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5년 3분기 품목별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
▲자료=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트럼프발(發) 관세로 촉발된 글로벌 통상정책 불확실성이 올해 3분기 우리 수출기업들의 체감경기가 더 위축시킬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지난달 30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발표한 '2025년 3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조사(EBSI)'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EBSI는 96.3으로 집계됐다. 올 들어 1~3분기 연속 기준(100)을 밑도는 수치로 우리 수출 경기가 부진 양상을 하반기에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이다.
EBSI는 다음 분기 수출 경기에 대한 국내 수출기업들의 전망을 조사 및 분석한 지표다. 100을 기준으로 전 분기보다 개선될 것으로 예상되면 100보다 큰 값을 가진다. 악화될 것으로 보이면 그 반대다.
수출 품목별로는 주요 15개 가운데 10개가 직전 분기보다 수출 여건이 악화될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가전(52.7)은 3분기 연속 EBSI 50대에 머물며 수출 악화의 늪에서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측됐다.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은 미국이 지난 23일 품목별 관세 대상인 철강 파생상품에 가전을 추가하면서 가전제품에 포함된 철강에도 함량관세율 50%를 적용한 영향으로 풀이했다. 여기에 가전 주요 수출시장인 북미와 유럽연합(EU)의 경기 둔화도 복합작용했다는 설명이다.
기존 관세 대상이었던 자동차·자동차부품(56.0)도 관세영향이 본격화되며 수출 여건이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에 반도체(147.1)는 분위기가 좋다. 고성능 인공지능(AI) 반도체 수요 지속 및 3분기 D램 가격상승이 전망됐기 때문이다. 이밖에 액화천연가스(LNG)선 등 고부가 선박 수출 확대와 수출단가 상승에 힘입은 선박(135.5)은 호조세를 지속할 것으로 연구원은 내다봤다.
항목별로는 △수입규제·통상마찰(67.1) △국제물류(86.8) △수출대상국 경기(87.3) 등 10개 항목 중 8개 항목이 100보다 작은 값을 기록했다.
수입규제 및 통상마찰은 관세협상 진전의 기대감으로 2분기 대비 소폭 상승(45.4→67.1)했으나, 여전히 불확실성이 지속되며 가장 낮은 수준에 머물렀다.
양지원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트럼프 2기 출범 이후 글로벌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주요국 경기둔화까지 맞물리며 우리 수출기업의 체감경기가 얼어붙고 있다"고 진단했다.
양 수석연구원은 “가전·자동차 등 관세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품목뿐 아니라 반도체 등 전략품목에서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는 만큼 선제적 대응과 시장 다변화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