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BNK금융은 지금] ‘지방은행’서 ‘디지털 리더’ 시동…새 성장 승부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18 06:01

하반기 조직개편서 AI·디지털 부문 강화
AI 구조적 변화 대응·미래 먹거리 발굴 의지

CBDC·원화 스테이블코인 준비 적극 참여
제4인뱅·공동대출 구상…“지방銀 한계 돌파구”

BNK금융그룹.

▲BNK금융그룹.

BNK금융그룹이 인공지능(AI)·디지털 분야를 강화하며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하반기 중점 과제로 AI·디지털금융 고도화를 제시한 데 이어 디지털 부문 강화를 위한 조직개편도 단행했다. 지방금융그룹 중에서도 디지털 혁신에 적극 대응해온 만큼 조직 변화를 통해 디지털 경쟁력을 본격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전략이다.


BNK금융은 특히 디지털자산 도입 흐름에 민접하게 대응하고 있다. 한국은행의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실험과 원화 스테이블코인 준비 작업에 적극 참여하며 신시장 선점에 힘을 쏟고 있다.


18일 금융권에 따르면 BNK금융지주는 지난 16일 AI·디지털금융 사업 역량을 강화하는 내용의 조직개편을 실시했다. 기존 '그룹고객가치혁신부문'을 '그룹AI·미래가치부문'으로 변경하고, 산하의 디지털기획부와 AI사업팀을 통합해 'AI디지털전략부'로 확대 개편했다. 그룹의 인공지능전환(AX)을 본격화해 AI 산업의 구조적 변화에 대응하고, 미래 먹거리 발굴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이번 조직개편은 BNK금융이 그동안 추진해온 디지털 강화 노력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BNK금융은 지난 7일 열린 '하반기 업무보고회'에서 하반기 중점 추진 사항으로 AI·디지털금융 고도화를 꼽기도 했다. AI 거버넌스 수립과 디지털·AI 기술을 접목한 지역화폐 전환, 원화 스테이블코인 연구 등 미래형 금융모델 실험을 본격화하겠다는 것이다.


그동안 지방은행은 시중은행에 비해 디지털 기술력이나 확장성 등에서 뒤처졌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영업 기반이 지역 중심으로 이뤄지고, 고객층도 고령층이 많아 디지털 전환을 뒷받침할 환경도 미흡했다.




하지만 생성형 AI 시대가 본격적으로 도래했고, 최근에는 디지탈자산 도입이 핵심 이슈로 떠오르며 이를 어떻게 준비하고 대응하는지는 은행의 생존과 직결되는 과제가 됐다. 무엇보다 지방금융의 경우 지역 경기 악화에 따라 전통적 영업 방식을 고수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새로운 성장 동력 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 가운데 BNK금융은 디지털 혁신에 주목해 왔고, 특히 최근 디지털자산에 높은 관심을 가지고 시중금융지주사들과 함께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보이고 있다.


실제 BNK부산은행은 한은이 지난 4~6월 진행한 CBDC 실험 '프로젝트 한강'에 지방은행 중 유일하게 참여했다. 이 프로젝트는 이용자들이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IBK기업·부산은행 등 7개 은행 앱에서 은행 예금을 예금토큰으로 전환해 지정된 사용처에서 결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중 부산은행은 신라대학교와 협력해 장학금을 디지털 바우처로 지급하는 테스트도 실시했다. 이 바우처는 신라대 인근 지정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하도록 해 지역경제와 연계도 시도했다.


지난 6월 이재명 정부 출범 후 원화 스테이블코인 논의가 급물살을 타자 은행권은 선제 준비에 나선 상태다. BNK금융지주도 이에 동참하며 부산은행, 경남은행과 원화 스테이블코인 상표권을 출원했다. 두 은행은 은행권 스테이블코인 협의체인 오픈블록체인·DID협회에도 가입하며 스테이블코인 공동 연구에도 참여하고 있다. 반면 또 다른 지방금융지주인 JB금융지주는 시장 상황을 지켜보는 분위기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부산은행과 경남은행은 지난 3월 제4인터넷은행 예비인가에서 지방은행 중 유일하게 한국소호은행 컨소시엄과 소소은행 컨소시엄에 각각 참여 의사를 밝혔고, 케이뱅크·토스뱅크와 각각 공동대출도 준비하고 있다"며 “지방은행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돌파구를 찾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BNK금융 관계자는 “아직 원화 스테이블코인이 어떻게 진행될지는 모르지만 미리 준비를 해야 본격적으로 추진됐을 때 참여할 수 있다"며 “신사업 진출이 필요한 시기라고 보고 대응하고 있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AI, 소비자보호, 지역상생, 미래성장 등 다양한 분야의 내외부 전문가 그룹으로 구성된 'BNK미래위원회(가칭)'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며 “정부의 정책 방향에 BNK금융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