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한은 "내년 기준금리, 물가 안정 중점"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12.23 09:11
성장률 전망.
[에너지경제신문 송두리 기자] 한국은행이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한은은 23일 공개한 ‘2023년 통화신용정책 운영방향’ 보고서에서 "내년 기준금리는 물가 상승률이 목표 수준(2.0%)으로 수렴해 나갈 수 있도록 물가 안정에 중점을 둔 운용 기조를 지속하겠다"며 "국내 경제의 성장률이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목표 수준을 크게 상회하는 소비자물가 오름세가 내년 중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했다.

내년 물가와 관련해서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대 중반, 근원인플레이션율(식료품·에너지 제외)은 2%대 후반을 각각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며 "공급요인의 기저 효과,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상승률이 올해보다 낮아지겠지만, 누적된 비용 인상 압력의 가격 전가(전기·가스요금, 가공식품, 근원품목 등) 등으로 내년 중에도 목표 수준 2%를 상회하는 오름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했다.

국내의 경제성장과 관련해서는 "상반기까지 글로벌 경기 둔화에 주로 기인해 잠재 수준을 하회하는 성장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했다. 이어 "소비 회복세는 금리 상승 등으로 점차 완만해지고 수출과 투자는 주요국 성장세 둔화 등의 영향으로 부진할 것"이라며 "하반기 이후에는 대외 불확실성이 줄어들면서 부진이 점차 완화될 전망"이라고 했다.

내년 금융·외환 시장도 대내외 리스크 요인이 상존하고 있어 높은 변동성이 상당기간 이어질 수 있다고 봤다.

한은은 "주요국의 통화긴축 기조, 부동산 관련 자금시장의 신용 경계감 등을 고려할 때 자본 유출입과 주요 가격변수의 높은 변동성이 상당 기간 지속될 것"이라며 "부동산 경기 둔화 폭이 예상보다 커질 경우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 등 관련 자금시장 불안이 다시 심해질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했다.

금융시스템은 안정성을 유지하겠으나 일부 비은행금융기관의 유동성 리스크는 증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예상했다. 부동산 PF 익스포저가 큰 일부 비은행금융기관의 경우부동산 경기 위축이 심화된다면 유동성 위험에 노출될 우려가 있다는 전망이다. 또 높은 대출금리, 자산가격 조정 등에 따라 취약부문의 대출 부실 위험이 커질 수 있다고 내다봤다.

내년 금융기관 대출은 부동산시장 부진, 경기둔화 우려 등으로 올해에 비해 증가 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가계대출은 주택거래 부진, 높은 금리수준 등으로 소폭 줄어들고, 기업대출은 경기둔화 우려, 금융권의 리스크 강화 등으로 증가세가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다.


dsk@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