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치권과 재계에 정년 연장 문제가 이슈로 떠오르는 가운데 청년층과 중장년층이 현재 일부 기업에서 시행하고 있는 '고령자 계속고용'에 확연한 세대간 인식차를 드러냈다.
새로운 일자리를 원하는 청년층은 정년 연장보다는 '기업 자율로 고령자 계속고용'을 선호한 반면, 중장년층은 기업 차원이 아닌 국가적·법적으로 정년 연장 보장을 원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는 미취업 청년과 중장년 재직자 각각 500명을 대상으로 '정년연장 및 근로 가치관에 대한 세대별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은 설문결과가 도출됐다고 23일 밝혔다.
이번 경총 조사 결과에 따르면, 법정 정년(60세) 이후 고령자 계속고용을 위한 가장 적절한 방식을 묻는 항목에서 미취업 청년층은 '기업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결정해야 한다'는 응답이 36.8%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중장년 재직자들은 '정년 연장'이라는 응답이 46.8%로 가장 높았다.
미취업 청년의 경우, 일률적이고 의무적인 고령자 계속고용 방식은 기업에 부담을 가중시켜 신규 채용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됐다.
실제로 법정 정년이 65세로 연장될 경우 청년층 신규채용에 미칠 영향에 대해 미취업 청년들은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61.2%로 가장 많았지만, 반대로 중장년 재직자는 '영향 없음' 응답이 50.6%로 최다를 기록했다.
조직 내 고령자 비율이 높아져 업무·작업 효율이 감소할 우려가 있다는 의견에 대해 청년층 59.0%가 '동의한다'로 공감했지만, 중장년 재직자는 '동의하지 않는다'(62.6%)며 상반된 반응을 보였다.
한편, 연공급 임금체계(호봉제) 개편 필요성에는 세대간 구분 없이 전체 응답자의 77.0%(미취업청년 82.2%, 중장년재직자 71.8%)가 '개편이 필요하다'고 공감했다.
임영태 경총 고용·사회정책본부장은 “정년 이후 고령자 계속고용은 일할 기회의 배분, 임금체계의 공정성 같은 청년과 중장년 간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히고설켜 있어 이를 합리적으로 조율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라고 지적했다.
임 본부장은 “지금처럼 대내외 불확실성 확대로 기업들의 일자리 창출력이 크게 위축된 상황에서 법정 정년연장 같은 일률적 방식은 노동시장에 진입조차 하지 못한 청년들에게 더 큰 좌절감을 줄 수 있어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고령자의 노후 안정을 위해 청년의 기회를 희생시키는 제도가 되지 않도록 '퇴직 후 재고용' 같이 세대가 함께할 수 있는 일자리 정책이 적극 검토돼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