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탄녹위는 지난 문재인 정부 시절 탄소중립 이행 방안을 설정하고 추진하기 위한 대통령 직속 기구로 출범했다. 정계, 학계, 기업계, 산업계, 시민사회 등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위원으로 활동했지만 ‘편향된 조직’, ‘전문가 없는 위원회’라는 비판의 화살이 난무했다.
비판이 쇄도하는 가운데 1기 탄녹위는 탄소중립 초석을 다지는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와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 등을 마련하는 업적도 남겼다. 하지만 산업계의 목소리를 담지 않은 로드맵이라는 지적이 잇따랐다. 실제 위원으로 몸 담았던 전문가 중 일부는 탄녹위를 향한 이같은 비판을 수긍하기도 했다.
김상협 위원장의 전문성은 이미 모두가 알고 있다. 이명박(MB) 정부시절 녹색성장을 주도한 ‘저탄소 녹색성장 전도사’로 꼽힐 정도이니 말이다. 당시 MB정부의 ‘녹색성장’으로 대표되는 ‘4대강 사업’과 ‘원전 르네상스’ 등 프로젝트의 중심인물이었다.
김상협 위원장 임명 소식을 전해들은 한 취재원은 실제로 "녹색성장에 관심도 많았고 관련된 업무를 많이 진행했으니 탄녹위를 잘 이끌어 갈 것 같다"고 호평을 했다.
다만 우려되는 부분도 없지 않다. 시민사회의 설득을 잘 이끌어 가야 한다는 점이다. MB정부가 주도한 ‘4대강 사업’과 ‘원전 프로젝트’ 등은 추진 당시부터 지금까지도 시민사회의 비판을 많이 받고 있기 때문이다.
김상협 위원장의 남은 임무는 ‘편향되지 않은 위원회’, ‘합리적인 탄소중립 계획’이라는 신뢰를 어떻게 구축할 것이냐는 점이다. 산업계나 시민사회 등 누구나 ‘유명무실’ 해진 탄녹위에 탄소중립 방향키를 믿고 맡길 수 있게 위원들을 이끌고 로드맵을 세워야 한다.
윤석열 정부는 내각 구성부터 ‘MB 인사 되풀이’, ‘친분인사’라는 지적을 받았다. 김상협 위원장은 이런 우려가 현실화 하지 않도록 탄소중림 목표를 이끌어 가야 한다. 또 다시 ‘유명무실’ 한 위원회로 전락시키지 않으려면 말이다.
claudia@ekn.kr