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5월 03일(금)
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K-RE100 길을 찾다①] "K-RE100, 맞춤형 제도로 발전시킬 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0.04 09:24

박성우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정책실장 인터뷰

‘RE100(재생에너지 100)’이 산업계 화두로 떠올랐다.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겠다는 자발적 글로벌 캠페인이다. 2014년 영국 런던의 다국적 비영리기구 ‘더 클라이밋 그룹’에서 시작됐다. 10월 현재 가입 기업 수는 381개다. RE100은 새로운 형태의 무역장벽 탄생을 알리는 예고편이다. 애플 등 해당 캠페인에 가입한 다국적 기업들은 벌써 협력사에 재생에너지 사용 실적을 요구하고 나섰다. 제조업 기반의 수출 주도형 산업구조를 지닌 한국은 상황을 예의주시할 수밖에 없다.

국내 기업들과 정부는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삼성전자, SK그룹, 현대차그룹 등은 이미 RE100 가입을 선언한 상태다. 정부는 보다 많은 기업들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우리나라 현실에 맞춘 ‘K-RE100’ 제도를 선보였다.

에너지경제신문은 K-RE100을 시장에 성공적으로 안착시키고 우리 기업·국민들의 이해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RE100 길을 찾다’ 기획 기사를 연재한다. 녹색프리미엄 제도 개선 등 K-RE100 제도를 정착시키기 위한 방향성을 제시하고 나아가 신재생에너지를 포함한 전력 시장의 체질을 개선하는 방법을 조명하는 게 목적이다. 독일, 영국, 호주 등 재생에너지 선진국을 찾아 현장의 생생한 사례를 소개하고 국내외 전문가들의 목소리를 모았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1. ‘한국형 K-RE100’ 국민 이해도 증진과 발전방안

2. ‘K-RE100’과 녹색프리미엄 개선방안

3. ‘K-RE100’과 녹색요금제 사회적 가치 창출방안

4. 선진 독일 녹색요금제 현장을 찾아 (독일)

5. 선진 독일 녹색요금제 현장을 찾아 (영국)

6. 선진 독일 녹색요금제 현장을 찾아 (호주)



3E1A9227

▲박성우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정책실장이 K-RE100 제도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울산=에너지경제신문 여헌우 기자] 박성우 한국에너지공단 신재생에너지정책실장은 ‘K-RE100’을 우리나라 맞춤형 제도로 발전시킬 자신이 있다고 강조했다. 한국에너지공단 K-RE100 제도를 직접 운영하고 있는 단체다.

박 실장은 우선 K-RE100이 그간 성공적으로 자리잡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작년에 K-RE100을 본격 도입한 이후, 아직 제도 도입 초기이지만 많은 기업들이 관심을 갖고 참여하고 있다"며 "글로벌 RE100에 참여하는 국내기업 역시 늘어 세계에서 4번째로 참여도가 높은 국가"라고 설명했다.

박 실장은 "K-RE100 누적 참여 기업수는 작년 74개에서 올해 7월까지 121개로 늘었다. 10월 기준으로는 195개로 성장세가 가파르다"며 "이로 인한 재생에너지 사용량도 작년 1.44TWh에서 3.2배 증가한 4.7TWh가 됐다"고 말했다.

녹색프리미엄 외에 다양한 이행수단이 사용되고 있다는 점도 짚었다. 박 실장은 "제3자PPA를 도입한 곳이 현대엘리베이터-현대글로벌, 아모레퍼시픽-에코네트워크 등이고 직접PPA 역시 아모레퍼시픽-SKE&S, SK스페셜티-SKE&S 등이 사용 중"이라며 "LG화학과 남동발전은 20년간 장기구매계약을 체결하는등 (이행수단이) 다양화되는 추세"라고 했다.

박 실장은 K-RE100 제도 운영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현재 우리나라의 재생에너지 단가가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높다는 점을 꼽았다. 그는 "이는 재생에너지 보급이 늘어나고, 관련 산업의 공급망이 갖춰지면 해결될 문제"라면서도 "당장 해외기업들로부터 재생 전기 사용 압력을 받는 우리 기업들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밝혔다.

새로운 네이밍 발굴을 위한 공모전을 추진한 배경도 설명했다. 박 실장은 "K-RE100과 글로벌 RE100이 명칭이 비슷하다보니, 두 제도가 잘 구분되지 않고 언론 등에서 혼동돼 사용되는 사례가 종종 있다"며 "이 때문에 공단은 K-RE100의 새로운 네이밍 발굴을 위한 공모전을 추진했고, 앞으로 새로운 제도 명칭 도입을 검토 중"이라고 했다.

산업계에서 K-RE100 제도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도 언급했다. 박 실장은 "산업계의 K-RE100 제도 인식을 제고하기 위해 현재 중소, 중견기업 대상으로 K-RE100 컨설팅을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기업들의 접근성을 높인 K-RE100 컨설팅 데스크도 설치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K-RE100 제도 안내, RE100 이행 포트폴리오 수립 등 컨설팅지원, 재생에너지 구매-판매기업 매칭, 기업 간 정보 공유 협의체 운영 등을 추진할 것"이라고 전했다.

현재 K-RE100 이행수단으로 지분투자를 통한 인증서 발급을 받는 사례가 거의 없다는 질문에 박 실장은 "기업의 경우 발전 사업에 투자하기 위해서는 주주 동의 등의 내부적인 절차 등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당초 발전 사업을 영위하지 않는 기업의 경우에는 발전사업에 단기간에 투자 결정을 내리고 실행까지 이어지기는 어렵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제도가 시작 된지 아직 1여년 정도이고, 지분투자를 위해서 대부분 경험이 부족한 기업의 경우 상당 기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다. 지분투자의 경우 일정지분을 투자하고 해당 발전소에서 생산된 재생에너지전력 또는 인증서(REC)를 지분율 등에 따라 보다 유연하고, 저렴한 가격에 조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며 "앞으로 공급확대, 시장 활성화 등이 뒷받침 되는 경우 지속적으로 지분투자 등 발전 사업에 보다 적극적으로 투자하는 기업이 많아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행방안 중 REC 구매와 제삼자PPA 등을 장려하는게 장기적으로 맞지 않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입을 열었다. 박 실장은 "기업들은 장기적 RE100 이행을 위해서는 포트폴리오 다양화가 필요하며 이런 차원에서 PPA 도입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며 "아직 PPA제도가 시행 된지 1여년 정도로, 효율적인 시장운영을 위해 제도적인 보완점들은 기업들로부터 지속적인 의견수렴을 통해 개선해나갈 예정이다. 특히 PPA와 REC구매 모두 발전공급사, 수요기업 모두 상대방에 대한 정보 등이 부족하기 때문에 계약추진 등에 어려움이 있는데 향후 발전사-기업 간 매칭 지원을 통해 용이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거래시장을 개선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 실장은 이와 별도로 K-RE100의 핵심인 재생에너지 발전원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에 대한 해명도 내놨다. 그는 "현재까지 글로벌 RE100에 가입중인 국내 총 21개 기업의 전체 전력사용량(약 25TWh)은 금년도 재생에너지 발전 예상량(약 44TWh)의 57% 수준이며, RE100은 2050년까지 100% 사용을 목표로 하는 캠페인이므로 현시점에서 부족한 상황은 아니다"며 "구체적인 중장기 재생에너지 목표는 금년 말 수립예정인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 시 구체화할 계획이지만, 2019년 이후 매년 약 5GW수준의 재생에너지 신규설비가 설치되는 등 향후 재생에너지원 보급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했다.

박 실장은 "국내 재생에너지 시장은 그간 RPS제도를 중심으로 운영돼 왔다. 작년부터 RE100을 위한 자발적인 재생에너지 거래시장이 도입됐고, 이에 맞추어 RE100에 적합한 재생에너지 공급 정책이 필요하다"며 "앞으로 기업들의 다양한 제도 개선 요구를 반영해 직접PPA 제도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RE100은 자발적인 캠페인이나 전세계적 ESG 경영 확대, 글로벌 기업 및 고객사의 재생에너지 사용 요구 등으로 기업 입장에서는 피할 수 없는 과제로 인식되고 있다"며 "기업의 RE100 이행을 위해 재생에너지 보급을 지속 확대하고, 민간기업의 재생에너지 투자를 통한 RE100 활성화를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yes@ekn.kr
KakaoTalk_20220930_104729253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