3위인 한국투자증권 브랜드평판지수는 347만5941로 지난 8월 351만1936과 비교해보면 1.02% 하락했다.​ 양성모 기자 paperkiller@ekn.kr

FSN ‘대다모 댄디’ MAU 전월 대비 400% 급증…가입자 수도 급성장

FSN은 계열사 대다모닷컴이 운영 중인 남성 뷰티·성형·패션 플랫폼 '대다모 댄디'의 가입자,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 등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고 22일 밝혔다. 현재 FSN은 자회사 부스터즈를 통해 헬스케어 카테고리 중심으로 브랜드 및 플랫폼 액셀러레이팅 사업 영역을 넓혀가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남성 뷰티 시장 역시 적극 공략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그랜드뷰리서치의 보고서에 따르면 남성 화장품 시장이 2023년부터 2030년까지 연평균 8% 성장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고, 딜로이트는 남자 미용 시술 시장이 연간 28.7%의 성장률을 기록 중이라고 분석했다. 또한, '남자코디', '남자패션' 관련 SNS 키워드가 각각 250만 건, 150만 건에 이르는 등 국내 남성 패션, 뷰티 시장에 대한 관심도 커지고 있다. 대다모 댄디는 2030 남성들을 위한 뷰티·성형·패션 커뮤니티로, 국내 최대 의학 커뮤니티인 '대다모'가 론칭했다. 패션, 헤어, 스타일 등은 물론, 남자 전문 성형외과·피부과 정보와 비대면 성형 견적 상담까지 가능한 만큼, 유저들은 자신의 고민과 스타일에 적합한 솔루션을 쉽게 얻을 수 있다. 올해 론칭한 대다모 댄디는 대다모의 커뮤니티 운영 역량과 부스터즈의 플랫폼 액셀러레이팅이 더해지면서,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6월 MAU가 전월 대비 40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다모 댄디는 2030 남성 그루밍 유저의 니즈에 최적화된 마케팅을 펼치면서 우수한 성과를 내고 있다. 최근 진행한 '형님모행' 이벤트의 경우, 단 3일만에 약 5600건의 게시글과 댓글이 생성됐고, 이를 통해 많은 유저들이 데일리룩, 트렌드, 취미에 대한 소통을 진행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벤트 기간 동안 일 평균 가입자 수도 약 1500%가 늘었다. 대다모 댄디는 향후에도 다양한 이벤트들을 통해 전반적인 플랫폼 인프라를 확장해 나간다는 계획이다. 강원주 대다모닷컴 대표는 “패션, 외모 관리에 대한 남성들의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관련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고, 대다모 댄디는 이러한 니즈를 충족할 수 있어 빠르게 주목을 받고 있다"며 “감도 높은 패션 정보 뿐만 아니라 각종 트렌드, 뷰티, 미용 시술 정보도 함께 제공하는 만큼 2030 남성을 대표하는 커뮤니티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양성모 기자 paperkiller@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