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료=한식진흥원(성균관의대 강북삼성병원 강재헌 교수 논문 내용) |
18일 한식진흥원에 따르면, 강재헌 성균관대학교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는 지난 14일 서울 종로구 한식문화공간 이음에서 열린 2022년 제2차 한식연구 학술세미나의 ‘쌀밥에 대한 의학적 오해와 진실’ 주제발표에서 한식의 우수성 연구결과를 공개했다.
강 교수는 지난 2009년 이안 카터슨 호주 왕립 프린스 알프레드 병원 내분비내과 교수팀과 한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조사팀은 체질량지수(BMI)가 25∼40(비만)으로 분류되는 25∼65세 현지 주민 70명을 두 집단으로 나눠 3개월간 한식과 양식을 섭취하도록 했다. 한 집단은 매일 세끼 중 두끼를 밥·국·김치와 반찬이 포함된 한식 도시락을, 다른 집단은 스파게티·스테이크·샐러드 등 양식을 먹었다.
3개월간 섭취 결과, 한식을 먹은 집단이 양식을 먹은 집단과 비교해 허리둘레와 복부지방이 더 감소했다는 유의미한 조사수치가 도출됐다고 강 교수는 밝혔다.
한식 집단의 허리둘레는 평균 5.7㎝가 줄어 양식 집단(3.1㎝)보다 2.6cm 더 많이 줄었다. 복부 체지방 감소율도 4.1%로 양식 집단(3.8%)보다 높았다.
또한, 한식 집단의 공복 혈당은 5.1mg/dl(콜레스테롤·혈당 단위ㆍ데시리터당밀리그램)가 감소한 반면, 양식 집단은 오히려 0.5mg/dl가 증가하면서 한식이 양식에 비해 당대사 기능 개선효과도 더 뛰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이처럼 한식 위주의 식단이 양식보다 체중조절에 더 효과적인 이유로 한식이 과식을 막아주는 작용을 한 결과 때문이라고 강교수는 설명했다.
강 교수는 "밥 중심 식사는 섬유소 함량이 높아 음식량에 비해 열량이 낮고, 소화관에서 수분을 흡착해 부풀어 오른다"며 "이에 따른 포만감 덕분에 배부르게 먹으면서도 섭취 열량은 빵 중심의 식사보다 낮다"고 밝혔다.
아울러, 강 교수는 한식이 영양학적으로 우수하다고 평가했다.
강 교수는 "한식은 밥과 국, 생선구이, 나물, 김치 등이 어우러진 식사로 다양한 맛을 즐기면서도 영양소 균형을 맞출 수 있다"면서 "포화지방은 적고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식사로 비만과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등의 만성질환도 예방할 수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