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철훈

kch0054@ekn.kr

김철훈기자 기사모음




[기자의 눈] 장애인 지하철시위, 방법이 틀렸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2.09.14 15:01

김철훈 성장산업부 기자

2022091401000515700022831

▲김철훈 성장산업부 기자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의 출근길 지하철 탑승 시위가 수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장애인 복지에 공공 예산과 국민의 관심이 더 많이 필요하다는 사실에 어느 누구도 반대하지 않을 것이다. 기자가 장애인 시위자들과 함께 지하철에 탑승해 승객 표정을 살펴봐도 시위 대형앰프에서 흘러나오는 구호 소리에 귀를 막거나 다른 칸으로 자리를 뜨는 몇몇 승객은 있어도 대부분이 대놓고 불쾌감이나 반감을 표시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전장연의 시위 장기화로 장애인에게 우호적인 감정을 가지고 있던 ‘선량한 시민’들도 피로감을 느끼며 ‘장애인=데모꾼’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지 않을까 우려감이 드는 건 왜일까.

먼저 전장연의 시위 방식이 과연 대중에 소구력을 가지는 지 의문이다. 지하철은 버스·항공기·선박과 비교해 장애인 이동시설이 가장 잘 갖춰져 있고 교통약자의 만족도가 가장 높은 대중교통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시위자) 여러분, 안심하고 타십시오. 서울교통공사 관계자 분들이 (우리를) 안전하게 지켜주고 있습니다"라며 장애인 시위자들을 독려하는 박경석 전장연 상임공동대표의 말이 이를 입증한다.

전장연 시위자도 "지난 10여년간 아무리 시위를 해도 정부·언론 누구도 관심을 주지 않았다. 시민에게는 미안하지만 이 방법(지하철 출근 시위)밖에 없다"며 지하철 시위의 불가피성을 ‘고백’하기도 했다.

전장연 시위로 일반시민들로부터 애궂게 눈총을 받고 있는 서울교통공사도 정부의 무임수송 정책 ‘남탓’으로 수년째 적자 누적에 시달리고 있으며, 상급기관인 서울시로부터 오히려 구조조정 등 강도 높은 ‘내탓’ 자구 노력을 강요받는 처지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교통공사는 지난해 4월 광화문역에서 캐릭터 인형 ‘또타’ 판매 행사를 열고 무임수송 국비보전을 호소하는 ‘시위 아닌 시위’를 선보여 시민을 볼모로 삼지 않으면서 시민과 언론의 관심을 끄는데 성공했다.

전장연은 서울교통공사 사례를 본보기 삼아 시민들의 호응 속에 시위의 효과를 높이는 현명한 의사표현 방식을 찾을 필요가 있다. 정부와 서울시, 정치권도 전장연에 대해 한층 더 열린 자세로 대해야 문제가 풀린다.

kch0054@ekn.kr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