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음달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권에서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이 진행될 예정이다. 사진은 서초구 신반포12차 재건축 조감도.사진=서울시 정비사업 정보몽땅
다음달 수익성이 높은 서울 강남권 재건축 사업장에서 줄줄이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에 나선다. 최근 공사비 급등에 따른 채산성 건설사들이 재건축 공사 수주에 소극적이지만 강남권 '노른자위' 부지들이라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관건은 공사비를 최대한 낮추려는 조합 측과 비용을 보전하려는 건설사간 줄다리기가 될 전망이다.
14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다음달부터 서초구, 송파구 등 강남권 4곳 이상의 재건축 조합들이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을 진행할 예정이다.
우선 서초구 신반포12차 재건축 사업은 다음달 22일 입찰을 마감한다. 앞서 이달 5일 열린 현장설명회에서는 삼성물산, 대우건설, 롯데건설, HDC현대산업개발, 호반건설, 금호건설 등 6개 업체가 참석해 수주의지를 드러냈다. 신반포12차는 향후 재건축을 통해 지하 3층~지상 35층, 432가구 규모로 탈바꿈할 예정이다. 조합은 3.3㎡(평)당 공사비로 897만원을 제시한 상태다. 현재 가장 수주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는 건설사는 롯데건설이다. 신반포12차는 롯데건설 본사와 인접한 입지다. 롯데건설은 하이엔드 브랜드 '르엘' 적용과 글로벌 건축 디자인 기업 'JERDE'와의 협업을 내걸고 있다.
서초구 신반포27차도 같은날 입찰을 마감한다. 이번이 두 번째다. 앞서 1월에 3.3㎡당 공사비를 908만원으로 정하고 입찰이 실시됐지만 건설사들이 응하지 않았다. 이에 3.3㎡당 공사비를 958만원으로 높여 재공고를 냈다. 신반포27차는 향후 지하 5층~지상 28층 규모의 210가구로 재건축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SK에코플랜트가 하이엔드 브랜드 '드파인'을 들고 수주에 나설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송파구 잠실우성4차도 다음달 22일 시공사 선정 입찰을 마감한다. 지난 8일 열린 현장설명회에는 대우건설, 현대엔지니어링, DL이앤씨, 호반건설, 대방건설, 금호건설, 두산건설, 한양 등 8개사가 참여했다. 이곳도 입찰이 두 차례 유찰되면서 3.3㎡당 공사비를 760만원에서 810만원으로 올렸다. 재건축이 완료되면 지하 4층~지상 32층, 총 825가구 규모로 재탄생한다.
이 밖에 강남구 개포주공5단지와 도곡개포한신도 조만간 다시 시공사 물색에 나설 것으로 예상된다.
강남권 재건축은 사업성이 좋고, 아파트 브랜드 가치도 높일 수 있어 수주 경쟁이 치열했다. 하지만 최근 건설사들이 고금리와 원자잿값·인건비 인상에 따른 공사비 인상 이슈로 선별수주 움직임을 보이면서 입찰 성공 가능성은 장담하기 어렵다. 실제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20년 1월(118.30) 대비 올해 1월(154.64) 건설공사비지수는 30.7% 상승했다. 건설공사비지수는 건설공사에 투입되는 재료, 노무, 장비 등의 가격 변동을 나타낸다.
서진형 광운대 부동산법무학과 교수(한국부동산경영학회장)는 “강남권 재건축 사업장은 수주할 경우 브랜드가치를 높일 수 있어 인기가 많았다"면서도 “최근 공사비가 너무 올랐기 때문에 수익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강남권 재건축 현장도 건설사들의 참여가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유찰됐던 곳들이 공사비를 증액했기 때문에 분위기가 달아오르겠지만 뜨거운 수주전이 펼쳐질지는 미지수"라며 “1000가구가 넘는 대단지가 없는 점도 건설사들의 입장에선 아쉬운 점"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