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어

기간 ~

와인그랩에 대한 전체 검색결과는 1건 입니다.

이마트가 자체 모바일 앱 기반의 주류 스마트오더 서비스 '' 전면 손질하면서 온·오프라인 시너지 극대화에 나서고 있다. 의 픽업처와 취급 주종·상품 폭을 대폭 넓히고, 신규 제휴·멤버십 등도 적극 도입하며 구매를 유도하는 것이다. 26일 이마트에 따르면, 오는 27일 을 리뉴얼 출시한다. 기존 이마트 할인점에 그쳤던 픽업처를 창고형 매장인 트레이더스까지 늘린 것이 핵심이다. 여기에 취급 주종을 와인·위스키에서 대중주·전통주까지 새롭게 추가하고, 상품 수도 2600여종에서 7000여종까지 늘리는 등 고객 선택권을 넓히고 있다. 이마트가 2022년 8월 첫 선보인 은 이마트앱을 통해 주류 사전 주문 후 오프라인 매장에서 원하는 날짜에 픽업하는 스마트오더 서비스다. 앱 기반 주문 특성상 이 서비스는 구매 가치가 있는 프리미엄·한정판 주류 등을 간편하게 살 수 있는 것이 강점이다. 이마트가 이번에 개편에 나선 것은 오프라인 핵심 카테고리인 주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고객의 구매 결정을 돕고자 글로벌 와인플랫폼 '비비노'의 와인 평점을 제공하거나, 상품 추천 기능을 더하는 방식으로 기존 검색 기능을 고도화하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여기에 전용 멤버십까지 도입해 구매·픽업 이력을 기준으로 등급별 차등 혜택도 제공한다. 이마트의 픽업 서비스 강화 움직임은 모바일 앱과 오프라인 매장을 연계한 'O4O(Online for Offline)' 전략의 하나다. 이마트는 2022년 5월 자체 앱 내 디지털 전환의 초석이 될 이마트페이 출시 후 다양한 카테고리에 걸쳐 픽업 서비스 선보여 왔다. 이마트페이는 결제·혜택·적립을 하나로 통합한 원스톱 서비스로, 픽업 상품 주문 시 해당 기능을 사용하면 구매 과정이 간소화되는 시너지를 일으킬 수 있다. 주류 외에도 이마트는 다양한 카테고리에 걸쳐 픽업 서비스 영역을 넓히고 있다. 에 앞서 공동구매 서비스인 '오더픽'을 선보였고, 올 8월부터는 디지털 가전을 취급하는 '디지털 그랩'도 운영하고 있다. 이 가운데 디지털그랩은 이미 출시 초기부터 할인점뿐 아니라 트레이더스 점포에서도 직접 제품을 수령할 수 있었다. 특히, O4O 전략 기반의 픽업 서비스는 회사 입장에선 다른 제품을 함께 구매하는 '병매'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 장점으로 꼽힌다. 실제 편의점 등 타 유통업체들도 주류 픽업 서비스를 운영하며 매출 확대 기회로 삼고 있다. 주로 GS25와 같이 자체 스마트 오더 플랫폼(와인25플러스)을 운영하거나, CU처럼 여러 온라인 플랫폼에 주류 전문관을 입점시켜 픽업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 매출은 연평균 20% 성장 중이며, 특히 20대~30대 구매 비중이 40%에 이른다"면서 “주류 픽업 과정에서 다른 상품도 함께 쇼핑하는 비율은 50% 이상으로, 고객 내점 유도는 물론 추가 매출에도 효과적"이라고 설명했다. 조하니 기자 inahohc@ekn.kr

2025-11-26 12:00 조하니 기자 inahohc@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