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12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이찬우

lcw@ekn.kr

이찬우기자 기사모음




전기차 캐즘 심화…車 버텼고 배터리는 울었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4.28 10:21

현대차·기아, 판매 대수 감소에도 ‘역대 최고 매출’

LG엔솔, 전기차 둔화 직격탄…‘사실상 적자’ 기록

현대차 아이오닉 5. 사진=이찬우 기자

▲현대차 아이오닉 5. 사진=이찬우 기자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가 장기화됨에 따라 자동차·배터리 업계가 전년 대비 주춤한 실적을 기록했다. 반면 두 업계의 감소폭은 큰 차이를 보였다.


현대차·기아는 전기차 저조로 인한 판매대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하이브리드차 등 고부가가치 차량으로 '역대 최고 매출'을 기록했지만, 대체 상품이 없는 LG에너지솔루션 등 배터리 업계는 '사실상 적자'를 기록하며 무너져 버렸다.


28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와 기아의 올해 1분기 합산 영업이익이 7조원에 달했다. 양사의 1분기 합산 매출은 66조8714억원, 영업이익은 6조9831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2분기에 이은 역대 두 번째 실적이다.


현대차·기아는 지난 1분기 아산 공장 생산 라인의 일시적인 셧다운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감소한 판매량을 보였다.


기업별로 현대차는 전년 1분기 대비 1.5% 감소한 100만6767대를 글로벌 시장에 팔았다, 이어 기아는 전년 동기 대비 1% 감소한 76만515대를 판매했다. 현대차·기아가 판매 대수 감소에도 불구하고 역대최고 매출을 기록할 수 있었던 이유는 고수익 차량 중심 판매 덕분이다.




1분기 판매 실적에 대해 기아 관계자는 “글로벌 산업 수요가 EV 수요 성장률 둔화로 제한적인 회복세를 보인 가운데, 당사 판매는 전기차 판매 약화와 내연 기관·하이브리드 차종들의 일시적 공급 부족으로 전년 대비 소폭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판매가 소폭 감소했음에도 고수익 차량 중심 판매로 인한 가격 상승과 믹스 개선, 원자재가 하락에 따른 재료비 감소와 원화 약세에 따른 긍정적 환율 효과로 수익성이 확대됐다"고 말했다.


이처럼 현대차·기아가 안도의 한숨을 내쉰데 반해 배터리 업계는 타격을 피하지 못했다. 전기차 분야에서 대중화 이전 정체 현상인 '캐즘'이 길어지면서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이 전기차 투자를 줄이고 있기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셀. 사진=이찬우 기자

▲LG에너지솔루션 원통형 배터리셀. 사진=이찬우 기자

지난 25일 LG에너지솔루션은 올해 1분기 매출 6조1287억원, 영업이익 1573억원을 달성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29.9%, 영업이익은 75.2% 감소했다. 미국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상 첨단 제조 생산 세액 공제(AMPC)로 1889억원을 지급받은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적자'인 것이다.


업계 관계자는 실적 하락의 원인으로 전기차 수요 둔화와 메탈 가격 하락을 꼽았다. 특히 배터리 원재료인 메탈의 가격이 구입 시점보다 떨어지면서 손실을 기록했다.


이창실 LG에너지솔루션 CFO 부사장은 “전략 고객 수요에 적극 대응하며 전기차용 원통형 배터리가 두 자릿수 매출 성장을 달성했으나 전방 시장 수요 둔화, 메탈 가격 하락분 판가 반영 등의 요인으로 전체 매출은 전분기 대비 23% 감소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손익 또한 시장 수요 위축에 따른 가동률 조정 등 고정비 부담 증가와 메탈가 하락으로 인한 원재료 투입 시 효과에 따라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고 부연했다.


이에 LG엔솔은 부진 탈피를 위해 원재료비 혁신을 강조했다. 리튬과 같은 주요 광물뿐 아니라 전구체 등 원재료의 직접 소싱 영역을 확대해 재료비를 절감하고 글로벌 공급망 직접 투자도 확대해 수익성을 개선할 방침이다.


업계 관계자는 “전기차 수요 둔화에도 자동차 기업들은 하이브리드차 등 대체 판매 상품이 있지만 배터리 업계는 전기차가 너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버티기 어렵다"며 “전기차 캐즘의 장기화가 전망되는 상황인데, 이를 재정비 시간으로 삼고 4년 뒤 미래를 준비해야 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