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1월 01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윤병효

chyybh@ekn.kr

윤병효기자 기사모음




“동해안 CFE벨트 만들자”…전력망·지역불균형·탄소무역 동시 해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3.18 15:35

박종배 에너지위원회 위원 겸 건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제안
동해안 일대 대규모 신규 원전 및 풍력, 수소클러스터 건설 추진
전력 수도권 보내려면 망 구축 필요, 밀양송전탑 사태 재발 우려
첨단산업, 전력 다수요 산업 유치…국가적 검토, CFE 국제확산 필요

박종배 건국대 교수

▲박종배 건국대 교수가 지난 15일 대한상의에서 열린 무탄소에너지(CFE) 세미나에서 동해안 CFE 밸트 조성에 대한 발표를 하고 있다. 사진=대한상의 유튜브 캡처

탄소중립과 탄소무역장벽에 대응해 동해안 일대에 무탄소 에너지인 원전과 해상풍력 등이 건설될 예정이다. 하지만 계획한 발전설비가 모두 건설된다 해도 이를 전력 수요처인 대도시로 보내려면 전력망 보강이 필요한데 밀양송전탑 사태처럼 대규모 주민반발이 일어날 수 있어 결코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 때문에 동해안 일대를 CFE 벨트를 조성해 첨단산업과 전력 다수요 기업을 유치하고 지역발전까지 도모하자는 주장이 제기돼 눈길을 끌고 있다.


박종배 건국대 전기전자공학부 교수는 지난 15일 대한상의에서 열린 무탄소에너지(CFE) 세미나에서 '전력부문 무탄소화 전략' 발표를 통해 “원전, 재생에너지의 발전 부지 갈등보다 더 심각한 게 송전망 갈등"이라며 “송전망 문제를 해결 못하면 아무리 많은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건설해도 소비자들은 쓸 수 없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박 교수는 동해안 일대에 대규모 무탄소 에너지원이 건설될 계획인 점을 이용해 동해안을 CFE 벨트로 조성하고 여기로 첨단산업, 전력 다수요산업, 탄소무역 대응산업을 유치하자고 주장했다.


현재 구미와 포항은 각각 반도체 핵심 소재, 이차전지 소재 첨단산업 특화단지로 지정됐으며, 포항은 철강산업 단지가 구축돼 있다. 또한 춘천·강릉·동해는 IDC/첨단산업 클러스터로 지정됐다.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반영된 신규 원전인 신한울 1~4호기(총 5.6GW)는 경북 울진에 건설되고, 신고리 5~6호기(총 2.8GW)는 울산 울주에 건설될 예정이다. 울산 앞바다에서는 총 6.4GW의 해상풍력 사업이 추진 중이다. 또한 울산 앞바다의 한국석유공사 동해가스전 플랫폼에서는 탄소포집저장(CCS) 사업이 추진 중이다. 강원도 삼척에는 한국가스공사의 LNG기지를 활용한 수소 저장‧운송 클러스터 구축사업이 작년 12월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최종 통과해 착수될 예정이다. 여기에 곧 발표될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신규 원전 부지로 동해안 지역이 선정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박종배 교수

▲박종배 교수의 '전력부문 무탄소화 전략' 발표에서 지역 CFE 활용 방안에 관한 내용.

이처럼 동해안 일대에는 상당한 규모의 무탄소 에너지원들이 구축될 예정인데, 문제는 현재 계획대로라면 여기에서 생산한 에너지 대부분을 수도권 등 대도시로 보내야 한다는 점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자료에 따르면 전국 5대 권역 중 전력의 발전량보다 소비량이 많은 곳은 수도권이 유일하다. 2022년 기준 수도권 발전량은 144.4TWh로 전체의 24.3%를 차지한 반면 소비량은 214.8TWh로 39.2%를 차지했다. 강원권,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은 모두 발전량이 소비량보다 많았다.


특히 새로운 '전기 먹는 하마'로 불리는 데이터센터(IDC)의 경우는 더욱 심각하다. 현재 전국에 설치된 IDC 설치 수는 148건(전력공급용량 1931MW)이며, 이 가운데 수도권 설치 수는 89건(1393MW)이다. 또한 신규 IDC의 전기사용 신청 수는 136건(8531MW)이며 이 가운데 수도권은 85건(4995MW)이다.


박 교수에 따르면 현재 계획된 발전설비에 따른 송전망과 배전망 구축에 드는 비용은 각각 56조원과 40조원이다. 한전 총부채가 200조원임을 감안하면 재원 마련은 결코 쉽지 않다. 설사 재원을 마련한다 해도 송전망 구축을 위해서는 송전탑 설치지역의 주민 동의가 필요한데 이는 더욱 힘든 상황이다. 2013년 주민 자살까지 벌어진 밀양송전탑 사건이 재발할 수 있다고 박 교수는 우려했다.


박 교수는 “동해안 CFE 벨트를 조성해 수요 산업을 유치하면 우선 전력망 구축 비용 및 갈등을 줄일 수 있고, 탄소무역장벽에도 대응할 수 있으며, 지역 불균형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고 말했다.


동해안 CFE 벨트 조성은 단순히 박 교수만의 생각은 아니다. 박 교수는 국가 주요 에너지정책 및 에너지 관련 계획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에너지위원회의 위원이기도 하다. 박 교수는 “동해안 CFE 벨트 조성은 현재 산업부 차원에서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며 “다만 규모가 워낙 크기 때문에 국가적 차원에서 다뤄야 하는 사안이긴 하다"고 말했다. 또한 지난 2021년 이철우 경북도지사도 비슷한 '동해안 그린경제(Green Economy) 대전환' 비전을 제시한 바 있다.


박 교수는 CFE의 국제적 동의에 대해서는 “우리가 CFE로 갈 수밖에 없는 상황에 대해 해외에 최소 익스큐즈(양해)는 구한 상황이기 때문에 우리가 좀 더 적극적으로 설명하면 인정될 것 같다고 본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