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hsjung@ekn.kr

정희순기자 기사모음




KT SAT, 인도네시아 대규모 국가 사업 수주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4.08 10:18
[사진자료1]인도네시아 정부 사업 수주

▲KT SAT의 현지 파트너사인 DTP는 USO사업 등을 통해 인도네시아 전역에 위성통신망을 구축하고 있다.

[에너지경제신문 정희순 기자] KT SAT이 인도네시아의 초고속 위성 통신망 구축에 나선다.

8일 KT SAT은 현지 위성 인터넷 사업자인 DTP(PT.DWI TUNGGAL PUTRA)사와 협력해 인도네시아 정부 주도의 보편적 통신서비스(USO) 사업을 수주했다고 밝혔다. 보편적 통신서비스는 국민 전체가 통신 서비스에 공평하게 접근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 곳곳에 전화·인터넷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사업이다.

인도네시아는 국토 면적이 넓고 섬이 많아 지상 케이블 연결이 어렵기 때문에 디지털 전환의 해법으로 우주 기반의 위성통신에 크게 주목하고 있다.

KT SAT은 동남아시아 지역에서의 오랜 사업경험과 남다른 기술력으로 인도네시아 국가 사업 수주에 성공했다. KT SAT은 일찍이 동남아시아 지역에 진출해 수년 전부터 인도네시아 정부 및 통신 사업자들과 도서 지역 통신 보급에 앞장서 왔다.

특히 인도네시아 정부는 무궁화위성 7호의 우수한 성능에 주목해 KT SAT을 선택한 것으로 알려졌다. 무궁화위성 7호는 저궤도(LEO)위성에서 주로 사용하는 Ka빔을 탑재해 인도네시아가 차세대 위성통신을 선제적으로 도입하는 기반을 제공할 수 있다.

KT SAT은 이번 사업을 통해 인도네시아 파푸아 지역 전체에 공공 인프라 디지털화를 위한 근간을 제공할 계획이다. 파푸아 지역 내 최대 1300여개의 공공시설에 인공위성 기반 통신망을 공급해 해당 지역에 거주하는 약 340만명의 주민들은 행정·교육·의료 등 양질의 공공 서비스를 누릴 수 있게 된다.

마이클 알리펜(Michael Alifen) DTP CEO(최고경영자)는 "KT SAT과 DTP는 뛰어난 성능의 무궁화위성을 통해 2018년부터 인도네시아 위성통신망 구축에 앞장서왔다"며 "향후 양사 간 긴밀한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동남아시아 전역의 정보 격차를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송경민 KT SAT 대표는 "무궁화위성이 인도네시아 지역에 시장을 주도할 Ka밴드 위성통신 기술을 전파하는데 큰 역할을 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도 KT SAT은 장기간의 글로벌 위성서비스 경험과 선진 기술을 바탕으로 인도네시아뿐만 아니라 전세계 위성통신 인프라 구축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KT SAT은 인도네시아 외에도 말레이시아, 필리핀, 몽골 등 10개국 이상의 국가에서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 및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향후 KT SAT은 차기 위성에도 혁신적인 신기술을 도입하여 최근 불붙은 민간주도 우주 산업의 흐름을 주도해 나가는데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