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울산시 수소차. 연합뉴스 |
11일 울산시에 따르면 시는 이달부터 수소전기차 구매 보조금 지급을 시작했다. 우선 1차로 200대를 보급하고 연말까지 총 500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울산시에서는 지난 2013년부터 세계 최초로 수소연료 전기차를 양산하고 있다. 지난해까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총 1868대가 운행되고 있다.
시는 오는 2030년까지 울산에 수소차 6만7000대를 보급할 방침이다. 민간 부분의 수소 모빌리티 보급 활성화를 위해 수소택시와 수소버스 등의 실증 및 보급사업을 추진하고 공공부문 카셰어링 사업을 시행한다.
최근 송철호 울산시장은 탄소중립 도시 비전을 내세웠다. 탄소중립 도시비전은 △울산형 에너지 대전환 △혁신적인 저탄소 신산업 생태계 조성 △탈탄소 체계로의 도시운영 전환 △자연 탄소흡수원(생태백신) 확대 △시민·기업의 탄소중립 민관협력체계 구축 등 5가지다.
울산형 에너지 대전환은 수소산업을 육성하고 부유식 해상풍력단지를 조성해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체계를 친환경 저탄소 에너지 체계로 바꾸는 게 골자다.
울산시는 제6차 지역에너지계획이 마무리되는 2025년까지 태양광발전과 부유식 해상풍력발전 등으로 3430GWh 규모의 재생에너지를 생산할 계획이다. 이는 지난 2017년 발전량인 2만2677GWh 보다 15.1% 증가한 수준이다.
이를 위해 유휴지에 태양광 발전소를 늘리고 옥상과 주차장 등을 활용해 주택 태양광 발전 보급을 늘릴 계획이다.
더불어 시는 경제자유구역 활성화와 이산화탄소 자원화 규제자유특구·강소연구개발특구 조성 등으로 혁신적인 저탄소 미래 새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 지역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사용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하게 이끌고 탄소중립 전문가를 양성할 계획이다.
건물 온실가스 총량제를 도입하고 자원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는 등 시민의 삶과 도시 운영체계 전반을 탈탄소 체계로 바꿔나간다.
또 태화강 국가정원을 중심으로 ‘도시 바람길 숲’과 미세먼지 저감숲 등을 조성하고 도심 곳곳에 생태녹지를 확충한다.
시민·기업의 탄소중립 민관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탄소중립위원회와 실무추진단을 운영해 탄소중립 이행체계를 단계별로 점검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