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오세영

claudia@ekn.kr

오세영기자 기사모음




[부산 탄소중립 어떻게?]① "수소전용항만 유치…친환경 선박 허브 발돋움할 것"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1.02.11 22:12

부산형 뉴딜 24조 투자해 '디지털+친환경화' 달성

ggg

▲부산항 신선대부두와 감만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여 있다. 연합뉴스

기후위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첫 번째 과제는 지구온난화 속도를 늦추는 일이다. 이를 위해서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는 게 급선무다. 우리나라 탄소 배출량 증가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가운데 첫 번째이며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은 끝에서 두 번째다. ‘온실가스 주범국’을 벗어나기 위해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들이 구석구석에서 발 맞추고 있다. 이에 에너지경제신문은 설 연휴를 맞아 ‘우리 고장’에서는 탄소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알아본다. [편집자주]

[에너지경제신문 오세영 기자] 부산시는 ‘동북아 해양수도’로 도약하기 위해 해양 탄소중립 등에 집중하는 모습이다. 가덕신공항과 월드엑스포 등 역점 사업을 추진하는 가운데 수소전용항만 유치와 해양 친환경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부산시는 11일 올해를 새로운 10년을 준비하는 대전환의 원년으로 삼고 총 24조원 규모의 부산형 뉴딜사업을 본격적으로 확산해 지역산업 전반에 디지털 및 친환경화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부산시는 지난해 정부가 추진하는 수소전용항만 유치를 위해 국내 최대 항만인 부산항을 내세워 수소 공급 거래 시장을 만든다는 구상을 내놨다. 부산항만공사와 한국선급도 수소 기반 에너지 자립 항만 구축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양 탄소중립에 대해서도 관심도 많다. 부산은 우리나라 광역시 가운데 인천과 울산, 서울 다음 네 번째로 탄소 배출이 많다. 전 세계 주요 항만도시와 비교해도 부산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많은 편에 속한다.

때문에 해양 탄소중립을 위한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중이다. 이달 초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는 다부처공동기획사업에는 부산대 수소선박기술센터의 ‘해양 부유쓰레기 수거·처리용 친환경(LNG-수소 하이브리드) 선박 개발 및 실증사업’ 기획 연구가 선정되기도 했다.

업계에서는 이번 해양쓰레기 처리 선박 사업에 대해 수소산업 생태계 조성과 친환경 선박 허브로 발돋움하기 위한 기폭제가 된다고 보고 있다.

수소경제 활성화에도 나선다. 내년까지 수소차 충전소 17곳을 추가로 설치하고 수소차 총 4500대와 버스 총 100대를 보급할 예정이다. 오는 2040년까지는 가정용 수소연료전지 보급과 암모니아 기반 수소저장기술 개발, 고효율 수전해 기술 개발 등에 1조원 정도 투입한다.

부산시는 ‘2050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해 △친환경 생태도시 조성 △취수원 다변화 등 맑은 물 확보 △이용자 중심의 대중교통 활성화와 인프라 확충 △시민 주도형 도시재생 사업 △서부산권 개발을 통한 동·서 균형발전 추진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534만4000t으로 감축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 2017년 배출량인 1488만t의 35.9% 수준이다. 구체적으로는 가정·상업과 공공, 수송 등 비산업 부문의 온실가스 배출을 줄인다.

생활 속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고자 ‘온실가스 1인 1톤 줄이기’ 캠페인도 마련했다.

‘온실가스 1인 1톤 줄이기’는 △2월 음식물 다이어트 △3월 대기전력 △4월 재활용품 분리배출 △5월 친환경 운전습관 △6월 텀블러 사용 △7월 물도둑 잡아라 △8월 고효율 제품 △9월 에코백 △10월 종이타월 대신 손수건 △11월 대중교통 이용 △12월 컴퓨터 절전 등의 내용으로 구성됐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