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이미지

박규빈 기자

안녕하세요 에너지경제 신문 박규빈 기자 입니다.
  • 산업부
  • kevinpark@ekn.kr

전체기사

에어서울, ‘간판 노선’ 인천-日 다카마쓰 항공권 특가 판매 진행

에어서울이 대표 노선 항공권을 대폭 할인된 가격에 판매해 소비자 복리 증진에 나선다. 에어서울은 인천-일본 다카마쓰 노선과 관련, 특가 항공권 등 다양한 혜택을 담은 프로모션을 내달 11일까지 진행한다고 24일 밝혔다. 탑승 유효 기간은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다. 이번 특가 항공권은 편도 총액 시작 가격이 6만4200원으로, 정가 대비 최대 92% 할인된 수준이다. 에어서울 관계자는 “기존 특가 항공권에는 없던 무료 수하물 15kg 혜택 제공이 포함됐다"고 말했다. 또한 △다카마쓰 공항-시내 연결 공항 리무진 버스 왕복 티켓 △리츠린 공원 무료 입장권 △쇼도시마 페리 티켓 등을 내포한 4만원 상당의 쿠폰북은 선착순으로 주어진다. 국내 대비 저렴한 골프 여행을 즐길 수 있는 '3박 4일 패키지'도 다카마쓰행 항공권 구매 고객 한정으로 예약 가능하다. 여행 일정 중 조식·석식이 포함된 3박 온천 호텔 투숙·72홀 골프 그린피·카트비·여행자 보험 등이 모두 포함돼 있고, 최저 예약가는 69만원이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칭찬은 못해줄망정”…국토부, 발권 장애 LCC 3사 소명 요구 논란

국내 3개 저비용항공사(LCC)들이 전산 마비로 인한 발권 장애·수속 지연 사태를 겪은 가운데 당국의 후속조치가 도마 위에 올랐다. LCC들은 소비자 피해 최소화를 위해 밤샘작업을 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는데 국토교통부는 오히려 이들을 질책하며 무리한 대면보고를 요구했다는 이유에서다. 24일 본지 취재에 따르면 국토부 항공산업과는 전날 제주항공·이스타항공·에어프레미아에 '발권 시스템 장애 관련 후속 조치 요청'이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보냈다. 지난 19일 마이크로소프트(MS) 윈도우상에서 실행되는 사이버 보안 기업 크라우드스트라이크의 기업용 안티 바이러스 소프트웨어(EDR) '팰컨 센서'의 오류로 전세계적 전산망 마비·서비스 장애가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국토부는 “갑작스런 발권 시스템 장애에 관해 각 항공사들의 대응 조치 등 제반 상황 등을 확인하고, 유사 상황 발생 시 조치 사항을 재정립하고자 한다"고 통지했다. 그러면서 사건 발생 당일 오후 1시50분부터 2시10분 사이에 3사가 시스템 오류를 감지한 것으로 보이나 당국에 보고하지 않았다는 점을 문제삼았다. 자신들이 상황을 역으로 확인해 알게됐다며 본부장 내지는 실장급 인사가 항공산업과장에게 대면 설명하라고 지시했다. 자체 매뉴얼 상 유사시 통보·보고 체계 이상 여부를 점검한다는 이유에서다. 제주항공·이스타항공·에어프레미아에 △19~21일 사이 항공사 차원에서 장애를 확인하고 대응한 시간대별 경위 △항공사에서 확인한 장애 원인·해결 방안 △백업 시스템 미사용 사유·향후 가용 방안 △장애 발생 당시 이용자 대상 안내 사항·특이 민원 등 대처 내용 △예상되는 소비자 피해·대처 방안 △항공사 자체적으로 검토한 미흡점·개선 방안 등을 주문했다. 사실상 해명 내지는 소명을 요구한 것이다. 이메일에는 “시기는 가능한 빠를 수록 좋고, (세종 국토부 청사에) 방문 가능한 일정 2~3개를 미리 알려주면 확정해 회신하겠다"는 내용도 담겼다. 이에 각 항공사들은 울분을 토해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우리는 MS 클라우드 서비스를 기반으로 항공권 예약·발권 지원 업무를 처리하는 승객 서비스 시스템 '나비테어(Navitare)' 고객사임과 동시에 피해자"라며 “국토부가 복구 과정에서 지원해준 건 아무 것도 없으면서 때리기만 하면 능사냐"고 비판했다. 그는 “본사 직원 모두를 공항 현장에 파견해 새벽 4시까지 수기 발권해 임무를 완수한 마당에 국토부 관계자는 지연 운항편과 피해를 본 승객이 얼마나 되는지를 물었다"며 “공무원 집단을 이해 못하는 건 아니지만 너무 무리한 요구를 하는 것 같아 섭섭했다"고 토로했다. 이어 “이건 나비테어나 모회사 아마데우스, MS가 생각할 문제인데 칭찬은 커녕 도리어 우리가 되치기를 당할 이유가 무엇이냐"며 “갖은 고생은 다 하고 욕은 욕대로 먹었다"고 덧붙였다. 다른 관계자는 “에어캐나다·에어아시아·세부퍼시피·홍콩익스프레스 등 외항사들은 결항 처리하고 마는데 우리는 어떻게든 책임감을 갖고 최선을 다해 비행기를 띄웠다"며 “세종까지 가서 보고하라니 기가 찬다"고 말했다. 또 다른 관계자는 “시스템 오류를 감안해도 수기 발권 등 수속 진행은 원활히 이뤄진 편"이리고 반발했다. 해당 항공사들은 당국의 지시를 이해할 수 없다면서도 '절대 갑'인 국토부를 의식해 몸을 사리는 분위기다. 국토부 항공산업과 관계자는 “비상 상황에 대응하는 내부 절차가 분명 있을텐데 어떻게 상황이 전개됐는지를 파악하는 것은 당국으로서 당연히 해야 하는 조치"라고 해명했다. 이어 “항공사 직원 개개인의 불만에 대해 일일이 대응할 수는 없지만 이게 기분 나쁘고 번거로워 세종으로 못 오겠다는 게 해당 회사들의 공식 입장이라면 확인 절차를 거치겠다"고 덧붙였다. 황호원 한국항공대학교 항공우주정책대학원장은 “책임자 소환과 보고는 주무 부처가 취할 수 있는 조치"라면서도 “부당하거나 문책성 처분이 뒤따르면 안되며, 합당한 수준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MSD보다 4배 더 강력”…LIG넥스원, 和蘭서 FA-50 공랭식 AESA 레이더 FTB 전개

LIG넥스원은 네덜란드 왕립 항공우주센터(NLR)과 'FA-50 공랭식능동전자주사식위상배열(AESA) 레이더 비행 시험' 협력을 위한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고 24일 밝혔다. 이번 협약을 통해 양측은 해당 레이더의 비행 시험(FTB)을 수행한다. LIG넥스원은 2021년부터 한국항공우주산업(KAI)과 협력해 공랭식 AESA 개발을 완료했다. ESR-500A는 2023년 공군 민군 협력 전시회·세미나와 ADEX 2023에서 공개된 바 있다. AESA 레이더는 발열이 심해 냉각 장비를 요한다. 종래의 AESA 레이더는 부피가 크고 무겁지만 냉각 효율이 좋은 수랭식 냉각 기법을 사용해왔다. LIG넥스원이 독자적인 기술력을 바탕으로 개발에 성공한 공랭식 냉각 기법은 부피와 무게를 대폭 줄일 수 있다. 때문에 FA-50과 같은 경공격형 항공기에 적용하기에 가장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 NLR과의 공동 FTB가 끝나면 수출형 FA-50에 공랭식 AESA 레이더를 즉시 탑재할 수 있어 글로벌 시장에서 차별화된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전망이다. LIG넥스원은 지난해 5월 '2023 공군 민군 협력 세미나·전시회'에서 FA-50 AESA 레이더 시제품을 선보인 바 있다. AESA 레이더는 차세대 전투기의 필수 요소로 꼽힌다. 통상 AESA 방식의 레이더를 장착한 전투기는 기계식인 MSA 레이더를 장착한 전투기보다 3~4배의 전투력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FA-50 AESA 레이더는 현행 MSA 방식 레이더 대비 다수 표적 동시 탐지·추적 능력과 공중·지상 표적 동시 추적 능력 등 다방면에서 장점을 지녔다. 공·지·해 목표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수의 운용 모드를 보유했고 질화갈륨(GaN) 소자를 활용한 송·수신 모듈로 소형·경량화가 이뤄진 점이 특징이다. LIG 넥스원 관계자는 “향후 FA-50 성능 개량(MLU)에 적용될 경우 군 전력 증강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대한전선, 해저 케이블 포설선 사업 본격화

대한전선은 아산국가단지 고대 부두에서 6200t급 해저 케이블 포설선 '팔로스'의 취항식을 가졌다고 24일 밝혔다. 팔로스는 국내 유일의 해상 풍력용 CLV(Cable Laying Vessel) 포설선이다. 회당 최대 4400톤의 해저 케이블을 선적할 수 있다. '팔로스'는 콜럼버스가 최초의 항해를 시작한 스페인 항구 도시명으로, 임직원들이 참여한 네이밍 공모전을 통해 결정됐다. 대한전선 관계자는 “해저 케이블 시공 사업이라는 신대륙에 성공적으로 진출하겠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고 설명했다. 팔로스는 설계 단계부터 해저 케이블 포설을 염두에 두고 건조된 CLV다. 화물 운반이 목적인 바지선을 개조해 만든 CLB(Cable Laying Barge) 보다 월등한 성능을 낸다. 바닥이 평평해 수심과 무관하게 여러 현장에 투입이 가능하다. 선박 위치 정밀 제어 시스템(DP2) 등의 최신 기능도 탑재하고 있다. 최대 9노트(kt)로 운항할 수 있는 동력선으로, 예인선의 견인으로 움직여 기상 변화와 조류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지 못하는 CLB에 비해 매우 안정적이고 섬세하게 해저 케이블을 포설할 수 있다. 대한전선은 포설선 확보에 따라 설계·생산·운송·시공·시험·유지/보수 등 해저 케이블 벨류 체인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확보했다. 회사 측은 “전 세계적으로 해저 케이블의 턴키 경쟁력을 갖춘 기업은 소수에 불과하다"며 “향후 지속 성장이 전망되는 해상 풍력 시장에서 다양한 사업 기회를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앞서 대한전선은 올해 3월 ㈜해천과 해저 케이블 포설선 용선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용선 기간은 이달부터 내년 10월까지로, 510억원 규모다. 대한전선은 해당 계약으로 포설선을 매입한 지 3개월 만에 선박 인수 금액을 넘는 매출을 확보하게 됐다. 지난해 12월 대한전선은 해저 케이블 시공 역량 확대와 신규 수익원 확보 차원에서 500억원을 들여 해저 케이블 전용 포설선을 사들였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평행선’ 삼성전자-전삼노, 임금 교섭 합의점 도출 못한 채 종료…차주 재개 예상

삼성전자와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이 임금 교섭에서 합의점에 이르지 못한 채로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23일 삼성전자와 전국삼성전자노조에 따르면 양측은 이날 오전 9시 경기 용인 기흥 캠퍼스 나노 파크에 마련된 교섭장에서 협상을 재개했다. 총파업 보름 만이다. 끝 모를 협상에 양측은 정회와 속개를 수차례 이어갔고, 줄다리기식 교섭을 벌이다 이날 오후 5시 30분 경 별다른 소득 없이 종료했다. 협상 테이블에는 △임금 인상률 △노조 창립 휴가 1일 보장 △성과급 제도 개선 △파업에 따른 경제적 손실 보상 등이 올라왔다. 사측은 이를 수용 할 수 없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다. 사측은 지난달 말 중앙노동위원회 3차 사후 조정 회의에서 결정한 '평균 임금 인상률 5.1%'에서 추가 인상은 없다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평균 임금 인상률 산정 방식은 기본 인상률 3.0%에 성과 인상률 2.1%를 더한 것이다. 한편 전삼노 측은 기본 인상률 3.5%를 내세워 평균 임금 인상률 5.6%를 제시하고 있어 양측은 0.5%p의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교섭 종료 후 전삼노 측은 유튜브 라이브 방송을 진행했다. 이들은 “오는 29일까지 사측에 대안 제시를 요구했고, 그날부터 3일 간 집중 교섭에 돌입할 것"이라며 “그때까지 사측이 안을 내오지 않으면 교섭에 응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집중 교섭에서 협상안이 도출될 경우 조합원 찬반 투표를 거쳐 파업이 끝날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사측은 전삼노가 언급한 추가 협상 요구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전삼노는 “파업 3주면 반도체 사업에 대한 효과가 두드러져 이에 해당할 29일에 협상장에 임할 것"이라며 “오늘 사측은 빈손으로 나왔다"고 전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삼성전자-전삼노, 7시간째 줄다리기 협상 중

1969년 창사 이래 첫 파업을 겪은 삼성전자가 전국삼성전자노동조합과 임금 교섭을 이어가고 있다. 23일 전국삼성전자노조에 따르면 사측과 노조는 경기 용인 기흥 캠퍼스 나노 파크에 마련된 교섭장에서 임금 교섭 타결을 위한 협상을 이날 오전 9시 정각부터 이어오고 있다. 합의안 도출이 되지 않아 현 시점 기준 7시간여에 달하는 줄다리기 상태라는 전언이다. 전삼노 관계자는 “아직도 휴회와 재개를 거듭하면서 진행 중"이라며 “노사 5명씩 현장에 참석해있다"고 전했다. 협상 테이블에는 △임금 인상률 △노조 창립 휴가 1일 보장 △성과급 제도 개선 △파업에 따른 경제적 손실 보상 등이 올라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사측은 지난달 말 중앙노동위원회 3차 사후 조정 회의에서 결정한 '평균 임금 인상률 5.1%'는 건드릴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평균 임금 인상률 산정 방식은 기본 인상률 3.0%에 성과 인상률 2.1%를 더한 것이다. 한편 전삼노 측은 기본 인상률 3.5%를 내세워 평균 임금 인상률 5.6%를 제시하고 있다. 파업 사태 장기화에 따라 업계에서는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 경쟁력 약화 등 우려 섞인 목소리를 내고 있다. 앞서 전삼노는 파업 현장에서 HBM 등 반도체 생산 라인을 멈추게 할 것이라고 경고한 바 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HD현대중공업, ‘환태평양 벨트화 비전’ 구현 나선다

HD현대중공업이 호주 방산 전시회에 참가해 K-함정의 기술력을 알린다. HD현대중공업은 24일부터 3일 간 호주 방산 전시회 '인도양 방위 안보 2024(IODS 2024)'에 참가, 울산급 호위함과 세계 1위 조선 기술력을 선보인다고 23일 밝혔다. IODS 2024에는 호주 해군참모총장·미 해군작전사령관·영국 해군참모총장 등 글로벌 주요 안보협의체 오커스(AUKUS)와 쿼드(QUAD) 회원국의 군 당국·방산 주요 관계자들이 참가한다. HD현대중공업은 IODS 2024에서 지난 2월 호주 정부가 공개한 '호주 해군 수상함 확정 건조 계획'에 포함된 호위함 획득 계획에 입각, 호주의 해군력 강화·조선업 발전을 위한 방안 등 최적의 맞춤 솔루션을 제시한다. HD현대중공업은 이미 실전 능력까지 입증된 바 있는 울산급 호위함 시리즈와 세계 1위 조선업 역량을 중점적으로 홍보한다는 계획이다. 호주 정부는 안작(Anzac)급 호위함을 대체할 신조함을 도입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서호주 헨더슨 조선소의 역량 강화와 현지 건조까지 수행할 수 있는 기술력을 고루 갖춘 업체와 조기 획득이 가능하고 실전 검증된 호위함 모델을 눈여겨 보고 있다는 전언이다. HD현대중공업은 IODS 2024에서 호주 조선사들과 상호 협력·지원 방안에 대해서도 논의할 계획이다. 앞서 HD현대중공업은 지난달 18일 3200t급 필리핀 초계함 '미겔 말바르함'을 진수했다. 이 외에도 필리핀 정부가 추진하는 해군 현대화·전력 증강 사업에 참여해 호위함 2척·초계함 2척·원해 경비함(OPV) 6척 총 10척의 함정을 수주한 바 있다. HD현대중공업 관계자는 “함정 분야 첨단 기술을 바탕으로 △해외 거점별 파트너십 체결 △현지 건조 체계 구축 △기술 이전 패키지 표준화 등을 통해 필리핀·페루·호주·사우디아라비아·미국 등 권역별 해외 거점을 구축하겠다는 '환태평양 벨트화 비전'을 구현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대한항공, 친환경기로 녹색 날갯짓…탄소 배출량 30%↓

산업군을 불문하고 탄소 규제가 강화되는 가운데 대한항공이 고효율 항공기 도입과 친환경 기술 연구 역량을 바탕으로 환경·사회·지배 구조(ESG) 경영 보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23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와 국제민간항공운송기구(ICAO)는 '2050 탄소 중립' 결의안에 따라 세계 각국 항공사들에 대한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IATA는 글로벌 항공업계가 탄소 중립 차원에서 2050년까지 감축해야 할 누적 탄소 배출량은 약 21조2000t이라고 발표했다. ICAO는 세계 최초로 항공업계에 도입된 글로벌 탄소 규제인 '국제 항공 탄소 상쇄 제도(CORSIA)'를 2019년부터 적용해 항공사들로 하여금 기준 연도 대비 초과한 탄소 배출량에 상응하는 배출권을 구매해 상쇄할 의무를 지도록 했다.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은 2022년 10월 “항공업계 탄소 배출량은 전 세계 탄소 배출량의 약 2.5%에 불과하지만 고고도에서 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선제적인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한항공은 연비가 우수한 신형 항공기를 지속적으로 도입해 환경 규제에 대응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2034년까지 △A321neo 50대 △737-8 30대 △B787-9 10대 △B787-10 50대 △A350-900·1000 33대 △777-9 20대 등 총 203대의 신형기를 도입할 예정이다. 동시에 기령 20년을 초과한 '경년 항공기' A330 6대와 777-200ER 6대 등은 순차적으로 송출해 보유 항공기 현대화를 이뤄내고 있다. 777 계열 항공기 중 최신형인 777-9은 해당 시리즈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항공기라는 평가를 받는다. 탄소 복합 소재로 구성된 날개는 기존 777 계열기 대비 더욱 길어져 연료 효율이 10% 이상 좋아졌다. 787-10은 현존 787-9 대비 승객과 화물을 15% 더 실어나를 수 있고 연료 효율성 역시 기존 777-200보다도 25% 이상 향상됐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최신 여객기들은 동급 기종 대비 좌석당 탄소 배출량을 20~25%까지 감축할 수 있어 저탄소 비행에 앞장서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를 뒷받침하듯 여객기 기준 작년 대한항공의 유상 운송량당 탄소 배출량은 91.55kgCO2/100RTK로 전년 대비 9.86%, 2021년에 비하면 30.52% 감소했다. 또 온실 가스 배출 총량은 코로나 19가 본격 창궐하기 이전인 2019년에는 직접·간접·기타 간접 방식을 모두 포함해 1624만5436t이었으나 작년에는 1447만6917t으로 10.89% 줄었다. 연료비는 항공사 운영 비용의 30% 이상을 차지한다. 뿐만 아니라 연료 소모와 비례해 발생하는 탄소 배출의 환경 영향도 상당해 균형 잡힌 탑재 계획 수립과 효율적인 소모량 관리는 항공사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친환경 운항의 핵심 요소로 자리잡고 있다. 이에 대한항공은 2004년부터 연료 관리 조직을 운영해온 경험을 바탕으로 작년 4월 첨단 연료 관리 시스템을 도입하고 유관 부문간 유기적인 협의·협력 관계를 재정비했다. 비행 준비 단계에서는 운항 중량에 대한 정확한 예측을 통해 편차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항공기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 제반 요소에 대한 정밀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안전과 경제 운항 사이에서 균형을 이뤄 최적의 대체 공항을 선정한다. 불필요한 추가 연료 탑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이 외에도 엔진 물세척 등 항공기 성능 개선을 위한 정비 과제와 지상 전력 공급 장치(GPS·GPU) 활용 확대 등을 통한 지상 대기 중 연료 소모 최소화 과제를 이행하고 있다. 이 같은 활동을 통해 대한항공은 작년 탄소 배출량 약 25만7000톤을 절감하는 실적을 달성했다. 항공업은 특성상 에너지 탈(脫)탄소화가 어려운 업종이기 때문에 친환경 기술 도입을 통한 탄소 감축 비중이 높다. 특히 수소·전기 항공기나 탄소 포집·활용(CCUS) 기술 개발은 상당한 시간을 요한다. 그런 만큼 업계의 누적 탄소 배출량의 약 65%는 폐 식용유·농업 부산물·폐기물 등의 원료로 만든 친환경 대체 연료인 '지속 가능 항공유(SAF)'를 통해 감축해야 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높은 생산 비용이 걸림돌로 작용한다. 대한항공은 이를 해결하고 국내 항공업계 SAF 활성화를 위해 현대오일뱅크와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고, 정부 주관 '친환경 바이오 연료 활성화 얼라이언스'에 가입했다. 프랑스 파리발 인천 노선 운항편에는 SAF를 주입하고 있다. 친환경 경영의 일환으로 화물 컨테이너는 기성품 대비 60kg 가벼운 제품으로 전환했고, 전자 항공 운송장(e-AWB) 의무 시행·기내 서비스 용품 재질 변경·노후 기내 구명복 업사이클링 등도 진행하고 있다. 항공우주사업본부는 보잉·에어버스에 탄소 복합 소재를 적용한 여객기 구조물을 납품해 연료 효율 개선 노력을 기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안전과 함께하는 고효율 연료 관리를 모토로 이행 중인 다양한 과제를 발전시키고, 숨어있는 과제를 발굴하는데 멈추지 않겠다"며 “각 부문의 유기적인 협력에 기반한 친환경 문화 정착을 통해 사회가 요구하는 책임을 다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조원태, 英서 30조원 규모 B777-9·787-10 도입 계약…대한항공 친환경 경영 박차

대한항공이 미국 항공기 제작사 보잉의 최첨단 중대형 여객기 777-9과 787-10을 들여와 기단 현대화를 추진한다. 22일 대한항공은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이 영국 햄프셔주에서 개최된 '판버러 국제 에어쇼'에서 스테파니 포프 보잉 상용기 부문 사장과 보잉 777-9 20대·787-10 30대 도입을 위한 구매 양해 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787-10 계약분에는 10대 추가 구매 옵션이 포함돼있다. 다만 MOU 단계인 만큼 구체적인 금액은 명시되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보잉의 카탈로그 가격대로라면 약 30조원에 달한다"며 “올 3월 의결한 A350 도입 건은 18조원이었는데 이번 계약은 대한항공 사상 최대 수준"이라고 귀띔했다. 777-9과 787-10은 미주·유럽 등 장거리 노선에 투입될 대형·중대형 항공기다. 이 기종들은 아시아나항공 인수·합병(M&A) 이후 대한항공 기단에서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777 계열 항공기 중 최신형인 777-9은 해당 시리즈 중에서 가장 안정적이며 효율적인 항공기라는 평가를 받는다. 탄소 복합 소재로 구성된 날개는 기존 777 계열기 대비 더욱 길어져 연료 효율이 10% 이상 좋아졌다. 항속 거리는 1만3000km를 상회해 인천국제공항 기준 미국 전 지역이 직항 커버리지에 든다. 777-9은 같은 계열 여객기 중 동체 길이가 가장 길기 때문에 400~420석을 탑재할 수 있다. 787-10은 787 계열기 중 가장 큰 모델이다. 현존 787-9 대비 승객과 화물을 15% 더 실어나를 수 있다. 연료 효율성 역시 기존 777-200보다도 25% 이상 향상됐다. 조 회장은 “이번 보잉 777-9·787-10 도입 계약은 대한항공의 기단 확대와 업그레이드라는 전략적 목표에 중요한 이정표로 작용할 것"이라며 “승객의 편안함과 운항 효율성을 제고함과 동시에 탄소 배출량을 대폭 저감해 지속 가능 경영을 위한 장기적인 노력을 뒷받침하겠다"고 언급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에어버스 A350 계열 항공기 33대, A321neo 50대 등을 2034년까지 도입해 최첨단 친환경 기재를 203대까지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박규빈 기자 kevinpar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