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LG디스플레이 파주사업장 전경.
연간 흑자 달성을 위해 힘을 쏟고 있는 LG디스플레이가 원재료 가격 동향에 미소를 짓고 있다.
편광판, 인쇄회로기판(PCB) 등 주요 품목 가격이 안정 국면에 접어들면서 실적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부가가치가 높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를 중심으로 한 체질 개선 작업도 순항하는 모습이다.
18일 LG디스플레이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패널 제작 등에 사용되는 주요 원재료 가격은 올해 들어 대부분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편광판 가격은 올해 상반기 가격이 전년 말 대비 약 5% 떨어졌다. PCB는 2%, 구동칩(Drive-IC)은 4%, 백라이트(Back-Light)는 3% 가량 각각 가격이 내려갔다.
상반기 매입액은 편광판 7370억원, PCB 4304억원, 백라이트 3609억원, 구동칩 3010억원 등이다. 전체 원재료 매입액(4조7109억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각각 15.6%, 9.1%, 6.4%다.
이들 원재료 매입액은 지난해에도 하향곡선을 그렸다. 이 회사 사업보고서를 보면 작년 하반기 기준 편광판 거래가는 전년 말 대비 5% 가량 싸졌다. PCB와 백라이트 가격도 4%씩 각각 내려갔다.
LG디스플레이 측은 “글로벌 경기는 무역 갈등과 지정학적 불확실성 속에서 둔화가 지속되고 있지만 부품 시장 수급 밸런스 개선 및 경쟁력 강화 활동을 통해 전년 대비 재료비 개선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LG디스플레이는 수년간 힘든 시기를 보내왔지만 최근 적자폭을 줄이며 '연간 흑자' 달성을 위해 달리고 있다. 이 회사 영업적자는 2022년 2조850억원, 2023년 2조5102억원에서 지난해 5606억원으로 줄었다. 올해 상반기 기준으로는 826억원의 영업손실을 냈다. 전년 동기 대비 4805억원 개선된 수치다.
OLED 중심의 사업구조 고도화 전략에 따른 액정표시장치(LCD) TV 사업 종료 등 효과가 본격적으로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다. LG디스플레이 전체 매출 내 OLED 제품 비중은 상반기 기준 56%까지 높아졌다.
김성현 LG디스플레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달 열린 실적발표 콘퍼런스콜에서 “상반기 기대보다 좋은 성과를 냈고 하반기에도 그 기조를 이어가고자 한다"며 “하반기에도 매출에 비례해서 실적 개선을 기대한다면 (연간 흑자전환이) 적절한 수준"이라고 언급했다.
시장에서는 아이폰과 아이패드용 OLED 패널 출하량이 늘면서 LG디스플레이 실적이 3분기부터 눈에 띄게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시장조사업체 유비리서치에 따르면 LG디스플레이의 3분기 아이폰용 패널 출하량은 1850만대로 전 분기 대비 약 70%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아이패드용 패널 출하량도 2분기 80만대에서 3분기 160만대로 2배 급등할 전망이다.
미국이 중국 BOE 제재를 결정한 것도 회사 입장에서 호재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는 최근 삼성디스플레이가 제기한 영업비밀 침해 소송 내용을 인정하며 BOE에 14년8개월간 미국 시장 퇴출 결정을 내렸다.
2분기 기준 아이폰용 패널 출하 비중은 삼성디스플레이 56%, BOE 22.7%, LG디스플레이가 21.3% 순이다. 애플 미국 내 생산량이 많지는 않지만 BOE 제품 신뢰도에 금이 간 만큼 공급처 자체를 바꿀 가능성이 점쳐진다.
LG디스플레이는 OLED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국내에 대규모 투자도 계획하고 있다. 오는 2027년 6월30일까지 신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설비 등 인프라 구축에 1조2600억원을 집행할 예정이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전세계 OLED 시장은 규모는 지난해 533억1057만달러(약 74조원) 수준으로 추산된다. 앞으로 연평균 5%씩 성장해 오는 2028년에는 686억7500만달러(약 95조원) 규모로 커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