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6월 16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韓 근로자 평균임금, OECD 평균 90% 돌파…日과 격차 벌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23 14:22

2022년 기준 韓 근로자 평균임금 4만8922달러…OECD 평균과 격차 축소
남녀 임금 격차는 OECD 1위…대기업·중소기업 임금 격차도 두 배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출근을 하고 있는 시민들이 걸어가고 있다.

▲서울 광화문광장에서 출근을 하고 있는 시민들이 걸어가고 있다.

우리나라 근로자 평균임금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의 90%를 넘었고 격차가 계속 좁혀지고 있는 가운데 10년 전에 일본을 추월한 이후 격차를 계속 벌리고 있다.


그러나 OECD 회원국 중 남녀 임금 격차는 가장 크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임금 격차는 두 배 이상으로 벌어진 점은 문제점으로 꼽힌다.


23일 OECD에 따르면 지난 2022년 기준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4만8922달러로 OECD 회원국 평균의 91.6%로 역대 가장 높다.


이 수치는 지난 2019년 89.7%에서 2020년 90.4%로 90% 선을 처음 돌파했고 2021년 90.6%에 이어 2022년 더 높아졌다. 지난 2022년 수치는 30년 전인 지난 1992년(63.8%)의 1.4배에 이른다.


한국 근로자 평균임금은 지난 1992년 2만6000달러 수준에서 2011년(4만252달러) 처음 4만달러 선을 넘은 데 이어 최근 5만달러 선에 근접해 OECD 평균과의 격차가 계속 줄고 있다.




지난 2022년 한국 평균임금은 OECD 38개 회원국 중 19위다. 칠레, 콜롬비아, 코스타리카, 튀르키예는 지난 2020∼2021년 수치가 있지만 한국보다 낮다.


아이슬란드가 7만9473달러로 1위를 차지했으며 룩셈부르크(7만8310달러), 미국(7만7463달러), 스위스(7만2993달러), 벨기에(6만4848달러), 덴마크(6만4127달러) 등 순으로 뒤를 이었다.


반면 멕시코는 1만6685달러로 가장 적고 그리스(2만5979달러), 슬로바키아(2만6263달러) 등도 낮은 편이었다.


일본은 4만1509달러로 25위 수준이다. 한국 평균임금이 일본의 1.2배였다.


근로자 평균임금은 한국이 지난 2014년 4만746달러로 일본(4만257달러)을 처음 역전했다.


이후 격차가 계속 벌어져 지난 2022년 한국은 4만9000달러에 육박하고 일본은 4만2000달러를 밑돌았다. 30년 전인 지난 1992년에는 일본이 4만434달러로 한국(2만6214달러)의 1.5배였다.


이처럼 한국 근로자의 평균임금이 일본을 넘어 OECD 평균과 격차를 계속 좁히고 있지만 성별, 기업 규모별, 근로 방식별로 격차가 심한 상황이다.


한국 성별 임금 격차는 2022년 기준 31.2%로 OECD 회원국 중 1위다. 일본은 21.3%, 미국은 17.0% 정도다.


통계청이 지난 2월 발표한 '2022년 임금 근로 일자리 소득(보수) 결과'에 따르면 2022년 12월 기준 대기업 근로자 평균소득은 월 591만원(세전 기준)으로 중소기업(286만원)의 2.1배였다.


고용노동부가 지난달 말 발표한 고용형태별 근로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정규직의 시간당 임금은 2만4799원으로 비정규직(1만7586원)의 1.4배였다.


전문가들은 사회 갈등을 유발할 수 있는 남성과 여성, 대기업과 중소기업, 정규직과 비정규직 간 임금 격차 등을 완화하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