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신문 김아름 기자] 내년 1분기 EBSI가 80대일 것으로 조사됐다. 가파른 물가 상승과 주요국의 금리 인상이 경기를 빠르게 위축시켰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EBSI(Export Business Survey Index)는 다음 분기 수출 경기에 대한 기업들의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로 100을 기준으로 전 분기보다 개선(악화)될 것으로 예상하면 100보다 큰(작은) 값을 가진다.
25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2023년 1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에 따르면 1분기 EBSI는 81.8를 기록, 4분기 연속 기준선인 100을 크게 하회하며 수출기업의 체감 경기가 지속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가파른 물가 상승과 이에 대응한 주요국의 금리 인상으로 경기가 빠르게 위축되며 EBSI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다.
항목별로는 수출제품 제조원가(71.1), 수출대상국 경기(79.9), 국제수급(81.1), 자금사정(84.0) 등이 앞으로 더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품목별로는 유럽의 LNG선 수요 확대로 수주가 증가하며 수출확대가 예상되는 선박(146.5)을 제외하고는 전 품목의 EBSI가 100을 하회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기업들이 바이어의 가격 인하 요구가 커지고,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기업의 수익성 확보와 경영전략 수립에 애로를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김꽃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세계 각국이 고강도 긴축에 나서면서 교역도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면서 "수출 기업의 삼중고를 감안해 수출 금융 지원과 환율 변동 방어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EBSI(Export Business Survey Index)는 다음 분기 수출 경기에 대한 기업들의 전망을 나타내는 지표로 100을 기준으로 전 분기보다 개선(악화)될 것으로 예상하면 100보다 큰(작은) 값을 가진다.
25일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2023년 1분기 수출산업경기전망지수(EBSI)’에 따르면 1분기 EBSI는 81.8를 기록, 4분기 연속 기준선인 100을 크게 하회하며 수출기업의 체감 경기가 지속적으로 악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가파른 물가 상승과 이에 대응한 주요국의 금리 인상으로 경기가 빠르게 위축되며 EBSI 하락한 것으로 분석했다.
항목별로는 수출제품 제조원가(71.1), 수출대상국 경기(79.9), 국제수급(81.1), 자금사정(84.0) 등이 앞으로 더 악화될 것이라는 응답이 많았다. 품목별로는 유럽의 LNG선 수요 확대로 수주가 증가하며 수출확대가 예상되는 선박(146.5)을 제외하고는 전 품목의 EBSI가 100을 하회했다.
아울러 보고서는 기업들이 바이어의 가격 인하 요구가 커지고, 환율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기업의 수익성 확보와 경영전략 수립에 애로를 겪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김꽃별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세계 각국이 고강도 긴축에 나서면서 교역도 빠르게 위축되고 있다"면서 "수출 기업의 삼중고를 감안해 수출 금융 지원과 환율 변동 방어에 힘써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