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케리 람 홍콩 행정장관.(사진=AP/연합) |
[에너지경제신문 유예닮 기자] 홍콩 캐리 람(林鄭月娥) 행정장관이 올해 예정된 홍콩 의회인 입법회 선거와 홍콩 행정장관 선거인단 선거가 연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8일 홍콩 공영방송 RTHK에 따르면 람 장관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금 시점에서는 선거를 추가 연기할 필요성이 있는지 말하기 어렵다"면서도 "우리 앞에는 (선거제 개편을 위한) 엄청난 과제가 놓여있다"라고 말하며 선거 연기를 시사했다.
람 장관은 선거제 개편에 대해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와 전인대 상무위원회를 포함해 여러 단계가 놓여있다며 "입법을 포함해 모든 과정을 마무리해야 하는 시급성 때문에 광범위한 여론 수렴은 진행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의 이번 발언은 중국 베이징에서 진행 중인 양회(兩會·전국인민대표대회와 중국인민정치협상회의) 참석 이후 이뤄졌다.
그는 또 연말로 예정된 홍콩 행정장관 선거인단 선거에 대해 "선거인단 선거가 5년 단위로 12월에 열렸지만, 이번에는 바뀔 수 있다"고 말했다.
홍콩은 지난해 9월 6일 입법회 선거를 치를 예정이었으나 한 달 앞두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이유로 1년 연기를 발표한 바 있다.
지난해는 범민주진영이 2019년 11월 구의회 의원 선거에서의 압승 여세를 몰아 입법회 과반 이상 차지를 목표로 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국이 홍콩 선거제 개편에 착수하면서 홍콩 매체들은 올해 입법회 선거가 또다시 연기될 상황에 놓인 것이다.
현재 진행 중인 선거제 개편안이 실행되면, 홍콩 입법회 의원 수가 70명에서 90명으로 늘어나고, 행정장관 선거인단이 입법회 의원 입후보자 전원을 선정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람 장관은 선거제 개편안에 대해 "누군가에 유리하게 선거제가 개편되는 것이 아니다"라면서 "애국자가 통치하는 홍콩을 실현하기 위해 선거제의 허점과 결함을 손보는 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은 현재 애국자가 홍콩을 다스려야 한다"(愛國者治港·애국자치항)고 말하고 있다. 지난 2월 에릭 창(曾國衛) 홍콩 정치체제·내륙사무장관은 개정안에 대해 설명하면서 "중국의 기본 정치체제는 사회주의 체제"라며 "공산당이 다스리는 체제를 존중하지 않으면서 국가를 사랑한다고 말할 수 없다"고 말한 바 있다.
한편 람 장관은 연임에 도전할 것이냐는 질문에는 답을 회피했다.
중국은 홍콩 선거제 개편을 밀어붙이면서 지난해 홍콩 국가보안법(홍콩보안법) 제정 때와 같은 방법으로 홍콩 입법회를 우회해 전인대를 통해 직접 입법에 나섰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이 과정에서 중국이 홍콩 내 친중 세력의 의견도 수렴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홍콩의 대표적인 친중세력인 렁춘잉(梁振英) 전 행정장관, 레지나 입 의원 등은 FT와의 인터뷰에서 이번 선거제 개편과 관련해 중국 정부가 의견을 물어오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FT는 2019 반정부 시위 이후 중국 정부가 홍콩 내 친중 세력에도 불만을 품기 시작했으며, 이번 선거제 개편에서 홍콩 내 중국 관리들의 의견만을 듣고 있다고 밝혔다.
또한 전날 홍콩 빈과일보는 "홍콩의 재계와 특정 친정부 인사들이 중국의 신뢰를 잃었으며 이번 홍콩 선거제 개편에 이런 현황이 반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선거법 개정으로 홍콩 내 범민주세력은 입지가 더 좁아지게 됐다.
홍콩 민주당 대표이자 구의회 의원인 로킨헤이 주석은 RTHK와의 인터뷰에서 "선거제 개편으로 나는 앞으로 출마를 못 하게 될 것 같다"라며 "범민주진영이 선거에 참여할 여지가 매우 적어졌다"라고 말했다.
또한 "출마자의 자격을 심사할 더 많은 체계가 갖춰진다"라면서 "당국은 범민주진영을 몰아내려고 한다"라고 지적했다.
yyd0426@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