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금융지주 저축은행 성적 ‘건전성’이 갈랐다…“하반기도 어려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03 19:12

우리저축은행, 상반기 순익 112억원
부실 정리·체질개선 노력이 견인

KB·하나저축銀 부실이슈에 하락
영업·건전성 타격…하반기 더 어려워

저축은행.

▲우리금융저축은행은 올해 상반기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중 유일하게 실적이 성장했다.

올해 상반기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중에서 우리금융저축은행만이 유일하게 쾌재를 불렀다. 저축은행들이 부동산 경기와 대손충당금 증가로 고전하는 와중 건전성 중심 경영에 성공한 결과다. 단, 우리저축은행을 포함해 업계가 치명적인 영업위축 환경에 놓여있는 가운데 하반기에도 안정성 유지라는 핵심 과제에 집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우리금융저축은행은 올해 상반기 순이익으로 11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280억원 순손실을 기록했지만 1년 만에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우리금융저축은행은 4대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중 유일하게 실적이 성장했다. 지난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성 평가 기준에 따라 충당금을 쌓은 영향에 손실을 기록하며 손실폭을 키웠다가 단번에 100억원대 순익을 나타냈다.


우리금융저축은행은 올해 부실채권 정리에 나서는 한편 자산 리밸런싱과 건전성 중심 경영에 나선 결과 빠른 흑자전환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대규모 손실을 메꾸기 위해 우량기업 선별 취급 등 체질 개선 노력이 효과를 보이며 실적으로 연결됐다.


신한저축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2.4% 하락해 상반기 122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부실자산 확대 우려에도 중금리 보증대출 등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나서면서 비교적 안정적인 수익을 유지한 결과다.




KB저축은행은 전년 동기 대비 71.8% 큰 폭 하락한 9억원의 순이익을 기록했다. 1분기 흑자를 나타냈지만 2분기에 적자폭이 커지면서 하반기 적자전환 위기에 처했다. 2분기 실적 하락에는 부동산 경기 악화와 대손충당금 증가 영향이 컸다. KB저축은행은 부실채권에 대비해 187억원의 대손충당금을 추가 적립했다.


하나저축은행은 네 저축은행 중 가장 큰 폭의 적자를 기록 중이다. 상반기 231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해 전년(54억원 손실) 대비 적자폭이 확대됐다. 올해 2분기까지 5개 분기 연속 적자로 수익성 회복이 급선무인 상황이다. 하나저축은행의 이번 적자폭 확대 역시 부동산 PF 리스크와 연체율 상승 영향이 컸다.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은 그룹 차원의 자본력과 포트폴리오 다양화, 리스크 관리 역량 등에서 일반 저축은행보다 수월한 부분이 있지만 최근 지속된 부동산시장 부진과 고위험대출 비중 확대 등이 지속되면서 건전성 관리가 각 사의 명운을 가른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신한저축은행과 우리금융저축은행은 빠른 부실자산 정리에 나서는 한편 자산 다변화를 통해 수익성을 끌어내며 실적 개선세에 힘을 실었다.


문제는 하반기 업황 전망 역시 밝지 않다는 점이다. 상반기 비교적 선방한 우리금융저축은행과 신한저축은행도 6·27 가계대출 관리 강화 방안이 하반기에 본격 반영되면서 순이익 하락이 예고되고 있다. 7월부터 대출 문턱이 높아지면서 신규 여신도 크게 하락 중이다.


이런 가운데 연체율 상승도 방어해야 한다. 1분기 저축은행 연체율은 9.0%로 2015년 이후 최고치로 치솟았다. 경기 침체가 이어지며 중·저신용자의 상환 능력이 저하된 영향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부동산 경기가 여전한 상황에서 6.27 대책 등 영업에 치명타를 입고 있어 하반기 수익성을 장담하기 어렵다"며 “수익을 낼 수 있는 곳에 집중하는 한편 전반적인 방향성은 내실경영에 초점이 모일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