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이태민

etm@ekn.kr

이태민기자 기사모음




LG CNS, 2분기 호실적 거둬…AI·클라우드 쌍끌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23 18:04

영업익 1408억원…전년比 2.3%↑
AI·클라우드 매출이 전체 60% 차지
하반기 에이전틱·피지컬 AI 앞세워
사업 영역 확장…로봇 사업도 추진

ㅁㅁ

▲서울 강서구 마곡동 LG 사이언스파크 내에 위치한 LG CNS 사옥 전경.

LG CNS가 인공지능(AI)·클라우드 사업 성장세에 힘입어 호실적을 거뒀다. 하반기 에이전틱 AI·피지컬 AI 등 기술을 앞세워 사업 영역 확장을 꾀하는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 사업도 본격 추진할 예정이다.


LG CNS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매출 1조4602억원·영업익 1408억원을 기록했다고 23일 공시했다. 전년 동기보다 각각 0.7%·2.3% 상승한 수치다.


매출의 경우 금융정보업체 에프엔가이드가 제시한 시장전망치(1조5460억원)를 밑돌았지만, 영업익과 당기순이익(1309억원·957억원)은 증권가 컨센서스를 상회했다.


AI·클라우드 사업이 전체 실적을 견인한 가운데 비용 효율화 영향이 주효했다는 분석이다. AI·클라우드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2% 성장한 8724억원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체 매출의 60%에 달한다.


AI 분야에서는 금융·공공부문 차세대 시스템 구축 사업을 잇따라 수주하면서 매출을 올렸다. 특히 올해 공공기관이 발주한 AI 사업 중 가장 큰 규모의 경기도교육청 AI 플랫폼 사업과 외교부 AI 플랫폼 사업을 수주한 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클라우드 분야에선 AI 데이터센터(DC) 사업 성과가 나타나면서 매출이 가시화됐다는 분석이다. 최근 인도네시아 AIDC 사업 컨설팅·설계를 완료했고, 국내에선 네이버클라우드와 코로케이션 계약을 통해 죽전 데이터센터에 입주를 확정했다. 회사는 올해 AIDC 사업 연간매출이 5000억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김태훈 AI·클라우드사업부장은 실적발표 후 진행된 콘퍼런스 콜에서 “자체 구축한 데이터 분석 플랫폼을 토대로 금융·공공 영역 솔루션 도입을 확대 중"이라며 “정부가 추진 중인 산업별 AI 확산 정책 속에서 유리한 입지를 확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현재 컨테이너용 데이터 솔루션 'AI 박스'를 개발 중인데, 이를 활용하게 되면 새로운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반면 스마트팩토리·물류 등이 포함된 스마트엔지니어링 부문 매출은 2667억원으로 전년보다 10.7% 감소했다.


최성훈 스마트팩토리사업부장은 “시장 환경이 악화하면서 매출이 줄었지만, 새로운 고객 확보를 중심으로 의미 있는 수주가 가시화되며 하반기 성장 기반을 마련했다"며 “올해는 계열사 신성장 프로젝트의 성공적 완수를 최우선으로 두고 있고, 그간 축적해온 해외 프로젝트 수행 능력과 계열사 동반 해외 진출 경험으로 브랜드 신뢰도를 높이고자 한다"고 말했다.


디지털 비즈니스 서비스 부문 매출 또한 3210억원으로 6.9% 줄었다. 다만 하반기에 법원행정처 유지관리 등 상반기 수주한 대형 사업의 매출이 본격 인식됨에 따라 점진적으로 회복할 것으로 회사는 전망했다.


LG CNS는 하반기 에이전틱·피지컬 AI 등 차세대 기술을 앞세워 사업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현재 에이전틱 AI 사업 본격화를 위한 통합 플랫폼을 개발 중인 가운데 휴머노이드 로봇 기반 전환 사업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제조 고객사를 대상으로 휴머노이드 로봇의 산업 현장 적용을 위한 개념검증(PoC)을 진행 중이다. 사업화 역량과 고객 기반 확보를 위해 인수합병(M&A)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진다.


김희석 재정담당은 “최근 모바일 셔틀 로봇 등 산업 특화 로봇을 자체 개발해 LG에너지솔루션에 적용하며 로봇 하드웨어 사업을 확대 중"이라며 “하반기에는 자체 모바일 셔틀 솔루션을 고도화하고, 물류 외 공항·스마트시티 등 영역으로 로봇 적용 범위를 넓힐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 담당은 또 “글로벌 기업과 협업해 경쟁력 있는 하드웨어를 지속 확보할 계획"이라며 “여기에 AI를 탑재해 다양한 산업 현장의 데이터를 학습시키는 플랫폼도 개발 중"이라고 덧붙였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