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4일(화)
에너지경제 포토

김연숙

youns@ekn.kr

김연숙기자 기사모음




세계 수소수요 100% 화석연료서 나온다…천연가스 62% 차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12.26 14:03

에경연, IEA ‘Global Hydrogen Review 2023’ 분석…2022년 수소수요 약 9500만톤



2030년 수소수요 약 1억 5000만톤 전망…청정수소 0.7% 수준 불과, 정부지원 필요

2023122601001534100076921

▲해외 가스전 개발 현장.


[에너지경제신문 김연숙 기자] 전 세계 수소수요의 거의 100%가 화석연료에 기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정수소 보급 및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 개발 및 보급을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최근 에너지경제연구원이 국제에너지기구(IEA)가 발표한 ‘Global Hydrogen Review 2023’을 중심으로 분석한 바에 따르면 전 세계 수소시장 수요량은 2022년 기준 약 9500만톤에 달한다. 이 중 정유부문 수소 사용량은 4100만톤(43.1%)으로, 북미와 중동을 중심으로 2018년 이후 최대치를 기록했다.

2022년 전 세계 수소 생산량인 9500만톤 중 62%는 천연가스 기반, 21%는 석탄 기반, 16%는 화학·정유공정 기반의 화석연료 기반 수소가 생산된 것으로 분석됐다.

청정수소는 크게 두 종류로 나뉜다. 첫 번째는 기존 화석연료 기반 수소 중 이산화탄소 포집과 저장을 통해 배출량을 저감한 수소와 두 번째는 재생전기 등을 사용해 물분해를 통해 생산되는 수전해 수소이다.

현재 청정수소는 전체 수소 생산 중 0.7%만큼 생산돼 약 67만톤 수준에 이르렀으며, 이 중 수전해 수소는 약 9만5000톤이 생산된 것으로 집계됐다.

향후 2030년의 수소수요는 약 1억 5000만톤으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 중 40%가 정유나 전통 수소 활용 부문이 아닌, 수송이나 전력 부문 등의 신규 부문에서 청정수소가 공급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청정수소의 높은 생산 비용을 낮추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기술 개발에 따른 효율 증대, 제조 설비의 상용화 및 대형화를 통한 비용 저감 노력 등의 단계가 더 남아 있다는 분석이다.

김기환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정책적으로 설정된 수소 공급목표 대비 수요처인 화학, 철강, 정유 산업에서는 이러한 청정수소 사용에 대한 비용과 이익을 저울질하며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나, 정책적으로 설정된 공급 목표와 수요 사이에 간극은 아직 큰 것으로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전 세계적으로 청정수소 공급은 정부 목표치로 약 2700만톤에서 3500만톤의 공급 목표를 설정하고 있고, 현재 프로젝트 기반으로 분석된 자료로도 이러한 공급 목표에 부합할 것으로 분석된다"고 밝혔다.

IEA는 현재의 청정수소 공급과 수요의 간극을 채우기 위해 세계 각국의 다양한 방식의 지원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청정수소 생산 비용을 낮추고 이를 합리적인 가격으로 유통 저장하기 위한 인프라 구축 지원 정책이 제시되고 있다.

청정수소 지원을 위해 미국은 인플레이션감축법과 인프라일자리법으로 위 두 가지를 적용한다. 인플레이션 감축법은 생산 비용 중 일부를 새액공제를 통해 보전해 생산비용을 낮추고, 인프라일자리법을 통해 청정수소지역허브를 구축, 수소 생산부터 활용까지의 인프라를 구축하는데 재정을 지원하고 있다.

EU도 수소은행 설립을 통해 청정수소 생산에 필요한 재원을 조달해 수전해수소 생산을 지원한다. 인프라 구축에 드는 비용은 재정을 통해 분담해 초기 투자를 촉진하고 있다.

호주나 캐나다는 청정수소 수출을 위해 생산 단가를 낮추기 위한 지원 정책을 도입했다.

최근에는 이러한 생산-인프라 부문의 정책에서 나아가 활용(수요) 부문에서의 정책도 도입되기 시작했다.

미국의 콜로라도 주와 일리노이주는 화학-정유기업들과 같이 감축 산업에서 청정수소를 활용할 때 일정 금액을 공제하는 정책을 도입했다.

EU에서는 수소 사용시 청정수소 중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수소를 2030년까지 의무적으로 42%를 사용하도록 하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김 연구원은 "미국과 EU를 중심으로 해외에서의 수소 정책은 전 부문, 즉 청정수소 생산과 인프라, 활용 부문에서의 정책이 다양하게 도입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청정수소발전 입찰제도 외에 뚜렷한 청정수소 생산-인프라-활용 부문의 정책은 발표되지 않고 있다"면서 "장기적인 관점에서 전 부문에 걸친 다양한 청정수소 정책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라 할 수 있다"고 밝혔다.

youns@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