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제품별 오메가-3 지방산 함량 |
6일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소비자의 합리적인 상품 선택을 돕기 위해 선호도가 높은 ‘오메가-3’ 20개 제품을 살핀 결과 제품별 지방산(EPA와 DHA의 합)과 비타민E 함량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됐다.
오메가-3 지방산의 경우 제품 간 차이와 함께 원료에 따른 구성 비율 차이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20개 제품의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은 모두 건강기능식품 1일 최소 섭취량 기준(500mg) 이상이었다. 1일 섭취량 당 오메가-3 지방산 함량은 제품 간 최대 4배(2,074~537mg) 차이가 났다. 이 중 초임계 알티지 오메가3 맥스 2000(제이더블유생활건강)은 오메가-3 지방산 1일 섭취량을 2,074mg으로 가장 많이 설정하고 있었다.
원료에 따라 오메가-3 지방산을 구성하는 EPA와 DHA의 비율에 차이가 있어 어류 유지를 사용한 18개 제품은 오메가-3 지방산 중 DHA의 비율이 36~49%인 반면 미세조류 유지를 사용한 2개 제품은 61~99%로 DHA의 비율이 더 높았다.
비타민E 기능성이 표시된 경우 조사대상 20개 제품 중 비타민E 기능성을 표시한 13개 제품은 비타민E를 건강기능식품의 1일 최소 섭취량 (3.3mgα-TE) 이상을 함유하고 있었다.
비타민E의 한국인 영양소 섭취기준 상 충분섭취량은 12mg α-TE이며 상한섭취량은 540mg α-TE(15세 이상)다.
소비자원은 "현재 종합비타민 등으로 비타민E를 섭취 중이라면 해당 성분을 필요 이상 중복해 섭취하지 않도록 확인하고 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권고했다.
캡슐 크기(용량)는 목 넘김 등 섭취 편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소로 가장 작은 것은 368mg, 가장 큰 것은 1,299mg으로 최대 3.5배 차이가 났다.
조사대상 제품 중 ‘뉴트리라이트 오메가-3 밸런스(한국암웨이)’는 368mg, ‘퓨어 알티지 오메가3 이지(고려은단헬스케어)’ 401mg, ‘프로메가 알티지 오메가3 듀얼(종근당건강)’ 520mg, ‘애터미 알래스카 이-오메가3(애터미)’ 550mg 등 4개 제품은 상대적으로 캡슐 크기가 작았다.
반면 ‘커클랜드 슈퍼 오메가3(코스트코코리아)’는 1299mg, ‘초임계 알티지 오메가3 맥스 2000(제이더블유생활건강)’ 1270mg, ‘한미 오메가3 맥스 MAX(한미약품)’ 1135mg 등 3개 제품은 상대적으로 캡슐 크기가 컸다.
하루 섭취 캡슐 수를 조사한 결과로는 제품별로 하루에 섭취하는 캡슐 수는 1~4개였고 캡슐 크기가 작은 제품은 하루에 섭취하는 캡슐 수가 캡슐 크기가 큰 제품보다 많은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소비자원은 "캡슐 크기나 하루 섭취 캡슐 수 등의 섭취 편의성도 제품을 선택할 때 고려할 필요 있다"고 설명했다.
온라인몰과 이력추적관리시스템에 표시개선이 미흡한 제품도 12개가 있는 것으로 조사돼 일부 업체에 개선을 권고했으며 판매 업체는 권고를 수용해 개선을 완료했거나 개선할 계획임을 밝혀왔다.
국내 제조 식품의 경우 ‘원산지표시법’ 에 따라 표시대상품목인 원재료에 대한 원산지 국가명을 이력추적관리시스템에서 제공하고 있으나 수입식품은 표시 의무가 없어서 조사대상 중 수입제품 2개는 이력추적관리시스템에 원산지 정보가 없었다.
소비자원은 "소비자의 알권리와 국내 제조 식품과 수입식품의 형평성을 위해 수입식품에도 원재료의 원산지 국가명을 표시하는 내용의 기준 개정을 건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오메가-3 지방산 기준으로 조사대상 20개 제품의 1일 섭취량 당 가격은 ‘커클랜드 슈퍼 오메가-3(코스트코코리아)’가 94원으로 가장 저렴했고 ‘허벌라이프라인 오메가-3(한국허벌라이프)’는 1907원으로 가장 비싸 최대 20배 차이를 보였다.
소비자원은 "소비자의 합리적인 소비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품질과 안전성 등을 소비자24를 통해 지속적으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axkjh@ek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