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0월 06일(일)
에너지경제 포토

이원희

wonhee4544@ekn.kr

이원희기자 기사모음




“산사태 예측정보 2단계서 3단계로 세분화…대피 골든타임 확보”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5.14 11:00

산림청, 2024년도 산사태방지대책 발표

범부처 ‘디지털 산사태 대응팀’ 신설

관측 사각지대 해소 ‘산사태 정보시스템’ 고도화

토석류를 막는 사방댐. 산림청

▲토석류를 막는 사방댐. 산림청

산림청(청장 남성현)이 기존 2단계 산사태 예측정보를 3단계로 세분화해 주민대피 골든타임을 확보한다. 산사태 위험사면 통합·관리를 통한 예측 사각지대를 해소한다.


산림청은 산사태 인명피해 최소화를 목표로 한 '2024년 산사태 방지대책'을 14일 발표했다.


올해 산사태방지대책은 △디지털 기반 범부처 위험사면 통합관리 체계 구축 산림과학을 기반으로 주민대피시간 추가 확보 관측사각지대 해소를 통한 산사태 예측력 향상 산사태취약지역 확대와 위험요소 사전예방 등에 중점을 둔다.


우선, 행정안전부(급경사지), 국토부(도로사면), 농림축산식품부(농지), 산업통상자원부(발전시설), 문화재청(문화재) 등 각 부처의 위험사면 정보를 '디지털 사면통합 산사태 정보시스템'으로 통합해 예측 사각지대를 해소한다.


이 시스템을 기반으로 범부처 위험사면 통합관리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4월 산림청, 행정안전부, 국토부, 농림축산식품부가 참여하는 '디지털 산사태 대응팀'이 신설됐으며 오는 2026년 3월까지 운영될 예정이다.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산사태 예측정보' 단계를 현 2단계(주의보, 경보)에서 3단계(주의보, 예비경보, 경보)로 세분화해 주민 대피 시간을 약 1시간 가량 추가 확보한다. 문자메시지로 제공되던 예측정보를 카카오톡으로도 전송해 더욱 신속한 대응이 이루어지도록 할 계획이다.


'산사태 정보시스템'에서 토양이 머금을 수 있는 최대 물의 양 등을 기준으로 토양함수량이 일정 수준에 이르면 주의보(토양함수지수 80%), 예비경보(90%), 경보(100%) 등 예측정보를 지역 담당자에게 자동으로 발송한다.


평지 기상과 풍속은 최대 3배, 강수량은 최대 2배까지 차이가 나는 산악기상 정보 수집을 강화하기 위해 전국 480개소에 설치된 산악기상관측장비를 올해 말까지 496개소로 확충해 산사태 예측정확도를 향상시킬 예정이다.


산사태취약지역을 생활권 중심으로 확대하고 제도개선을 통해 위험요소를 사전 차단한다.


현재 2만9000개소인 산사태취약지역을 장기적으로 확대해 예방체계를 강화한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위험사면 통합관리, 재난관리자원 공유, 산사태 우려지역 합동점검 등 범부처 협업을 강화해 산사태 피해 최소화에 총력 대응할 것"이라며 “태풍·집중호우 등 위험시기에 긴급재난 알림을 받으면 주저 없이 대피해 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