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2030세대 신용대출 연체율 급등..."‘모으던’ 세대에서 ‘빚내는’ 세대로"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3.09.12 16:22
2023091201000688000032741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


[에너지경제신문=나유라 기자] 고금리, 고물가에 빚을 갚지 못하는 청년들이 늘면서 2030세대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급등했다.

12일 더불어민주당 홍성국 의원이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19개 국내은행 연령대별 신용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20대 청년층의 연체율은 1.4%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6월 0.7% 대비 2배 급등한 수치다. 현행법상 개인신용정보 보관이 가능한 기간(5년) 중 가장 높은 최고치를 기록했다.

30대 연체율은 0.6%로 전년동기(0.3%) 대비 2배 상승했다. 40대와 50대는 각각 0.5%로 1년새 0.2%포인트(p) 상승했다. 60대 이상의 연체율은 작년 6월 말 0.5%에서 올해 6월 말 0.8%로 올랐다.

신용대출 차주 수는 20대와 60대 이상에서만 증가했다.

전체 신용대출 차주 수는 올 6월 말 기준 688만6815명으로, 지난해 6월보다 2만5000여명 감소했다. 그러나 20대 차주는 69만1948명으로 1년새 약 8만명이 늘었고, 60대 이상 차주는 87만3330명으로 약 3만명 늘었다.

6월 말 신용대출 잔액은 163조8000억여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6월 184조4000억여원에서 약 20조가량 감소한 규모다. 신용대출 잔액은 40대가 59조4000억여원으로 가장 많았고, 20대는 7조5000억여원으로 가장 적은 비중을 차지했다. 50대와 30대의 신용대출 잔액은 각각 43조9000억원, 40조9000억원이었다.

홍성국 의원은 "저금리, 양적완화, 자산가치상승 황금기의 ‘이지머니’가 20~30대를 저축하던 세대에서 빚내는 세대로 변화시켰다"며 "불안정한 소득 기반에 고금리, 고물가까지 맞물려 어려운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고 진단했다.

홍 의원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신용대출 차주 수와 연체율이 급등한 것도 주목해야 한다"며 "경제적으로 취약한 청년층과 고령층에 위기 징후가 뚜렷한 만큼 구조적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